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1일 인천국제공항 입국장에서 취재진에게 방미 성과를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11일 “미국이 한국·일본과의 통상 협상을 원만하게 진행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정 본부장은 8~9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해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 고위 당국자들과 면담한 뒤, 이날 인천공항에서 귀국하며 이같이 전했다.
그는 “이번 방미는 상호관세와 철강, 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 협상의 틀을 마련한 것이 가장 큰 성과”라며 “1차 면담보다 실질적이고 친밀한 분위기에서 협의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미국 측 협상 파트너로는 주로 USTR이 대응하며, 재무부와 상무부 장관들도 참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정 본부장은 윌리엄 키밋 상무부 국제무역 차관 내정자, 제프리 케슬러 산업안보국 차관 등도 만나 한국에 부과된 25% 상호관세에 대한 입장을 전달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와 통상 관계를 원만히 이끌기 위한 구체적 논의를 진행했다”며 “USTR 측도 한국과의 협상 준비를 본격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정 본부장의 방미 기간 중 한국 등에 부과된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밝히며, 기본관세 10%만 적용키로 했다. 반면 중국에 대한 관세는 125%로 인상했고, 중국도 동일한 수준의 보복 조치에 나섰다.
정 본부장은 “관세 전쟁이 상상 이상으로 과열되고 있다”며 “중국과 거래 중인 우리 기업들에 대한 최적 대응 방안을 적극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6월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협상이 적절하냐는 질문에는 “일정보다 국익이 우선”이라며 “적은 양보로 최대 성과를 내는 것이 통상 당국의 책무”라고 강조했다.
방위비 분담과 통상 협상의 연계 가능성에 대해선 “트럼프 대통령의 SNS에서 그런 메시지를 봤지만, 이는 국가 차원의 문제”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