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보잉 항공기 인도 말라" 정부 명령에
현지서 인도 기다리던 항공기 미국행
"미중 상호 관세에 보잉이 희생됐다"
19일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킹카운티 국제공항에 중국에서 돌아온 보잉 737 MAX 항공기가 착륙해 있다. 중국 샤먼항공의 도장을 입고 있다. 시애틀=로이터 연합뉴스


중국에서 항공사의 인도만을 기다리던 미국 보잉사의 항공기가 미국 본토로 되돌아온 것으로 20일(현지시간) 알려졌다.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한 보복의 일환으로 중국 정부가 자국 항공사들에 '보잉사 항공기 인도를 중단하라'는 명령을 내린 데 따른 결과다. 보잉이 미중 관세 전쟁의 첫 번째 희생양이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항공사 도장 작업까지 마쳤는데...



이날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 샤먼항공이 인수할 예정이던 보잉 737 맥스 항공기가 전날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의 보잉 생산기지로 돌아왔다. 이 항공기는 중국 저장성 저우산에 위치한 보잉의 완성센터에서 인도 대기 중이던 항공기 중 1대였다. 샤먼항공의 도장까지 입힌 상태였으나, 항공사 품에 안기지 못하고 약 8,000㎞를 날아 시애틀로 되돌아왔다.

앞서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정부가 지난 12일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25%로 올린 직후 항공사들에 '미국산 항공기 인도 중단'을 명했다고 보도했다. 항공기뿐 아니라 관련 장비나 부품을 구매하는 것도 사실상 금지시켰다.

보잉이 중국 항공사들에 인도하기로 한 항공기는 이달 초 기준 10대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10대 중 일부는 시애틀에, 다른 일부는 저우산에 주기돼 있었다고 한다. 당초 관련 업계에서는 저우산에 있는 항공기들의 경우 인도 마무리 단계인 만큼 예외적으로 인도가 허용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그러나 1대가 결국 미국으로 되돌아오면서 10대 모두 인도되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다. 최근 중국 지샹항공도 수 주 내 넘겨받을 예정이었던 1억2,000만 달러(약 1,700억 원)짜리 보잉 787-9 드림라이너 인수를 보류한 바 있다. 로이터는 "미중 간 상호 보복 관세 조치로 (보잉의 항공기가) 희생됐다"고 평했다.

미국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의 로고. AFP 연합뉴스


"보잉 갈등, 미중 공멸시킬 수도"



이날 보잉 항공기의 미국 귀환은 중국 정부의 인도 중단 지시가 직접적인 원인이었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그와 같은 명령을 하지 않았더라도 "관세 부담만으로 미국산 항공기와 부품 가격이 2배 이상 오르며 중국 항공사들이 보잉 항공기를 인수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불가능해졌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중국 시장을 잃는 것은 보잉에 치명적이다.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 발발한 미중 무역 갈등 이전까지만 해도 보잉이 생산하는 전체 항공기의 25%가 중국에 납품됐다. 중국 항공사들은 향후 20년간 전 세계 항공기 수요의 약 2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보잉과의 절연은 중국에도 만만찮은 타격이 될 것이라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이 이날 지적했다. 중국 정부는 외국 항공기 제조사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자국 기업 중국상용항공기공사(COMAC·코맥)에 수백억 달러를 투자하는 등 지원하고 있는데, 코맥이 만드는 항공기 부품 대부분이 미국 등 외국산이다. 중국 전문가인 스콧 케네디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선임 고문은 2020년 보고서에서 코맥의 대표 항공기 C919의 경우 핵심 부품 공급업체가 82곳인데 그중 중국 업체는 14곳뿐이라고 짚었다. WSJ는 "C919는 미국 기업들의 기술이 없으면 상용 운항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진단했다.

이 때문에 항공산업을 둘러싼 미중 무역 분쟁은 양국 모두 공멸하는 결과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결과적으로 세계 항공기 시장에서 보잉과 양대산맥을 이루는 유럽의 에어버스만 반사이익을 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799 교황이 미 부통령에게 준 ‘부활절 계란’…“이주민 포용하라”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98 “이건 尹대통령이 발표해야”…‘대왕고래’ 날린 어공의 속삭임 [尹의 1060일 ⑫]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97 윤 측 “의원 끌어내기가 가능?”…경비단장 “불가능 알면서 왜 지시?”​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96 콜드플레이 추천 韓대통령이 나경원?…패러디 영상 뭇매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95 홍준표 "키높이 왜" 공격 다음날…한동훈 "탈당∙구태∙특활비" 반격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94 '불닭 어머니'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왜 지주사 대표를 관뒀나 [지구촌 식탁 파고드는 K푸드]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93 홍준표 “노인연령 65→70세 상향…정년연장·임금피크제 도입”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92 "우리에게 앞이 있긴 할까요"... 눈물 쏟았던 르세라핌, 화려하게 부활하다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91 "의료진 갈아넣었는데…" 빅5도 못받는 환자 살려낸 병원 비명 왜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90 [속보]봉천동 농약살포기 방화, 범행 15분 전 인근 주택가 ‘연습 장면’ 포착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89 한덕수 "24일 저녁 9시"... 정치 운명의 시간 스스로 밝혔다 랭크뉴스 2025.04.21
46788 첫 공개된 ‘피고인 윤석열’, 오늘은 말없이 꾸벅꾸벅 졸기만 했다 랭크뉴스 2025.04.21
46787 "中 반격 빈말 아냐"…도색 마친 800억 보잉기, 美로 돌려보냈다 랭크뉴스 2025.04.21
46786 홍준표 ‘키높이 구두’ 공격에 ‘눈썹 문신’ 꺼내든 한동훈 캠프 랭크뉴스 2025.04.21
46785 김상욱 탈당도 시사 “국힘, 윤석열 제명해야…안 되면 거취 고민” 랭크뉴스 2025.04.21
46784 한동훈 "'계엄 헤프닝?' 코로나 때보다 자영업자 힘들어" 랭크뉴스 2025.04.21
46783 “아이 안 낳는 여성 감옥 보내야”발언한 남교사···교육청 등 조사착수 랭크뉴스 2025.04.21
46782 40년전 사고로 9살 아들 보낸 어머니, 치료 병원에 1억 기부 랭크뉴스 2025.04.21
46781 인순이, 김종민 결혼식 인증샷 올렸다가 사과 "마음 무거워" 랭크뉴스 2025.04.21
46780 만취운전 30대, 경찰 피해 아파트 쓰레기통에 숨어있다 덜미 랭크뉴스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