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개발 합의"
중국·EU 등만 서명… "갈등 구도 드러나"
미 부통령 "AI 선두 유지할 것" 연설도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왼쪽)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과 JD 밴스 미국 부통령이 11일 프랑스 파리에서 '제3회 인공지능(AI) 정상회의'를 계기로 회담하고 있다. 파리=AP 연합뉴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인공지능(AI)의 윤리적인 개발 필요성'을 확인하는 글로벌 공동선언문에 끝내 서명하지 않았다. "AI 기술 개발과 위험성 견제를 병행하자"는 유럽연합(EU) 및 중국 측 요청을 미국이 사실상 거절한 셈이다. 독보적인 글로벌 AI 선두 지위를 부각하고 중국의 영향력 성장을 견제하기 위한 '의도적 독자 행보'라는 평가가 나온다.

참여국들 "AI, 안전해야"

제3회 인공지능(AI) 정상회의 참석자들이 11일 파리 회의장에서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 연설을 듣고 있다. 파리=EPA 연합뉴스


1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프랑스 대통령실은 전날부터 이틀간 파리에서 열린 제3회 AI 정상회의에서 '사람과 지구를 위한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인 AI에 관한 선언문'이 채택됐다고 이날 밝혔다. 회의 공동 주최국이었던 프랑스·인도를 포함 58개국 정부와 EU, 아프리카연합 집행위원회 등이 참여했다. 최근 AI 모델 '딥시크'를 출시하며 일대 파장을 불러왔던 중국도 서명했다.

해당 공동선언문에는 '윤리적·민주적·친(親)환경적 AI 개발을 추구하겠다'는 합의가 담겼다. 참여국들은 선언문을 통해 "AI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며 "안전, 지속가능 개발, 혁신, 국제법 존중, 인권 보호, 성평등, 언어적 다양성, 소비자 보호, 지식재산권 문제에 대한 글로벌 성찰의 필요성을 강조한다"고 밝혔다. 무분별한 AI 개발이 심각한 범죄 및 불평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고려하겠다는 얘기다.

그러나 글로벌 AI 개발의 절대 강자인 미국은 해당 선언에 참여하지 않았다. AI를 '미래 산업 패권 경쟁' 관점 위주로 접근하는 미국이 중국과의 경쟁에서 주도권을 놓치지 않고자 독자 행보를 유지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 정부 내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정책을 폐기하는 등 진보적 의제를 적대시해 온 트럼프 행정부의 성향이 AI의 윤리적 사용을 강조한 공동선언문 취지와 대립되는 점도 불참 배경으로 거론된다.

"밴스 연설 듣는 관중들 표정 굳어"

JD밴스(가운데) 미국 부통령이 11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3회 인공지능(AI) 정상회의' 폐막 연설을 하고 있다. 파리=EPA 연합뉴스


트럼프 행정부도 이러한 의중을 숨기지 않았다. JD밴스 미국 부통령은 이날 회의 폐막 행사 연설에서 "미국은 AI 분야 선두주자 위치를 유지하고 미국의 AI 기술이 세계 최고의 표준이 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디지털서비스법(DSA) 등 EU의 '빅테크'(주요 기술 기업) 규제를 거론하며 "혁신적인 산업을 죽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영국 BBC방송은 "밴스의 연설은 틀림없는 '힘의 과시'였다"며 "이를 듣는 참여국 고위 인사들 표정이 점점 굳어갔다"고 전했다.

영국도 공동선언문에 서명하지 않았다. 표면적으로는 '국익 관련 요구 사항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고 불참 이유를 댔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 '눈치'를 보며 보조를 맞춘 것 아니냐는 지적이 쏟아진다고 영국 가디언은 설명했다.

한편 EU는 이날 2,000억 유로(약 300조 원) 규모 AI 투자 프로젝트인 '인베스트AI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 500억 유로(약 75조 원)는 EU 기금으로, 나머지 1,500억 유로(약 125조 원)는 민간 투자로 조달한다. 이를 통해 초대형 AI모델 훈련 인프라 프로젝트인 'AI 기가 팩토리' 최소 네 곳을 구축하겠다는 게 EU 구상이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유럽이 미국과 중국에 뒤쳐졌다는 말을 자주 듣지만 동의하지 않는다"며 "AI 경쟁은 시작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065 "사격·폭파 요원 추천하라"‥'처리 방안' 준비? 랭크뉴스 2025.02.17
48064 잘나가던 ‘발을 씻자’에 무슨 일이… 리스크 된 젠더갈등 랭크뉴스 2025.02.17
48063 "일본서도 사랑" 순국 80주기 윤동주, 日모교서 명예박사 됐다 랭크뉴스 2025.02.17
48062 오늘부터 다시 기온 ‘뚝’…한 주 내내 춥다 랭크뉴스 2025.02.17
48061 다민족 국가는 코스프레... '관광 상품'으로 전락한 중국의 소수 민족 [칸칸 차이나] 랭크뉴스 2025.02.17
48060 [속보] 트럼프 "푸틴과의 만남 곧 이뤄질 수도" 랭크뉴스 2025.02.17
48059 ‘명태균 의혹’ 조만간 중간수사 발표… 검찰, 김건희 여사 소환조사 등 검토 랭크뉴스 2025.02.17
48058 [똑똑한 증여] 아파트 물려줄 때 증여냐 상속이냐… 취득세·종부세·양도세 따져보니 랭크뉴스 2025.02.17
48057 과격행동 거듭하는 '디시의 청년들'…한국판 '재특회' 꿈꾸나 랭크뉴스 2025.02.17
48056 [단독] 민주당, ‘이대남’ 맞춤 전략 안 낸다…젠더통합 정책 집중 랭크뉴스 2025.02.17
48055 [속보] 트럼프 "푸틴과의 만남 매우 곧 이뤄질 수도" <로이터> 랭크뉴스 2025.02.17
48054 이번 주 추가 변론 기일 진행…증인 신문 어떻게? 랭크뉴스 2025.02.17
48053 배우 김새론 자택서 숨진 채 발견…"최초 발견자는 친구" 랭크뉴스 2025.02.17
48052 고평가 논란 뛰어넘으려면 M&A뿐... 유망 식음료 업체 찾아나선 백종원 랭크뉴스 2025.02.17
48051 지난해 '월급쟁이'가 낸 세금 60조원 돌파…법인세만큼 커졌다 랭크뉴스 2025.02.17
48050 트럼프가 '부가가치세'를 상호관세 빌미로 삼는 이유는? 랭크뉴스 2025.02.17
48049 한동훈 “머지않아 찾아뵙겠다”…여당 ‘조기 대선 모드’ 가속화? 랭크뉴스 2025.02.17
48048 전광훈엔 선 그었다…금남로 '반탄 3만' 동원한 기도회 실체 랭크뉴스 2025.02.17
48047 이상기후에 과일 수입량 늘었다…작년 수입액 2조원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2.17
48046 배관실 최초 불꽃에 “불이야”…‘자동화재신고장치’도 없었다 랭크뉴스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