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 맞서 끝까지 싸운다" 마오쩌둥까지 소환…애국심 자극
"미국인 손님은 104% 서비스비용을 내세요"
[SCMP 캡처. 재판매 및 DB금지]
[SCMP 캡처. 재판매 및 DB금지]
(서울=연합뉴스) 권숙희 기자 = 무역전쟁으로 미국과 중국 간 대립이 격화하는 가운데 중국에서 반미감정과 애국주의가 확산하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1일 보도했다.
최근 중국의 많은 자영업자가 미국인 손님에 대한 차별적 메시지를 담은 안내문을 게시하거나 미국산 수입품을 자발적으로 판매하지 않겠다고 하는 등의 대응을 보이기 시작했다.
중국 우한에서는 한 고깃집이 내건 "미국 국적의 손님은 추가 서비스 비용으로 104%를 내세요. 이해가 안 되는 게 있다면 미국대사관에 가서 문의하세요"라 안내문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퍼졌다.
104%라는 수치는 이 사진이 찍혔을 당시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부과하겠다고 한 관세율로 추정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對)중국 관세를 계속해서 인상할 때마다 중국 당국이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식으로 같은 비율의 관세를 매기며 보복하는 방식을 취하자 중국 민간에서까지 이러한 반응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안내문을 내건 식당, 술집, 당구장, 주얼리샵 등의 다양한 사진이 온라인에서 공유되면서 중국 네티즌의 엇갈린 반응을 불러일으켰다고 SCMP는 짚었다.
한 네티즌은 "이런 식의 대응에 반대한다"면서 "오히려 할인을 해줘 미국인이 방문해 중국산을 더 많이 사고 돈을 쓰게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한 신발 제조업자는 더우인(중국의 틱톡)에서 앞으로 미국 사업파트너들과 거래하지 않겠다고 밝히는 영상을 게시해 이목을 끌었다.
그는 영상에서 자신의 80만 팔로워들을 향해 "손해를 보더라도 나는 물건을 (미국에) 수출하지 않기로 했다"면서 "사업에서 돈을 버는 것보다 중요한 건 애국심이다"라고 말했다.
또 다른 스마트폰 판매업자는 "매일 같이 관세를 올려대니 나는 이제 미국산 폰은 팔지 않을 것"이라면서 애플의 아이폰을 매대에서 치우는 모습을 공개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에 대해 "애국적이고 멋있다"는 평가와 함께 "사업 홍보를 위한 기회주의적인 행동"이라는 비판도 나왔다.
이와 더불어 중국 소셜미디어에서 '미국의 관세 인상 반대'라는 제목의 노래가 주목받기도 했다.
중국의 투훙강이라는 가수의 애국가요를 개사해 만든 이 노래는 '미국의 세금 인상에 관해 얘기하자면, 그들이 늘 그래왔듯 이기적인 행동을 하며, 자신만의 이익을 위한 사악한 의도로 전 세계를 적대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중국 당국도 이러한 분위기를 부추기고 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엑스(X·옛 트위터)에 전날 1953년에 촬영된 마오쩌둥의 영상을 게시했다.
한국전쟁 당시 중국의 참전을 언급하면서 마오쩌둥은 "이 전쟁이 얼마나 오래갈지 우리는 알 수 없지만, 얼마나 오래 가든 우리는 절대 굴복하지 않을 것이며 완전한 승리를 거둘 때까지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항미원조전쟁'은 중국과 미국 군대가 대규모로 직접 전투를 벌인 최초이자 유일한 사례라고 SCMP는 설명했다.
마치 지금 중국이 미국에 하고 싶은 말처럼 들리기도 하는 마오쩌둥의 메시지는 조회수가 하루 만에 1천만건이 넘었다.
마오닝 대변인은 중국인의 애국심을 고취하거나 미중 무역전쟁을 풍자하는 게시물을 연일 올리며 여론을 더욱 자극하고 있다.
마오쩌둥의 영상 올린 중국 외교부 대변인
[마오닝 엑스 계정 캡처. 재판매 및 DB금지]
[마오닝 엑스 계정 캡처. 재판매 및 DB금지]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