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계엄 전 통화 공방…윤 “홍장원엔 격려 전화” 주장 신빙성 의문
조 원장은 “계엄 직전 국무회의서 대통령과 만났는데…” 반박
조, 계엄 때 김건희와 문자 주고받기도…“내용은 기억 안 난다”
‘그날의 기억’ 증언하는 당시 국정원장과 서울청장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답변하고 있다(왼쪽 사진). 이날 오후 헌재에 증인으로 출석한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이 변호인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제공


윤석열 대통령과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비상계엄 선포 당일 한 통화 중 조 원장의 미국 출장과 관련해 엇갈린 진술을 했다. 윤 대통령은 조 원장이 한국에 없다고 생각해 국정원 조직을 책임진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을 격려하기 위해 홍 전 차장에게 전화를 했다고 밝혔다. 반면 조 원장은 한국에 있다는 사실을 윤 대통령에게 분명히 전했다고 증언했다. 두 사람 증언이 배치되면서 홍 전 차장에게 전화한 목적이 ‘계엄과 무관했다’는 윤 대통령 주장의 신빙성이 약해졌다. 윤 대통령이 홍 전 차장의 ‘체포조 메모’ 증언을 부인하기 위해 이야기를 꾸며내다 생긴 허점일 수 있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13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8차 변론에서 “홍 전 차장에게 (비상계엄 관련) 전화할 아무런 이유가 없는데 조 원장이 국내에 있느냐, 해외 미국 출장 중인가에 대한 오해 때문에 시끄러워진 것 같다”며 계엄 당일 저녁 상황에 대해 자신의 말이 맞다고 강변했다.

문제의 통화는 비상계엄 선포 약 2시간30분 전인 지난해 12월3일 오후 8시쯤 윤 대통령이 조 원장에게 전화를 걸어 이뤄졌다. 윤 대통령이 홍 전 차장에게 체포 지시를 내리기 전이다. 당시 윤 대통령은 조 원장에게 “아직도 거기시죠?”라고 물었다. 조 원장은 “아직도 여깁니다”라고 답했다. 한국에 있다는 뜻이었다. 조 원장은 다음날 미국 출장이 예정돼 있었고, 윤 대통령은 관련 보고를 받은 상태였다.

하지만 조 원장 대답을 ‘아직도 미국이다’로 받아들였다는 게 윤 대통령 주장이다. 윤 대통령은 “저는 아직 미국에 계신 줄 알아서 전화를 끊었는데, 강의구 대통령실 부속실장이 (국무회의에) 모시고 오니까 화들짝 놀랐다”며 “‘원장님 미국에 안 계셨어요?’라고 묻자 ‘내일 출발합니다’라고 답했다”고 말했다.

조 원장 진술은 달랐다. 그는 “미국에 안 갔다는 말을 분명히 했다는 거냐”는 국회 측 질문에 “그렇다. 그리고 (비상계엄 직전) 국무회의에서 만나지 않았나”라고 답했다. 경찰 조사 내용대로 통화한 사실이 맞느냐는 김형두 재판관 질문에도 “제 기억은 그렇다”고 했다. 조 원장은 경찰 조사에서 “대통령이 ‘어디세요’라고 하여 제가 ‘여기(국정원 공관) 있습니다’라고 대답하니 대통령이 ‘미국 안 가셨어요?’라고 물어 제가 ‘내일 떠납니다’라고 답했다”고 진술했다. 윤 대통령과 진술이 엇갈리자 조 원장은 “(대통령이) 경황이 없으니까 뒷부분 말씀을 못 들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윤 대통령은 “저는 기억이 정확하다”고 했다.

이 문제는 홍 전 차장이 윤 대통령 지시 후 ‘체포조 메모’를 작성했다는 증언의 신빙성과 직결된다.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이 자신에게 전화해 “‘싹 다 잡아들여. 방첩사를 도우라’고 말했다”고 진술했다. 윤 대통령 전화를 받은 후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체포 대상자 명단을 불러줬다는 것이 홍 전 차장 설명이다. 윤 대통령은 5차 변론에서 조 원장이 국내에 없다는 것을 알고 격려차 홍 전 차장에게 전화했을 뿐, 계엄과 무관했고 간첩을 잡아들이라는 의미였다고 주장했다. 홍 전 차장은 체포조 관련 내용을 폭로했고, 비상계엄 3일 후 해임됐다.

국회 측은 이날 조 원장이 계엄 전날인 12월2일 김 여사에게 문자메시지 2통을 받았고, 3일 답장을 보낸 사실을 공개했다. 조 원장은 “(문자 내용은)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739 이 말이 비극 불렀나…"내일부터 출근 말라" 권유 받은 살해 교사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38 ‘SG발 주가조작’ 주범 라덕연에 1심 25년형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37 우크라전 종전협상 급물살…“머지 않은 미래 휴전”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36 [단독] 이해찬·차범근도 노상원 수첩에…민주당·법조인 대거 열거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35 ‘대장동 50억 클럽’ 박영수 전 특검, ‘3억 수수’만 유죄…7년형 법정구속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34 美재무부, '네타냐후 체포영장' ICC 검사장 제재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33 "이 돈 주고 갈 바엔 해외여행 간다"…4인 가족에 622만 원 필요하다는 '이곳'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32 2분기부터 법인도 가상자산 투자 가능…판 커지는 국내시장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31 맨날 집 안에서 빨래 말렸는데…과학자들 '섬뜩한 경고' 나왔다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30 사랑 많았던 하늘이 가는 길, 축구·아이브가 널 웃게 했으면…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29 [사설] ‘총파업’ 외치는 민노총, 회계 공시·법치 준수 기본책무 다하라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28 차준환, 피겨 남자싱글 역전 우승…사상 첫 ‘남녀 싱글 동반 금메달’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27 [단독] ‘총알받이’라던 북한군, 약어표 보니…‘돌격전’ 지시어 빼곡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26 “이재명·한동훈 잡으러” 진실은…조태용-홍장원 대화도 공방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25 “기후위기로 바다 거칠어져…선원 고령화 악조건 대처 힘달려”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24 獨 포르쉐 공장, 2029년까지 일자리 1900개 감축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23 이통 3사, 구글 수수료에 의존… 자체 앱 ‘원스토어’는 허덕 new 랭크뉴스 2025.02.14
» »»»»» “여깁니다” 놓고…윤 “미국 있는 줄” 조태용 “한국이라 밝혀”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21 ‘윤 국민변호인’ 앞장선 전한길 “탄핵 땐 헌재 역사 속 사라질 것”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20 ‘홍장원 메모’ 흔드는 尹 측… 법조계, 본질 흐리기 지적 new 랭크뉴스 2025.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