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트럼프, 취임식 온 바이든과 악수
연설 땐 “부패, 황폐, 위기” 강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이 20일(현지시간) 워싱턴 DC의 미국 국회의사당 로툰다에서 취임식을 마친 후 이방카 트럼프와 티파니 트럼프가 지켜보는 가운데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2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식에서 퇴임하는 전임 대통령이 백악관에 새로 들어서는 후임 대통령을 축하하는 미국 정치의 오랜 전통이 8년만에 재현됐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자신의 취임을 축하하러 온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을 거리낌 없이 비판하며 화합보다 갈등을 부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DC 연방 의사당의 중앙홀인 로툰다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우리 정부는 신뢰의 위기를 마주하고 있다”며 “수년간 극단적이고 부패한 기득권이 우리 국민에게서 권력과 부를 뽑아갔으며 우리 사회의 기둥들은 쓰러지고 완전히 황폐해진 것 같다”고 했다. 이어 “지금 우리 정부는 국내에서 간단한 위기조차 관리할 수 없으며 동시에 해외에서는 계속되는 일련의 재앙적인 사건들에 비틀거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정부는 우리의 훌륭하고 법을 준수하는 미국 국민을 보호하는 데 실패했지만, 위험한 범죄자들에게 안식처를 제공하고 보호하고 있다”면서 바이든 행정부의 국경 정책을 비난했다.

이같은 발언이 나오자 트럼프 대통령의 바로 뒤에 앉아 취임사를 듣던 바이든 전 대통령과 지난 대선에서 패배한 카멀라 해리스 전 부통령의 표정이 굳어지는 듯한 모습이 언론에 포착됐다.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과 카멀라 해리스 전 부통령이 2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해 연설을 듣고 있다. EPA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2020년 대선 패배 후 결과에 불복하며 2021년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식에 불참했지만, 평화로운 정권 이양을 강조해 온 바이든 전 대통령은 취임식에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는 관례에 따라 전직 대통령과 부통령들이 자리했으며, 공화당에서는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과 부인 로라 부시 여사가 참석했다.

민주당에서는 빌 클린턴 전 대통령과 2016년 트럼프 대통령과 맞붙었던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참석했지만, 미셸 오바마 여사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공화당의 댄 퀘일 전 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당시 부통령을 지냈으나, 2020년 대선 불복 시도를 거부해 ‘배신자’로 낙인찍힌 마이크 펜스 전 부통령도 참석했다.

이날 취임식은 주요 귀빈들이 착석한 후, 마지막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로툰다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취임식장에 입장하는 순간, 참석자들은 일어나 박수를 쳤으며 일부는 “USA”를 연호하는 모습도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입장 후 아내 멜라니아 여사의 볼에 입맞춤한 뒤 바이든 전 대통령과 악수하며 인사를 나눴다. 관례대로 J D 밴스 부통령이 브렛 캐버노 대법관 앞에서 취임 선서를 했고,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존 로버츠 대법원장 앞에서 오른손을 들고 취임 선서를 진행했다.

이번 취임식은 역대 취임식과 달리 한파로 인해 실내에서 진행됐다.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의 두 번째 취임식(1985년) 이후 40년 만에 처음으로 실내 취임식이 열렸으며, 장소는 의사당 로툰다가 선택됐다. 로툰다에는 약 800석 정도의 좌석이 마련됐으며, 추가로 의사당 내 노예해방홀(Emancipation Hall)에 1800석이 준비됐다.

트럼프, 취임선서 성경 위 아닌 아래에 손···관례 깨졌나?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취임식에서 에이브러햄 링컨 전 대통령의 성경과 어머니로부터 받은 개인 성경을 함께 사용해 취임 선서를 했다. 미국 대통령 취임식에서는 전통적으로 왼손을 성경에 얹고, 오른손을 들어 대법원장 앞에서 “나는 미국 대통령의 직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내 능력의 최선을 다해 미국 헌법을 지지하고, 수호하고, 보호할...https://www.khan.co.kr/article/202501210525001

트럼프, 47대 대통령 취임 “미국 우선에 둘 것…국경에 비상사태 선포”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제47대 미국 대통령에 취임했다. ‘미국 우선주의’를 국정 전반의 핵심 원칙으로 내세운 트럼프 대통령의 귀환으로 글로벌 안보·통상 질서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한반도 정세도 격랑에 휩싸일 것으로 관측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정오가 조금 지난 시각에 워싱턴 국회의사당에서 존 로버츠 대법원장 앞에서 취임 ...https://www.khan.co.kr/article/202501210202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1951 “기술 개발 소식 하루 만에 러브콜”… 거세지는 中의 반도체 인력 빼가기 랭크뉴스 2025.01.21
31950 "미국식 패션갑옷 입고 돌아왔다"…시선 끈 멜라니아 '취임룩' 랭크뉴스 2025.01.21
31949 현대차·LG에 두산까지… 중복상장 비판 피하려 해외 상장 꼼수 랭크뉴스 2025.01.21
» »»»»» 트럼프, 면전에 ‘돌직구’···순간 표정 굳어버린 바이든 랭크뉴스 2025.01.21
31947 윤 대통령, 헌재 출석 예정‥공수처 '강제구인' 실패 랭크뉴스 2025.01.21
31946 “남부 국경에 비상사태 선포”…군 배치해 불법 이민자 구금 랭크뉴스 2025.01.21
31945 얼굴 굳어진 바이든… 트럼프, 취임식서 전 정부 면전 비난 랭크뉴스 2025.01.21
31944 [단독] 매입임대주택 등 주택공급 확대에 바빠진 LH, 임금피크제 연령 상향 랭크뉴스 2025.01.21
31943 "계엄충격에 경제규모 6조3천억 후퇴"…소나타 22만5천대 맞먹어 랭크뉴스 2025.01.21
31942 [트럼프 취임] 링컨 성경·모친 선물한 성경에 손대고 취임 선서 랭크뉴스 2025.01.21
31941 트럼프 제47대 미 대통령 취임…두 번째 임기 시작 랭크뉴스 2025.01.21
31940 [단독]尹체포날 우원식∙김경수 만찬…"소보로만 파냐 팥빵도 팔자" 랭크뉴스 2025.01.21
31939 트럼프 취임식에 후드티·반바지…모두 놀라게 한 '이 사람' 누구 랭크뉴스 2025.01.21
31938 "최대 '100만원 공제"…신혼부부라면 놓치지 말아야 할 연말정산 '꿀팁' 랭크뉴스 2025.01.21
31937 트럼프 47대 대통령 취임 "美 황금시대 지금부터 시작한다" 랭크뉴스 2025.01.21
31936 “미국이 최우선, 이용당하지 않을 것”… 트럼프 돌아왔다 랭크뉴스 2025.01.21
31935 영부인 멜라니아의 감색 정장···“마피아 미망인 같은 ‘패션 갑옷’” 랭크뉴스 2025.01.21
31934 트럼프, 47대 대통령 취임 “미국 우선에 둘 것…국경에 비상사태 선포” 랭크뉴스 2025.01.21
31933 [트럼프 취임] '스트롱맨' 힘 과시한 취임사…"분열 조장" 비판도 랭크뉴스 2025.01.21
31932 트럼프 "국익 최우선…美 황금시대 시작될 것" 랭크뉴스 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