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녹색연합과 경북 지역 가보니
산 100m 떨어져도 ‘불비’엔 속수무책
1000도 불에 철도휘어···“전쟁터 같다”
“집에 물 뿌려”···소화장치 마을 ‘다행’
적막 속 피해 덜 입은 한 주민, 자책도
“떠나려고 한다”···곳곳서 ‘유령도시화’
학교→체육관→모텔, 이재민들 ‘전전’
산 100m 떨어져도 ‘불비’엔 속수무책
1000도 불에 철도휘어···“전쟁터 같다”
“집에 물 뿌려”···소화장치 마을 ‘다행’
적막 속 피해 덜 입은 한 주민, 자책도
“떠나려고 한다”···곳곳서 ‘유령도시화’
학교→체육관→모텔, 이재민들 ‘전전’
9일 경북 의성군에 있는 한 공장이 산불로 형체를 알아볼 수 없게 무너졌다. 사진제공=녹색연합
[서울경제]
“저 뒷산에서 불씨가 된 솔방울과 잔가지들이 연기를 타고 치솟았습니다. 이 불씨들이 강풍을 타고 저 산과 도로를 넘어와 공장 위로 마치 비우박처럼 떨어진 겁니다.”
서재철 녹색연합 상임전문위원은 9일 경북 의성군 한 도로에서 불로 철이 휘고 지붕이 주저앉은 한 공장을 보면서 이렇게 말했다. 이 공장은 이번 경북 산불의 ‘무서움’을 고스란히 보여줬다. 공장을 안은 듯이 자리한 양 옆의 산은 육안으로 공장과 100미터 이상 떨어져 있다. 둘 사이에는 논과 도로, 하천까지 자리한다. 지리적으로는 산불 위험이 없는 곳에 위치했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번 산불의 특징인 ‘무차별적인 불비’에 속수무책으로 당했다. “이런 식의 산불이면 우리 나라 어떤 곳도 안전하지 않은 것 아닌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서 위원은 고개를 끄덕였다.
경북 산불은 30명의 목숨을 앗아가고 3000여명의 이재민을 만든 최악의 재난이다. 서 위원과 기자는 경북 안동시·의성군에 있는 마을 4곳을 찾았다. 4곳 모두 이 공장처럼 산으로 둘러싸였다. 하지만 공장 위치와 달리 산과 마을이 닿아 더 위험했다. 게다가 불씨를 태운 바람은 산불 내내 현장에서 “태풍 같았다”고 토로할만큼 셌다. 결국 1곳은 마을 전체가, 다른 2곳은 마을 절반 넘게 불길에 무너졌다. 나머지 1곳은 다행히 한두 채만 그을리면서 화마를 피했다. 서 위원은 “전쟁터와 다를 바 없다”고 말했다.
9일 경북 의성군 점곡면에 있는 한 마을 이장이 비상소화장치를 사용하는 법을 설명하고 있다. 양종곤 기자
산불이 비껴 간 의성군 점곡면에 있는 A 마을. 다른 피해 지역과 결정적인 차이는 마을 입구에 비상소화장치가 마련됐다는 점이다. 산불이 나자 이 마을 이장과 주민은 비상소화장치 문을 열고 호스를 꺼내 집 지붕과 벽에 물을 뿌렸다. 결국 이 집은 바로 뒤 산까지 불이 내려왔지만, 집으로 불길이 옮겨 붙지 않았다. 이 집 옆에는 비닐도 한가득 쌓여 있어 아찔했다고 한다. 이 마을 이장은 “천만다행으로 바람의 방향까지 바뀌었다”며 “소방관들이 정말 열심히 해줬다”고 말했다. 녹색연합에 따르면 경북에는 비상소화장치가 434개 비치됐다. 2022년 대형 산불 피해를 겪은 강원(1852개)의 4분의 1도 안 된다. 이번 산불 피해가 컸던 경북 7개 지역은 110개에 불과하다. 110곳 중 하나가 이 마을에 설치됐다. 마을 이장은 처음 산불을 경험했다면서도 서 위원도 “참 큰 일을 하셨다, 이장님 덕분이다”고 말할 만큼 기민하게 대응했다. 소방용수가 부족할까 봐 자신이 직접 소형 굴삭기로 하천 중간에 사각형태의 물웅덩이를 팠다고 한다. 예상대로 진화대와 소방관은 물이 부족하자 이 웅덩이 물을 썼다. “이렇게 큰 산불이니 물이 부족할 것 같았다, 다행히 하천을 파니 지하수가 솟았다”고 말하는 이장 뒤로 할머니들이 “이장이 참 잘했다”는 칭찬이 이어졌다.
9일 경북 의성군에 있는 한 마을에서 산불 피해를 입은 할머니가 자신의 집을 떠나지 못하고 있다. 양종곤 기자.
안타깝게도 의성군에 있는 B 마을은 마을 전체가 전소됐다. 이 곳은 버스가 다니는 주도로에서 벗어나 10분 가량 산과 닿은 도로를 따라 가야 하는 곳에 있다. 도로는 소방차는커녕 자동차 1대가 겨우 지날 정도로 좁았다. 도착한 마을은 폭격을 맞은 전쟁터처럼 느껴졌다. 집마다 뼈대가 불타 주저앉은 지붕 아래 창문, 마루, 벽 모두 까맣게 그을렸다. 집 뒤 겨울 땔감용으로 쌓아 놓은 통나무들이 검게 쌓여있다. 한 달전만하더라도 주민이 살던 여느 산골마을이 수 십년 방치된 곳처럼 적막이 흘렀다.
