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 중앙지검장 이성윤 포함
12·3 비상계엄과 관련한 내란 혐의로 구속기소 된 노상원 전 국군 정보사령관의 수첩에 문재인 전 대통령,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 등 정치·사회계 인사 다수의 이름이 적혀있었던 것으로 14일 전해졌다.
앞서 노 전 사령관과 윤 대통령 등을 기소할 때 수첩 관련 내용은 공소장에 담기지 않았다. 검찰은 해당 수첩의 내용과 작성 경위, 실행 여부 등을 수사 중이다.
법조계에 따르면 노 전 사령관은 수첩에 알파벳으로 등급을 나눠 ‘수거’, 즉 사살 대상을 나눴다. A급 수거 대상자에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문 전 대통령,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윤 대통령이 대선후보 시절 갈등이 있었던 이 의원도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법조계 인사들도 다수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2023년 9월 이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을 기각했던 유창훈 판사와 ‘김명수 대법관 때 좌파 판사’ ‘이성윤 등 좌파 검사’ 등이 수첩에 적시되어 있다고 한다. 이성윤 민주당 의원은 서울중앙지검장 출신으로 검찰 재직 당시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과 충돌했던 인물이다. 또 방송인 김어준 씨를 비롯해 유시민 작가, 김제동씨, 축구선수 출신인 차범근 전 감독 등 연예계 인사들도 ‘좌파’로 지목된 것으로 전해졌다.
노 전 사령관의 수첩에 “수거” “500여명 수집” “수거 대상 처리 방안” “사살” 등의 문구도 있어 일각에서는 수백명을 체포할 계획을 세웠던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수첩에는 북한과 접촉해 북한을 이용하겠다는 방법도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수첩에는 “외부 용역업체에서 어뢰공격”, “NLL 인근에서 북의 공격을 유도하거나 아예 북에서 나포 직전 격침시키는 방안 등”이라며 북한을 끌어들이려는 듯한 문구도 있었다고 한다.
지난해 12월 노 전 사령관의 수거 대상 사살계획으로 수거 대상을 백령도 등 섬으로 배를 태워 이송하면서 불상의 공격으로 사살한다는 내용이 보도된 바 있다. 수첩에는 북한 등의 공격을 통해 배가 폭발하는 등의 내용도 언급된 것으로 알려졌다.
비상계엄 후속 조처로 보이는 대목도 적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수첩에는 “헌법, 법 개정”이라며 “3선 집권 구상 방안”, “후계자는?”이라고 적혔다고 한다.
검찰은 수첩의 내용이 노 전 사령관의 단순한 생각을 적은 것인지, 아니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과 계엄을 준비하며 남긴 흔적인지, 수첩에 쓴 내용을 현실화하려 했는지 등을 수사 중이다. 검찰은 메모가 파편적으로 기재돼 있어 해석의 여지가 많고, 노 전 사령관이 작성 경위 등에 대해 입을 열지 않아 계엄과의 관련성 등을 더 따져봐야 한다고 보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