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해 육아휴직 13만2천명 최다
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육아휴직을 한 직장인이 13만2천여명으로 역대 최고로 나타났다. 남성 육아휴직자 비중도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고용노동부는 23일 보도자료를 내어 지난해 출산휴가, 육아휴직 등 일·육아지원 제도 혜택을 받은 수급자 수는 25만6771명이라고 밝혔다. 2023년 수급자 수 23만9529명과 견줘 7.2%(1만7242명) 증가했다.

지난해 육아휴직 수급자 수는 13만2535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12만6008명보다 5.2%(6527명) 늘어 역대 최고치다. 특히 남성 육아휴직자는 전체의 31.6%인 4만1829명으로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육아휴직 평균 사용 기간은 8.8개월로, 여성은 9.4개월, 남성은 7.6개월로 나타났다. 노동부는 “자녀 생후 18개월 이내 부모 모두 6개월 육아휴직 사용 때 월 최대 450만원까지 육아휴직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지난해 1월부터 ‘부모 함께 육아휴직제’가 확대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이 제도를 이용한 규모는 5만1761명으로, 2023년(2만3910명)보다 두 배 넘었다.

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기업의 육아휴직자 비중이 여전히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00인 이상 기업의 지난해 육아휴직자 수는 5만4744명으로 전체의 41.3%였다. 이어 100∼300인 기업의 지난해 육아휴직자는 1만7655명(13.3%), 30∼100인 1만7919명(13.5%), 10∼30인 1만8384명(13.9%) 10인 미만 2만3825명(18.0%)이었다. 다만 300인 이상 기업의 육아휴직자 수 자체는 증가하는 반면 비중은 감소했는데, 이는 300인 이하 기업의 육아휴직자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증가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실제 10인 미만 기업의 육아휴직자를 보면 2021년 1만8431명(16.6%), 2022년 2만3056명(17.5%), 2023년 2만2382명(17.7%)로 꾸준히 늘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등 일·육아지원 제도의 수급자 수도 전반적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육아기 근로시간단축 수급자 수는 2만6627명으로 2023년과 견줘 14.8%(2만3188명) 늘었다. 또 지난해 출산휴가 규모도 7만9368명으로 2023년(7만4536명)보다 6.5% 늘었고, 배우자 출산휴가 1만8241명으로 2023년(1만5797명)보다 15.5% 증가했다.

김문수 노동부 장관은 “일하는 부모 누구나 걱정 없이 출산과 육아를 할 수 있고, 경력을 이어갈 수 있도록 올해 확대된 일·가정 양립제도가 현장에서 잘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55 “매출액 적어도 높은 수수료?” 반발 부딪힌 플랫폼 상생안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54 [사설] “반도체 기술 中에 역전”…이래도 주52시간제 족쇄 채울 건가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53 “이스라엘에 죽음을” 폭사 5개월 만 열린 헤즈볼라 수장 장례식에 인파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52 “내 뿌리는 한국인” 한국교육재단에 25억 기부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51 메모리 반도체, 너마저…중국이 기초역량 추월, 낸드도 일본이 턱밑 추격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50 멈출 줄 모르는 중복상장… 증시 상승 가로막는 주범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49 EU서 '금기' 러 동결자산 압류 다시 수면위로(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48 우크라 "북한, 러시아의 최전선 탄약 중 절반 공급"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47 [사설] 우크라戰 3년, 각자도생 시대 ‘서울 패싱’ 막고 국익·안보 지켜야 new 랭크뉴스 2025.02.24
» »»»»» 남성 육아휴직 4만2000명…전체의 30% 처음 넘었다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45 [Today’s PICK] 두산 직원, 육아휴직 쓰면 팀 동료도 50만원 보너스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44 트럼프 며느리 앵커 됐다…첫 방송서 줄줄이 등장한 이 여성들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43 윤석열 쪽 ‘편향’ 주장 헌재 흔들기…법조계 “방어권 충분히 보장”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42 홍준표 “우크라 북한군 포로는 탈북자, 국내 송환해야”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41 美 상무장관 韓 기업들 만나 "10억 달러씩 투자하라"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40 "여권에 이 도장 조심하세요"…北 관광 재개에 커지는 우려 왜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39 美공화, 유엔 탈퇴 법안 발의…"백지수표 더 이상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38 당구장·숙박업소 수두룩…517억 '초등생 교육수당' 황당 실태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37 삽질 공조 [그림판]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36 양자컴퓨터·AI 반도체 수출 땐 산업부 허가 받아야 new 랭크뉴스 2025.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