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탄핵심판 7차 변론기일
"여러 기관 중구난방으로 조사"
엇갈린 법정증언·조사 꼬집어
'계엄 요건·절차 갖췄다' 강변
국회 "尹 독선정치" 위헌 강조
헌법재판관들이 1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7차 탄핵 심판 변론기일에 자리해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서울경제]

윤석열 대통령이 11일 검찰 조서를 탄핵 심리를 위한 전문증거로 인정할 수 없다며 강한 반발에 나섰다. 검찰·경찰·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중구난방으로 조사를 진행했고 계엄을 곧 내란으로 단정 짓는 ‘프레임 몰이’로 인해 조서의 신빙성이 낮다는 주장이다. 이날 증인으로 출석한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도 “대통령이 언론사 단전·단수를 지시한 바 없다”며 윤 대통령 공소장 내용을 전면 부인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7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검찰이면 검찰, 군검찰이면 군검찰, 공수처면 공수처, 경찰이면 경찰, 이렇게 일관된 한 기관이 조사한 것이 아니고 여러 기관이 달려들어서 중구난방으로 조사하고 국회에서 한 청문 기록까지 혼재돼 있다”고 했다.

법정에서의 증언과 조서 내용이 엇갈리는 점도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없는 근거로 제시했다. 윤 대통령은 “홍장원(전 국정원 1차장)이나 다른 관계자들을 직접 심판정에서 신문해봤지만 조서에 기재된 내용과 실제로 증언 들은 것들이 너무 거리가 많이 벌어진 것을 많은 사람들이 느꼈을 것”이라며 “어느 한 기관이 체계적으로 수사를 했으면 모르겠는데, 이게(조서들) 서로도 맞지 않기 때문에 (헌재가) 그런 점을 잘 살펴달라”고 밝혔다.

이 전 장관은 이날 12·3 비상계엄이 요건과 절차를 지켰다는 윤 대통령 측 주장에 적극 힘을 실었다. 계엄 선포 전 열린 국무회의가 통상적인 형식과 달랐지만 참석자들이 이를 국무회의로 인식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어 “해당 회의를 국무회의로 인정할 수 있는지 의견이 엇갈릴 수 있지 않나”라는 김형두 재판관의 질의에 “오히려 계엄 해제 국무회의는 종료까지 1분도 걸리지 않았다. 선포를 위한 국무회의가 더 절차를 지켰다”고 설명했다.

또 “(윤 대통령이) 평소 국무회의에서도 야당의 지속적인 탄핵으로 인한 국정 운영의 어려움을 토로했다”며 “국무회의는 의결기관이 아닌 심의자문기관으로, 대통령이 격주로 주재하며 비공개 마무리 발언에서 이러한 고충을 자주 언급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국무회의에 국무위원들이 서명하는 부서나 회의록 작성이 없었던 것과 관련해 “보안을 요하는 국법상 행위에 대해서 사전에 (결재를) 요한다면 문서 기안자인 실무자가 내용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사후에 전자 결재로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 전 장관은 윤 대통령의 공소장에 담긴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도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태원 참사 이후 헌재 결정문에도 나와 있지만 행안부 장관에게 경찰 및 소방 지시 권한이 없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상황”이라며 “(윤 대통령이) 누구보다 그 점을 잘 알고 있기에 저에게 그런 지시 내린 게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날 국회 측은 “여야 대립 속에서도 타협과 양보를 만들어내는 것이 대의민주주의지만 피청구인(윤 대통령)은 독선과 일방의 정치를 시행했다”며 계엄의 위헌성을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이에 “취임 전부터 야당은 무려 178회에 걸친 퇴진과 탄핵 요구를 했다”며 “문명국가에서 볼 수 없는 줄탄핵은 대단히 악의적이고 대화와 타협을 하려는 게 아니라 이 정권을 파괴시키려는 의도를 명확히 보여준다”고 전면 반박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923 신생아 살해한 뒤 비닐봉지에 유기···40대 친모 구속 랭크뉴스 2025.02.16
47922 서울과 경기 남부, 전북 서부에 초미세먼지 주의보 랭크뉴스 2025.02.16
47921 김용현·문상호 등 내란 피고인들, ‘윤석열 방어권’ 의결한 인권위에 긴급구제 신청 랭크뉴스 2025.02.16
47920 김경수 "尹탄핵 찬성 세력도 내각 참여해야…李도 검토하겠다 해" 랭크뉴스 2025.02.16
47919 [날씨] 다시 한파, 따뜻하게 입으세요…전국 아침 영하권 랭크뉴스 2025.02.16
47918 6분→20분 발언시간 늘어난 윤석열...“책임회피 일관, 계엄선포 강변” 랭크뉴스 2025.02.16
47917 “평당 3억 찍기 전에 사자”…매수자 몰려드는 반포 랭크뉴스 2025.02.16
47916 [단독] ‘나도 윤석열처럼’…김용현도 인권위 긴급구제 신청 랭크뉴스 2025.02.16
47915 '질서유지' 목적이라더니‥계엄 위헌·위법성 뚜렷해져 랭크뉴스 2025.02.16
47914 "킬링필드", "지역주의"... 尹 탄핵 앞두고 분열만 선동하는 정치권 랭크뉴스 2025.02.16
47913 “매달 100만원씩 따박 따박” 하늘양 살해 교사, 평생 연금 받는다 랭크뉴스 2025.02.16
47912 [영상] “영화 아바타 이겨야!”…중국 ‘영화 패권’도 노린다 랭크뉴스 2025.02.16
47911 국회 지하 1층 전원 내린 계엄군‥'5분 48초' 암흑 천지 랭크뉴스 2025.02.16
47910 [단독]‘방첩사 구금시설’ 없는 줄 몰랐던 여인형…윤 대통령 측 ‘홍장원 쪽지 탄핵 전략’ 무산되나 랭크뉴스 2025.02.16
47909 대전시티즌 선수들이 ‘하늘’ 세리머니 한 이유 랭크뉴스 2025.02.16
47908 민주당 ‘하늘이법’ 당론 추진…“교사 맞춤형 심리지원체계 구축” 랭크뉴스 2025.02.16
47907 전광훈 쪽, 집회 알뜰폰 수익 논란에 “세무상 문제없어” 랭크뉴스 2025.02.16
47906 "화재 위험없는 배터리 만들자"…안전 분리막으로 EV시대 개척 랭크뉴스 2025.02.16
47905 與, 17일 ‘학교 안전 강화’ 당정협의 개최… 21일엔 ‘국민 안전 점검’ 협의 랭크뉴스 2025.02.16
47904 [단독] 명태균 “오세훈 ‘나경원 이기는 조사 필요’”…오세훈 쪽 “일방 주장” 랭크뉴스 2025.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