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배민·쿠팡이츠, 상생 요금제 제시
업주들 “요율 차등 적용 기준 뭐냐”
정치권, 플랫폼 규제법 제정 움직임

배달 플랫폼사가 중개수수료를 인하한 상생요금제를 내놨지만 자영업자들의 반응은 냉담하다. 매출 규모에 따라 구간별로 수수료율이 차등 적용되는데, 기준을 납득할 수 없다는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정치권과 자영업자 단체는 배달의민족 본사를 항의 방문하면서 플랫폼 규제 법안을 제정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배민과 쿠팡이츠는 각각 오는 26일과 4월부터 상생 요금제를 시행한다. 두 업체는 기존 9.8% 수준인 중개료를 매출 규모에 따라 2.0~7.8%로 낮추는 내용의 수수료 개편안을 공개했다.


배민은 이전 3개월 매출을 기준으로 차등 수수료 구간을 정한 뒤 현재 매출에 반영한다. 3개월 내 입점한 신규 업체도 최상위 구간의 수수료를 적용받는다. 배민은 지난 19일부터 입점 자영업자들이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이후 자신의 수수료율을 확인한 자영업자들은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내놓고 있다. 매출이 크지 않은 데도 상위 구간에 포함돼 높은 수수료를 내게 됐다는 주장이 주를 이룬다.

서울에서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운영 중인 한 업주는 “하루 10만원도 못 파는 날이 허다한 데 상위 35%에 포함돼 최고 수수료율과 배달비를 내는 게 말이 되느냐”며 “속았다는 기분이 든다. 이것이 상생안 맞느냐”고 반문했다. 다른 점주는 “배민에 등록만 하고 장사 안 하는 집까지 포함하니까 하루 몇 건만 배달해도 35% 안에 들어가는 셈”이라고 분석했다.

답답한 업주들은 “배민 고객센터에 문의해도 상담원이 내부 규정에 따라 기준 매출액을 알려줄 수 없다는 반응만 내놓고 있다”며 불만을 나타냈다. 일부 점주들은 가격 인상을 예고하기도 했다.

쿠팡이츠는 매달 매출을 반영하되 해당 월 매출액을 기준으로 구간을 산정해 추후 차액을 환급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쿠팡이츠 관계자는 “계절성 등의 요인으로 매출이 낮은 월에 그에 맞는 상생요금제 구간 반영이 가능해 업주들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다만 일부 점주들은 사후 환급 방식이라 손익 등을 미리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점주 단체와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는 지난 20일 배민 운영사인 서울 송파구 우아한형제들 본사를 항의 방문했다. 이들은 “상생협의체를 통한 논의가 자영업자들을 보호하고 플랫폼 회사들의 독점을 해소하기 위한 과정이었지만 결과적으로 생색내기에 불과한 합의안이 됐다”고 주장했다. 수수료 기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라고 요구하는 동시에 정부와 국회가 나서서 수수료율 상한제 등 내용을 담은 법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민 관계자는 “업주분들의 불만을 인지하고 있지만 영업비밀에 해당하는 구간별 매출 기준을 공개하는 것은 어렵다”며 “사회적 합의를 통해 도출한 상생안이 이제 막 시행되는 만큼 앞으로도 업주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개선할 점을 찾겠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59 韓만 2배 더 비싸게 받고… 저가 요금제 국가 늘리는 유튜브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58 김경수, ‘이재명 중도보수 발언’에 “제 말씀과 같은 취지” 힘 실어주기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57 AI로 내가 먼저 돈 번다…통신3사 수장 ‘바르셀로나 결투’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56 국회예산정책처 “국민연금 2057년 바닥”…2년 앞당겼다 원복 new 랭크뉴스 2025.02.24
» »»»»» “매출액 적어도 높은 수수료?” 반발 부딪힌 플랫폼 상생안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54 [사설] “반도체 기술 中에 역전”…이래도 주52시간제 족쇄 채울 건가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53 “이스라엘에 죽음을” 폭사 5개월 만 열린 헤즈볼라 수장 장례식에 인파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52 “내 뿌리는 한국인” 한국교육재단에 25억 기부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51 메모리 반도체, 너마저…중국이 기초역량 추월, 낸드도 일본이 턱밑 추격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50 멈출 줄 모르는 중복상장… 증시 상승 가로막는 주범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49 EU서 '금기' 러 동결자산 압류 다시 수면위로(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48 우크라 "북한, 러시아의 최전선 탄약 중 절반 공급"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47 [사설] 우크라戰 3년, 각자도생 시대 ‘서울 패싱’ 막고 국익·안보 지켜야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46 남성 육아휴직 4만2000명…전체의 30% 처음 넘었다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45 [Today’s PICK] 두산 직원, 육아휴직 쓰면 팀 동료도 50만원 보너스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44 트럼프 며느리 앵커 됐다…첫 방송서 줄줄이 등장한 이 여성들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43 윤석열 쪽 ‘편향’ 주장 헌재 흔들기…법조계 “방어권 충분히 보장”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42 홍준표 “우크라 북한군 포로는 탈북자, 국내 송환해야”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41 美 상무장관 韓 기업들 만나 "10억 달러씩 투자하라"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40 "여권에 이 도장 조심하세요"…北 관광 재개에 커지는 우려 왜 new 랭크뉴스 2025.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