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중국, 멕시코, 캐나다에 이어 유럽까지 겨냥하고 있습니다.

당장 한국 시장도 충격파에 휩싸였는데, 다음 관세 부과대상은 한국이란 예상도 나옵니다.

미국과 중국, 유럽 특파원 동시에 연결하겠습니다.

먼저 뉴욕 연결합니다.

임경아 특파원, 가장 먼저 관세 폭탄을 맞은 캐나다와 멕시코는 어떤 반응입니까?

◀ 기자 ▶

캐나다는 일단 미국과 똑같이 내일부터 25%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죠.

한국 돈으로는 모두 155조 원 상당인데요.

특히 트럼프·공화당 지지 지역에 타격을 줄 '맞춤형' 품목이 많습니다.

플로리다 오렌지, 테네시 위스키, 켄터키 땅콩, 이런 식인데요.

관세 외에도, 캐나다 일부 주에서는 정부가 관리하는 주류 판매점에서 미국산 술을 아예 치워버렸습니다.

캐나다 국민들의 반발도 심상치 않은데요.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NBA농구에 앞서 경기 전 행사로 미국 국가가 울려 퍼지자 캐나다 관중들이 일제히 야유를 보낼 정도로 였습니다.

잠시 들어보시죠.

멕시코의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도 한국시간으로 오늘 밤 기자회견을 통해 미국의 관세 공세에 대한 대응 전략을 공개하겠다고 공언한 상태입니다.

◀ 앵커 ▶

멕시코와 캐나다엔 한국의 대표 기업들도 많이 진출해있어서 특히 타격이 클 텐데, 그 내용은 잠시 뒤 다시 정리하기로 하고요.

이번엔 유럽 가보겠습니다.

김민찬 특파원, 이제 다음 차례는 유럽이라는 건데 오늘 마침 EU 정상회담이 열리죠?

◀ 기자 ▶

네. 오늘 EU 정상회담이 이미 예정된 상태에서 공교롭게도 오늘 트럼프 대통령이 EU에 대해서도 곧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공언이 나왔는데요.

이 때문에 이곳 유럽의 눈과 귀가 현재 벨기에 브뤼셀의 EU 정상회담장에 쏠려 있는 상황입니다.

조금 전 회의가 시작됐지만, 아직 진행 중이라 공식 반응이 나오지는 않고 있습니다.

그런데 눈 여겨볼 점은 브렉시트로 EU를 탈퇴했던 영국의 키어 스타머 총리도 이곳에서 열리는 비공식 정상회담에 참석한다는 점입니다.

유럽 국가들에게 발등에 불이 떨어진 만큼, 공동 대응의 필요성이 절실해 진 겁니다.

앞서 마크 페라치 프랑스 산업부 장관은 "협상에서 EU가 미국 경제를 '물어뜯을' 만한 카드가 있어야 한다"면서, "'유럽산 구매법'을 적용하자"고 말하는 등 강경 대응론도 나오고 있습니다.

◀ 앵커 ▶

자 그럼 다시 뉴욕 연결 하겠습니다.

임경아 특파원. 이렇게 관세를 높이면, 과거 사례를 봤을 때 수출 수입 기업들이 당장 가격을 올리는 것보단 마진을 줄이면서 대응을 할 수 있을 텐데, 계속 그럴 순 없을 거 아니에요?

그래서 미국에서도 결국엔 소비자에게 피해가 돌아갈 거다 이런 우려도 나오죠?

◀ 기자 ▶

네. 미국 내에서 이미 '자해에 가깝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는 이유인데요.

캐나다나 멕시코, 중국에서 수입하는 제품들은 석유와 식품, 그리고 일상에서 쓰는 여러 생활 용품들인데, 이런 물품들의 가격이 대부분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조치로 미국 중간 소득 가구가 매년 약 250만 원씩 손실을 볼 거란 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했는데요.

미국의 대표 경제지이자 보수 매체인 '월스트리트저널'조차도 관세 부과를 두고 '역사상 가장 어리석은 무역전쟁'이라고 보도할 정돕니다.

이런 비판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 전혀 흔들림 없습니다. 들어보시죠.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단기적으로 약간의 고통이 있을 수 있으나 국민들은 이해할 것입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미국은 사실상 전 세계 거의 모든 국가로부터 갈취당해 왔습니다."

