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력 방산 수출 품목인 K9 자주포의 베트남 수출이 임박한 것으로 20일 전해졌다.
20일 군 당국 등에 따르면 한국과 베트남은 한국산 K9 자주포의 베트남 수출을 위한 협상을 마무리하는 단계에 있으며 조만간 계약이 성사될 전망이다. 물량은 K9 자주포 20문 수준이며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규모는 총 3억 달러(약 43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번 수출이 성사되면 베트남은 K9 자주포를 도입한 세계 11번째 국가가 된다. 세계 자주포 시장의 절반 가까이 점유하는 베스트셀러 K9이 동남아시아에 처음 진출하는 것이기도 하다. 현재 튀르키예와 폴란드, 핀란드, 에스토니아, 노르웨이, 이집트, 인도, 호주, 루마니아가 K9 자주포를 도입했다.
이번 베트남 수출은 한국 방산의 첫 공산주의 국가 수출이라는 의미도 갖는다. 베트남은 중국 남쪽에 위치했고 과거 미국과 맞서 싸우는 과정에서 한국군과도 교전했으며 자본주의 경제를 도입한 지금도 공산당 유일 정당 체제를 유지하는 국가다. 방산업계는 그간 공산주의 국가 등과는 거래를 자제해왔는데, 미국과 중국 간 전략 경쟁이 격화되며 사정이 달라진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측은 지난 2023년 2월 판 방 장 국방부 장관이 방한해 K9 자주포 등을 살펴보고 K9 제작사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브리핑을 듣는 등 한국산 무기체계에 관심을 표명한 바 있다. 이로부터 2년여 만이다.
20일 군 당국 등에 따르면 한국과 베트남은 한국산 K9 자주포의 베트남 수출을 위한 협상을 마무리하는 단계에 있으며 조만간 계약이 성사될 전망이다. 물량은 K9 자주포 20문 수준이며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규모는 총 3억 달러(약 43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K10 탄약운반장갑차(왼쪽)과 K9 자주포(오른쪽).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
이번 수출이 성사되면 베트남은 K9 자주포를 도입한 세계 11번째 국가가 된다. 세계 자주포 시장의 절반 가까이 점유하는 베스트셀러 K9이 동남아시아에 처음 진출하는 것이기도 하다. 현재 튀르키예와 폴란드, 핀란드, 에스토니아, 노르웨이, 이집트, 인도, 호주, 루마니아가 K9 자주포를 도입했다.
이번 베트남 수출은 한국 방산의 첫 공산주의 국가 수출이라는 의미도 갖는다. 베트남은 중국 남쪽에 위치했고 과거 미국과 맞서 싸우는 과정에서 한국군과도 교전했으며 자본주의 경제를 도입한 지금도 공산당 유일 정당 체제를 유지하는 국가다. 방산업계는 그간 공산주의 국가 등과는 거래를 자제해왔는데, 미국과 중국 간 전략 경쟁이 격화되며 사정이 달라진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측은 지난 2023년 2월 판 방 장 국방부 장관이 방한해 K9 자주포 등을 살펴보고 K9 제작사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브리핑을 듣는 등 한국산 무기체계에 관심을 표명한 바 있다. 이로부터 2년여 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