철도 못 견뎠다. 한 창고 안에 있던 철제 캐비넷들이 휴지처럼 우그러질 정도의 불이었다. 서 위원은 “산불 온도는 1000도에 이를 수 있다”고 말했다. 주민 대피소에서 온 한 할머니는 자신의 집 주변을 거닐면서 떠나지 못했다. 할머니를 부축해 함께 온 봉사자로 보이는 한 여성은 “혹시 면사무소에서 피해 현황 조사에 나왔느냐”며 말을 잇지 못하는 할머니를 대신해 피해 규모를 설명하려고 했다. 기자와 서 위원이 공무원이 아니라고 하자, 실망한 듯 둘은 다시 집으로 향했다. 그나마 할머니의 집은 불연 소재로 집을 지어 벽에 불이 닿은 흔적이 없었다. 하지만 ‘불비’는 이 할머니의 집 지붕에도 내렸다. 서 위원은 산과 맞닿은 한 집 뒤편을 가리키면서 “이제 폭우 때 산사태를 대비해야 하는데, 축대벽을 쌓는 게 현재로선 가장 빠른 대책”이라고 답답해했다.
버스가 다니는 도로 옆에 있는 C 마을은 20여채가 모였는데 절반 이상 가옥이 쓰러졌다. 주민이 있어야 할 자리에 외부인만 분주했다. 집 옆길은 쓰러진 지붕, 문, 나무들 탓에 걷기 어려웠다. 행정관청 직원으로 보이는 이들이 불에 탄 집에 들어가 연신 카메라 셔터를 눌었다. 이 마을에서 만난 한 40대 주민은 “저 산에서 불기둥이 솟아 올랐다”고 당시 상황을 말했다. 그는 집 밖에 있다가 산불이 났다는 소식에 집으로 달려와 귀중품을 챙긴 뒤 인근 어르신 집들을 찾아 대피하라고 알렸다고 한다. 하지만 이 마을도 이제 예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 그는 “집이 다 타버린 어르신들은 이 마을을 떠나 아들·딸 집에 살겠다고 한다”며 “피해 복구가 되더라도 이 마을이 예전처럼 마을로 남을지 모르겠다, 우리 집이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어 미안한 마음 뿐”이라고 말했다.
20분쯤 차로 이동할 때 서 위원이 “잠시 차를 멈추자”고 했다. 서 위원과 함께 둘러본 지역은 논 중간에 농사를 짓기 위해 장비나 비료 등을 모으는 임시 가옥, 축사가 있었다. 서 위원은 “이 지역도 영상으로 남겨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며 드론을 띄웠다. 드론으로 찍히는 영상을 보면서 깊은 한숨을 쉬었다. 기자가 한 집에서 다가서자 두 마리의 개가 사납게 짖었다. 한 마리는 털이 연기에 검게 그을렸다. 다른 한 마리는 오랜 만에 사람을 본 듯 격하게 뛰어올랐고, 뛸 때마다 철목줄에서 ‘챙챙’ 소리가 났다. 이 개는 숨이 막혔는지 ‘컥컥’ 소리냈다. 사료는 그릇에 말라 달라붙었고 물 그릇도 비었다.
9일 경북 의성군에 있는 가옥들이 산불에 타 무너졌다. 사진제공=녹색연합
안동시 안동체육관에 마련된 이재민 임시대피소에는 텐트 동 앞에 할머니 10여분이 모여 있었다. 저마다 걱정과 시름이 한 가득했지만, 선뜻 말을 잇지 못했다. 한 할머니는 “산불을 TV에서만 봤지, 우리가 겪을 줄은 몰랐다”고 허탈했다. 손에 쥔 손수건만 접었다가 폈다가 꼭 쥐는 한 할머니는 끝내 아무 말이 없었다. 다른 어르신은 “벌써 세 번째 대피소인데, 또 떠나야 한다”고 말했다. 처음 대피소가 마련됐던 두 학교는 학생들 수업 문제로 비워줘야 했다고 한다. 옮겨갈 곳은 안동역 주변에 있는 모텔이라고 했다. 그 다음 안동시에서 임시 주택을 제공하면, 당분간 이들은 그 곳에서 지내야 한다. 입시조립주택이라는 이 집은 ‘집’이 아니다. 약 8.2평으로 건설현장 임시 가건물인 컨테이너를 연상하게 했다. 그나마 이 주택을 설명하는 안내현수막에는 ‘실제 지원된 입시주택은 실제와 다를 수 있다’고 써 있다. 그래도 할머니들은 다행이라고 했다. “불 났을 때 젊은 사람들이 와서 우리를 차로 데려왔다, 한 두 집이 불탔으면 모르겠는데, 이런 난리에 우리 먼저 (정부에) 도와 달라고 할 수 있나. 컵라면도 있고, 빵도 많이 있다. 대피소 온 공무원들도 밤새 참 고생많다.”
9일 경북 의성군 산에 있는 나무들이 산불로 까맣게 탔다. 사진제공=녹색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