◀ 앵커 ▶

자 그런데 관세전쟁의 가장 주된 목표는 역시 중국일 텐데요.

그러면 베이징 연결하겠습니다.

이필희 특파원, 2018년 트럼프 1기 때는 미국이 25% 관세를 부과하니까 그땐 중국이 당일에 맞불을 놨잖아요?

이번에도 맞대응이 예상되죠?

◀ 기자 ▶

네. 그렇습니다.

중국은 트럼프 1기 뿐만 아니라 바이든 정부에서도 여러 제재를 겪으면서, 맷집을 키웠는데요.

이번에는 맞불 관세 외에도 중국이 장악하고 있는 공급망이 무기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일례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에 인공지능 산업을 키우겠다며 우리 돈 700조 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는데요.

여기에 들어가는 반도체를 만들려면 핵심광물 갈륨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전 세계 갈륨 생산량의 98%는 중국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이 같은 핵심광물의 수출을 제한하게 되면 미국의 산업은 멈출 수 밖에 없습니다.

또 중국 내에서 물건을 생산하는 미국 기업을 제재하는 방안도 거론됩니다.

테슬라는 상하이에 대규모 공장을 짓고 전기차를 생산하고 있고, 애플은 대부분의 아이폰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에 규제를 가하는 건 관세 부과 이상의 효과를 낼 거란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영상편집: 이정섭, 이상민, 김창규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2140 [단독] 병사 휴대전화로 몰래 대출…부대는 늦장 대응? 랭크뉴스 2025.02.04
42139 내수 냉골 이 정도였나…작년 소매판매 감소 폭 21년 만에 최대였다 랭크뉴스 2025.02.04
42138 [사설] 巨野 반도체특별법 조속 처리로 李 ‘실용 변신’ 진정성 보여라 랭크뉴스 2025.02.04
42137 작년 소매판매, 21년 만에 최악…겹악재에 반전 카드 안 보인다[트럼프발 관세전쟁] 랭크뉴스 2025.02.04
42136 선릉역 앞에서 쓰러진 30대 男…주머니 속 하얀 가루 알고 보니 랭크뉴스 2025.02.04
» »»»»» 북미 이어 EU까지 '관세 전쟁'‥매서운 반격 각오해야 랭크뉴스 2025.02.04
42134 대만 인근 해상서 제주 어선 전복…승선원 10명 전원 구조(종합) 랭크뉴스 2025.02.04
42133 대만 인근 해상서 제주 선박 전복… 승선원 10명 전원 구조 랭크뉴스 2025.02.04
42132 [사설] 트럼프 쇼크로 시장 요동…與野政 원팀으로 비상대책 마련하라 랭크뉴스 2025.02.04
42131 제주 선적 어선 대만 해상서 전복…승선원 전원 구조 랭크뉴스 2025.02.04
42130 "가스통 옆 기름 끓는 요리" 백종원, 빽햄 이어 소방 안전 위반 논란 랭크뉴스 2025.02.04
42129 [속보] 대만 인근 해상서 제주 선박 전복 10명 모두 구조 랭크뉴스 2025.02.04
42128 대만 해상서 10명 탄 제주 선박 전복…전원 구조 랭크뉴스 2025.02.04
42127 [속보] 대만 인근해상 전복 제주 선박 승선원 10명 모두 구조 랭크뉴스 2025.02.04
42126 경찰, ‘노상원 수첩’ 필적 감정 의뢰...국과수 “감정 불능” 랭크뉴스 2025.02.03
42125 '트럼프 최측근' 머스크에 납작 엎드린 美 대기업들…연일 러브콜 랭크뉴스 2025.02.03
42124 "尹, 이상민에 JTBC·MBC 등 봉쇄∙단전·단수 지시" 檢공소장 적시 랭크뉴스 2025.02.03
42123 [단독] 노상원 수첩 속 '수거대상'과 '수집소'‥정의구현사제단까지 랭크뉴스 2025.02.03
42122 [속보] 대만 인근 해상서 제주 선박 전복… 승선원 10명 중 4명 구조 랭크뉴스 2025.02.03
42121 美유명 래퍼 아내, 이번엔 올누드…그래미 충격 빠트린 드레스 정체 랭크뉴스 2025.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