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계엄 전 통화 공방…윤 “홍장원엔 격려 전화” 주장 신빙성 의문
조 원장은 “계엄 직전 국무회의서 대통령과 만났는데…” 반박
조, 계엄 때 김건희와 문자 주고받기도…“내용은 기억 안 난다”
‘그날의 기억’ 증언하는 당시 국정원장과 서울청장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답변하고 있다(왼쪽 사진). 이날 오후 헌재에 증인으로 출석한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이 변호인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제공


윤석열 대통령과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비상계엄 선포 당일 한 통화 중 조 원장의 미국 출장과 관련해 엇갈린 진술을 했다. 윤 대통령은 조 원장이 한국에 없다고 생각해 국정원 조직을 책임진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을 격려하기 위해 홍 전 차장에게 전화를 했다고 밝혔다. 반면 조 원장은 한국에 있다는 사실을 윤 대통령에게 분명히 전했다고 증언했다. 두 사람 증언이 배치되면서 홍 전 차장에게 전화한 목적이 ‘계엄과 무관했다’는 윤 대통령 주장의 신빙성이 약해졌다. 윤 대통령이 홍 전 차장의 ‘체포조 메모’ 증언을 부인하기 위해 이야기를 꾸며내다 생긴 허점일 수 있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13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8차 변론에서 “홍 전 차장에게 (비상계엄 관련) 전화할 아무런 이유가 없는데 조 원장이 국내에 있느냐, 해외 미국 출장 중인가에 대한 오해 때문에 시끄러워진 것 같다”며 계엄 당일 저녁 상황에 대해 자신의 말이 맞다고 강변했다.

문제의 통화는 비상계엄 선포 약 2시간30분 전인 지난해 12월3일 오후 8시쯤 윤 대통령이 조 원장에게 전화를 걸어 이뤄졌다. 윤 대통령이 홍 전 차장에게 체포 지시를 내리기 전이다. 당시 윤 대통령은 조 원장에게 “아직도 거기시죠?”라고 물었다. 조 원장은 “아직도 여깁니다”라고 답했다. 한국에 있다는 뜻이었다. 조 원장은 다음날 미국 출장이 예정돼 있었고, 윤 대통령은 관련 보고를 받은 상태였다.

하지만 조 원장 대답을 ‘아직도 미국이다’로 받아들였다는 게 윤 대통령 주장이다. 윤 대통령은 “저는 아직 미국에 계신 줄 알아서 전화를 끊었는데, 강의구 대통령실 부속실장이 (국무회의에) 모시고 오니까 화들짝 놀랐다”며 “‘원장님 미국에 안 계셨어요?’라고 묻자 ‘내일 출발합니다’라고 답했다”고 말했다.

조 원장 진술은 달랐다. 그는 “미국에 안 갔다는 말을 분명히 했다는 거냐”는 국회 측 질문에 “그렇다. 그리고 (비상계엄 직전) 국무회의에서 만나지 않았나”라고 답했다. 경찰 조사 내용대로 통화한 사실이 맞느냐는 김형두 재판관 질문에도 “제 기억은 그렇다”고 했다. 조 원장은 경찰 조사에서 “대통령이 ‘어디세요’라고 하여 제가 ‘여기(국정원 공관) 있습니다’라고 대답하니 대통령이 ‘미국 안 가셨어요?’라고 물어 제가 ‘내일 떠납니다’라고 답했다”고 진술했다. 윤 대통령과 진술이 엇갈리자 조 원장은 “(대통령이) 경황이 없으니까 뒷부분 말씀을 못 들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윤 대통령은 “저는 기억이 정확하다”고 했다.

이 문제는 홍 전 차장이 윤 대통령 지시 후 ‘체포조 메모’를 작성했다는 증언의 신빙성과 직결된다.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이 자신에게 전화해 “‘싹 다 잡아들여. 방첩사를 도우라’고 말했다”고 진술했다. 윤 대통령 전화를 받은 후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체포 대상자 명단을 불러줬다는 것이 홍 전 차장 설명이다. 윤 대통령은 5차 변론에서 조 원장이 국내에 없다는 것을 알고 격려차 홍 전 차장에게 전화했을 뿐, 계엄과 무관했고 간첩을 잡아들이라는 의미였다고 주장했다. 홍 전 차장은 체포조 관련 내용을 폭로했고, 비상계엄 3일 후 해임됐다.

국회 측은 이날 조 원장이 계엄 전날인 12월2일 김 여사에게 문자메시지 2통을 받았고, 3일 답장을 보낸 사실을 공개했다. 조 원장은 “(문자 내용은)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756 "천하고 가난한 게"…'민원 제기' 학부모에 막말 문자 날린 중학교 교사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55 퇴출된 대왕카스테라... 식용유는 아무런 죄가 없다 [이용재의 식사(食史)]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54 젤렌스키 “우크라 배제한 전쟁 평화 협정 불가”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53 김경수 ‘원포인트 개헌’ 제안에 이재명 “내란극복 집중할 때”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52 '백신회의론자' 케네디 美보건장관 지명자 인준안 상원서 가결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51 美전문가 "韓, 트럼프 만나 관세 해결할 국가 정상 없어 위험"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50 슬리퍼 신은 여고생 노린 성추행범…"'발'에 집착하는 도착증 있어"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49 머스크 아들, 트럼프에 "넌 대통령 아니야" 속삭였나...영상 화제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48 뉴욕증시, 동반 상승 출발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47 하늘이 살해 교사 범행날…"내일부터 출근 말라" 권유 있었다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46 [사설] '전 국민 25만 원' 다시 꺼낸 민주당, 추경하지 말자는 건가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45 하늘이 합동분향소에 시민 추모 발길…“별 볼 때마다 기억할게”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44 뉴욕증시, '인플레 우려·관세 불안' 일단 털고, 동반 상승 출발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43 [단독] 노상원 수첩에 ‘윤석열 3선 계획’ 담겼다…“후계자” 구상도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42 CIA 신고 때문?…자우림 美콘서트 돌연 미뤄졌다, 무슨 일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41 [단독] 살해 교사, 휴직 권고받자 학교 이탈…흉기 사러 갔다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40 [단독] 이해찬·차범근도 노상원 수첩에…민주당·법조인 대거 등장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39 이 말이 비극 불렀나…"내일부터 출근 말라" 권유 받은 살해 교사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38 ‘SG발 주가조작’ 주범 라덕연에 1심 25년형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37 우크라전 종전협상 급물살…“머지 않은 미래 휴전” new 랭크뉴스 2025.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