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 차량용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모습. 사진 LG디스플레이
세계 최대 규모의 디스플레이 전시회인 ‘국제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 2025’에서 한국 기업들이 차세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술력을 대거 선보인다. SID는 전 세계 디스플레이 기업과 연구진들이 신기술과 연구논문을 발표하는 학술 행사 겸 전시회로, 올해는 13일부터 사흘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열린다.
━
LG디스플레이, 차량용 스트레처블 공개
LG디스플레이 차량용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제품. 사진 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는 미래 모빌리티에 최적화된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선보인다. 늘이기, 접기, 비틀기 등 어떤 형태로든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차량 센터페시아에 적용한 시제품이 대표적이다.
차량용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는 평평한 화면을 필요에 따라 특정 부분만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해 터치형 버튼처럼 구현해냈다. 기존에는 운전 중 디스플레이를 주시하지 않으면 정확한 터치 지점을 파악하기 어려웠지만, 터치형 버튼이 튀어나와 있으니 운전자가 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차량 실내 천장에 돌돌 말아 숨길 수 있는 ‘슬라이더블 OLED’ 등 새로운 차량용 디스플레이도 선보일 예정이다. LG디스플레이는 영하 40도 혹한부터 영상 85도 초고온까지 극한 환경에서도 작동할 수 있는 신뢰성과 내구성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
삼성 ‘올해의 디스플레이 상’ 수상
LEAD™ 기술 구조도. 사진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는 무편광판 OLED 기술로 ‘올해의 디스플레이 상’을 받는다. SID가 수여하는 가장 권위 있는 상으로, 한 해 동안 출시된 가장 혁신적인 디스플레이에 주어진다.
무편광판 기술은 기존 OLED 패널에 필수적으로 적용되던 플라스틱 소재 편광판의 기능을 패널 내부에 내재화한 ‘온 셀 필름’(OCF)으로 구현했다. 2021년에 삼성디스플레이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뒤 현재 ‘LEAD™’라는 브랜드명으로 폴더블 스마트폰 등에 활용되고 있다.
SID 측은 “불투명한 플라스틱 시트인 편광판을 대체하는 OCF 기술을 통해 휘도(화면 밝기)를 개선하고 야외 시인성을 높이면서, 패널 두께도 20% 더 얇게 만들었다”고 소개했다.
━
차세대 OLED, 한국 기업들 주도
OLED 패널 시장은 TV를 비롯해 각종 스마트 기기, 전장(차량용 전기·전자 장비) 등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최대 수요처인 TV만 보더라도 올해 OLED TV 출하량은 655만대(옴디아)로, 지난해보다 7.8% 증가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특히 액정표시장치(LCD)보다 전력 소모가 적은 OLED는 에너지 효율이 중요한 인공지능(AI) 기기를 비롯해 전기차·자율주행차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특히, 차량용 OLED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40% 이상의 고속 성장이 전망된다. 차량 안전 규격을 통과해야 하는 만큼 오랜 양산 경험과 기술력을 갖춘 국내 기업들이 중국보다 경쟁 우위에 있다는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애플의 폴더블폰 출시 등 앞으로 고사양 OLED 패널의 수요가 더욱 늘어날 것”이라며 “차세대 OLED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수록 국내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