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 ‘도어록 화재 실험’ 결과
■ "해외직구 중국산 디지털 도어록 일부, 화재 시 문 못 열어"
디지털 도어록은 집안에서 불이 나면 거주자가 밖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고온에서도 수동 레버(개폐장치)를 작동해 문을 열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한국소비자원이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하는 해외 직구 도어록 검색 상위인 중국산 10개 제품을 '화재 시험'한 결과는 달랐습니다.
아래 중국산 3개 제품은 문이 잠긴 상태로 수동 레버 부분이 녹아서 떨어져 버린 바람에, 문을 열 방법이 없었습니다. 불길을 피해 밖으로 탈출할 수 없는 겁니다.
문 안 열린 중국산 제품 3개(한국소비자원) 브랜드명(모델명) XSDTS (DF14) , SANKESONG (3D Face Smart Door Lock), YKESDL (D14P) |
이는 아래에 적은 국내의 안전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건데요.
문제는 이처럼 안전성이 떨어지는 제품이 해외 직구를 통해 쉽게 국내에 유통된다는 데 있습니다.
안전확인대상생활용품의 안전기준 [국가기술표준원 고시] 부속서 22 '디지털 도어록' 6.4 화재 시 대비 시험 도어록의 데드볼드 및 래치볼트를 잠근 상태(이중 잠금장치가 있으면 이중 잠금장치도 잠근 상태)에서 시험기에 넣고 30분 내에 상온에서 270℃까지 상승시켜 10분간 유지한 후 즉시 꺼내 수동 레버로 열 수 있어야 한다. |
■ 리튬이차전지 5개 제품, 화재 시 모두 발화⦁폭발
문이 안 열리는 제품 3개를 포함해, 리튬이차전지가 들어간 제품 5개는 화재 시험 기준인 270℃ 보다 낮은 170℃~260℃ 사이에 모두 불이 나며 폭발했습니다. 브랜드(제품명)은 'Tropernic (17)' 과 '미상(H7)' 입니다.
수동 개폐장치가 녹아떨어지기도 전에, 먼저 폭발로 도어록이 파손돼 문을 열 수 없게 하거나 불을 더 키울 위험이 큰 겁니다.
여기서 한 가지 기억해 둘 게 있습니다.
※주의※ 현재 국내 디지털 도어록은 전원장치로 이차전지(리튬이온전지 등)를 사용할 수 없음. 하지만 오는 5월 7일부터 국내산도 이차전지 사용 가능(국가기술표준원 고시 제2025-0026호)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들은 되도록 건전지를 사용하는 디지털 도어록을 구매하되,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디지털 도어록을 구입할 경우 안전성이 검증된 KC 안전 확인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해" |
■ 제품 1개, 배터리 방전 시 밖에서 문 못 열어…뜯어내야
'Catchface' 브랜드의 제품 1개(모델명 미상)는 비상전원 공급단자가 없어서 배터리가 방전되면 밖에서 문을 열 수 없었습니다. 도어록이나 출입문 자체를 뜯어내야 집으로 들어갈 수 있는 구조인 겁니다.
■ 10개 모두 '국내 표준'과 달라… 설치 전후 문제 발생
또 국내에서 판매·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록의 타공도(출입문에 구멍을 뚫는 위치와 크기)는 표준화되어 있지만, 이번에 시험한 중국산 직구 제품은 10개 모두 국내 규격과 달랐습니다.
따라서 한국소비자원이 직접 설치해 봤더니, 위의 그림처럼 손잡이 부분 구멍이 일부 뚫린 채 남았습니다. 이 구멍을 메워야 하고 설치를 위해 다른 부분에 구멍을 뚫어야 하기도 합니다. 추가 비용이 들고, 이사할 때 원상복구(변상) 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는 거죠.
■ "알리익스프레스 고객센터(1533-6727)에서 환불" … KC 인증 확인해야
한국소비자원은 지난달 국내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제품 6개의 유통을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차단하고, 소비자가 고객센터를 통해 환불받을 수 있도록 조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디지털 도어록은 'KC 인증'을 받아 안전성이 검증된 제품을 설치해야, 불이 나도 문이 열리지 않아 대피하지 못하는 불상사를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