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학생 찬반집회 소식에 집결…곳곳 욕설·몸싸움에 경찰 배치
교문 사이에 두고 열린 찬반 집회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21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 교문을 사이에 두고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대한 찬반 집회가 열린 가운데 보수단체 회원이 대치 중 정문을 넘어가려다 제지당하고 있다. 2025.2.21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21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 교문을 사이에 두고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대한 찬반 집회가 열린 가운데 보수단체 회원이 대치 중 정문을 넘어가려다 제지당하고 있다. 2025.2.21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이동환 정윤주 이율립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여부를 두고 학생들의 찬반 집회가 예고된 고려대 캠퍼스에 유튜버와 외부 단체가 몰려와 큰 혼란이 빚어졌다.
탄핵 찬성 집회와 반대 시국선언이 21일 오후 고려대에서 열린다는 소식에 찬반 단체, 유튜버,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교내 중앙광장에 모여들어 뒤엉켰다.
이들 대부분은 재학생이 아니었다. 중·장년층으로 보이는 사람도 많았다.
이들은 "내란 옹호 극우세력 물러가라", "내란 세력 이재명을 구속하라" 등 구호를 주고받았다. 서로를 향해 욕설하며 곳곳에서 몸싸움도 일어났다.
캠퍼스 안으로 태극기를 든 윤 대통령 지지자들과 극우 유튜버들이 진입했고, 탄핵에 찬성하는 조국혁신당, 한국대학생진보연합(대진연) 등 깃발도 곳곳에서 등장했다.
결국 경찰 기동대와 고려대 직원들이 나서 정문을 닫고 양측을 떼어놨다. 유튜버들은 "빨갱이 XX들", "니들이 우파 XX들이냐"고 외치며 말싸움을 이어갔다.
고려대 정문 앞에서는 경찰 기동대가 방패를 들고 질서 관리에 나섰다. 대학 정문 앞에 경찰이 동원된 이례적 광경에 지나가는 시민들도 발걸음을 멈춰섰다.
고려대 앞 경찰 기동대
[촬영 정윤주]
[촬영 정윤주]
정문 바깥에는 탄핵 반대 측이 모였다. 오후 5시 기준 경찰 비공식 추산 340명으로 이 가운데 재학생은 20명 정도였고 윤 대통령 지지자와 유튜버가 320명이었다.
정문 안 중앙광장에 모인 탄핵 찬성 측(경찰 비공식 추산 165명)도 재학생은 20명쯤 됐고 탄핵 지지자 130명, 유튜버 15명이었다.
탄핵 찬성 유튜버들이 보수 유튜버들의 캠퍼스 진입 시도를 막던 과정에서 2명이 부상을 호소해 병원으로 이송됐다.
보수 유튜버들은 "빨갱이 쇼하지 말라"며 앰뷸런스에 실려 가는 유튜버에게 욕설했다. 일부 보수 유튜버는 바닥에 드러누워 자기 모습을 생중계했다.
양측은 정문을 사이에 두고 대치를 이어가다 오후 6시께 대부분 해산했다.
고려대 중앙광장에 모인 탄핵 찬성 단체
[촬영 이율립]
[촬영 이율립]
민주광장에서 열린 탄핵 찬성 집회에서 대학원생 오수진씨는 "비상계엄 옹호 세력이 감히 민주화 성지인 고려대 캠퍼스에서 활개 치는 것을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집회에는 민주화운동에 참여한 졸업생 모임인 고려대 민주동우회 등 100여명이 모여 "민주광장을 지켜내자", "열사 정신을 계승하자" 등 구호를 외쳤다.
정문 앞에선 탄핵에 반대하는 재학생 김미강씨가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고 선배들이 피와 땀으로 세운 대한민국 기치를 지키자"고 말했다.
주변에 모인 학생과 윤 대통령 지지자들은 "부정선거 고대는 밝혀낸다", "공산당을 몰아내자" 등을 외쳤다. '국민변호인단' 어깨띠를 두른 지지자도 있었다.
교문 사이에 두고 열린 찬반 집회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21일 서울 고려대에서 '윤석열 퇴진 긴급 고려대 행동을 준비하는 모임' 소속 학생 및 동문들이 교문 밖에서 집회 중인 '대통령 탄핵을 반대하는 고대인들' 소속 회원들과 교문을 사이에 두고 집회하고 있다. 2025.2.21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21일 서울 고려대에서 '윤석열 퇴진 긴급 고려대 행동을 준비하는 모임' 소속 학생 및 동문들이 교문 밖에서 집회 중인 '대통령 탄핵을 반대하는 고대인들' 소속 회원들과 교문을 사이에 두고 집회하고 있다. 2025.2.21 [email protected]
대학생 익명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는 "학교에서 하는 시위면 외부인이 아니라 자교 학생들이 중심이 돼야 하는 게 맞지 않느냐", "거의 다 외부인인 것 같은데 왜 남의 학교 와서 난리냐", "외부인이라도 막아달라" 등의 글이 올라왔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