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 작가. 유튜브 갈무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여러 여론조사 3자·양자 가상대결에서 누구와 붙어도 과반을 넘는 지지율을 보이는 가운데 유시민 작가가 “민주당 주류와 정서적 일체감이 높아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유 작가는 23일 유튜브 방송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 나와 이 후보의 높은 지지율의 배경에 민주당 지지층의 압도적 지지세가 있다고 분석했다. 민주당 비주류로 주류와 거리감을 보였던 이 후보가 12·3 내란사태를 계기로 민주당 주류와 완벽한 정서적 일체감을 보이며 진정한 주류 반열에 올랐다는 주장이다. “시련을 겪으면서 생긴 전우애”가 이 후보와 민주당 지지층 사이에 있다는 것이다.
유 작가는 “민주당의 주류가 되는 당원, 지지자들은 크고 작든 5·18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트라우마를 갖고 있는 사람들인데 이번에 내란 사태를 같이 겪으면서 (이 후보와) 한 몸이 돼버렸다”며 “그전까지는 (이 후보를) 우리의 도구로 쓸 수 있을까가 민주당 주류의 고민이었다면 지금은 정서적으로 일체감이 굉장히 높아졌고, 리더십도 인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반면 국민의힘의 경우 내란 사태를 계기로 지지층의 토대가 분열됐다고 봤다. 최근 발표된 여러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후보’를 찍겠다는 응답에 견줘 특정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응답이 더 낮게 나오는 것이 그 방증이라고 유 작가는 주장했다.
그는 “김문수를 지지하는 상당수는 죽었다 깨어나도 한동훈을 못 찍고, 한동훈을 지지하는 사람 중에는 죽었다 깨어나도 김문수나 홍준표는 못 찍겠다는 것”이라며 “내란을 일으켰다가 탄핵 돼서 보수진영 전체가 난장판이 된 조건에서 전체를 하나로 통합시킬 후보가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내란 사태로 지지층과 대선 후보 간 유대감이 형성된 민주당과 달리, 국민의힘은 지지층의 정서적, 이념적 분열이 심화하고 있다고 짚은 것이다.
유 작가는 “이재명의 강세, 국민의힘 후보의 약세가 지속되면 선거는 끝난 거다. 후보 등록 전에 선거가 끝나있는 상황으로 가는 것”이라며 “(기세가) 안 꺾일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