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행주기 짧아진 편의점 디저트

SNS 이슈 따라 단발성 출시 몰입
점포 입고되기도 전 단종 사례도

‘두바이 초콜릿’ ‘밤 티라미수’…. 한때 전국적인 품귀현상과 ‘오픈런’ 행렬을 일으켰던 편의점 제품들이 반년도 안 돼 자취를 감춘 채 매장 한켠에 쌓여가고 있다. 편의점 히트상품의 유행 주기가 점차 짧아지면서 매출을 견인하던 제품들이 반짝인기 후 찬밥 신세로 전락하고 있는 것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편의점들은 SNS에서 화제가 된 디저트를 경쟁적으로 출시하며 디저트 열풍을 이어가고 있다. GS25는 지난해 ‘두바이 초콜릿’과 ‘스웨디시젤리’에 이어 올해 ‘수건 케이크’와 ‘벽돌 초콜릿·케이크’를 선보였다. 전날 이마트24는 경쟁사를 따라 SNS 인기 디저트 3종(수건 케이크·벽돌 케이크·쫀득쿠키)을 새롭게 출시했다. GS25는 CU가 지난달 2일 업계 최초로 수건 케이크를 출시한 지 3주 만에 벽돌 케이크를 선보였다.


지난해 여름 편의점업계는 두바이 초콜릿 출시를 두고 치열한 경쟁이 벌어졌다. 넷플릭스 예능 ‘흑백요리사’에 등장한 밤 티라미수가 온라인에서 이슈가 되자 CU는 방송 공개 일주일 만에 제품화해 출시했다. 업계 관계자는 “두바이 초콜릿 유행을 기점으로 편의점들 사이에서 디저트 상품에 대한 ‘단독’ ‘최초’ 경쟁이 잦아진 모양새”라고 전했다.

그러나 히트상품 생애주기가 짧아진 만큼 급감하는 판매량이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BGF리테일에 따르면 과거 인기제품 생애주기는 평균 22개월에서 최근 4개월까지 대폭 줄었다. 일례로 두바이 초콜릿은 지난해 7월 CU에서 선보인 첫날 20만개가 팔리며 화제의 중심에 섰다. 그러나 한 달 만에 검색량이 급감했고, 지난해 말 기준 하루 판매량은 3000개 수준으로 떨어졌다.

경기 성남시에서 GS25를 운영하는 50대 이모씨는 “초반에는 (두바이 초콜릿을) 찾아오는 손님도 많고 재고도 다 소진됐지만 지금은 찾는 사람이 거의 없어 발주 고민이 크다”며 “단순 호기심에 구매한 사람이 많아 유행이 길지 않은 것 같다”고 전했다.

기대를 모았던 일부 제품이 빠르게 단종되는 사례도 있다. 세븐일레븐과 정희원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가 협업해 지난달 선보인 ‘저속노화 삼각김밥’이 대표적이다. 출시 전부터 화제가 됐지만 정작 다수 점포에 입고되지도 않은 채 단종을 앞두고 있다.

이 소식에 일부 소비자는 “입소문이 퍼지기도 전에 단종 결정을 내린 것은 시장 반응을 제대로 살필 시간조차 주지 않은 것 아니냐”며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세븐일레븐 관계자는 “건강식에 대한 수요는 분명하지만 삼각김밥은 스테디셀러가 많아 일정 수준 이상의 판매량이 나오지 않으면 재고 조정 차원에서 정리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올해 디저트 유행 주기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점주들의 재고 처리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단발성 상품 출시에 몰입하기보다 상품력 강화에 힘써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소비 트렌드를 반영하면서도 재고 부담과 고객의 장기적인 만족을 모두 고려하는 전략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475 헌재 ‘검찰 조서, 탄핵심판 증거 사용 가능’ 입장 재확인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74 피살 초등생父 “휴대폰 앱으로 소리 다 들어…계획범죄”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73 권성동 “연금 특위 구성하면 ‘모수개혁부터’ 논의 수용”(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72 권성동 “국가 혼란 주범은 이재명…분권형 개헌 추진하자”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71 홍천 스키장 중상급 코스서 스키어·보더 충돌…1명 사망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70 권성동 "국정혼란 주범은 이재명 세력, 방탄 위해 헌정 파괴" [교섭단체 연설]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69 트럼프가 가상화폐 대통령 외치는 진짜 이유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68 尹의 입에 실소 터진 민주당…옥중정치에 "나쁠 것 없다" 왜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67 [속보] '언론사 단전·단수' 이상민 전 행안부 장관 심문 시작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66 우상호 "앞에선 탄핵 반대, 뒤에선 대선 사무실 차리는 여당"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65 [속보] 권성동 “국가적 큰 위기에 책임 통감…진심으로 사과”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64 권성동 “헌정질서 파괴자는 이재명 세력”…분권형 개헌, 추경 제안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63 ‘민주당’ 45번 외친 권성동…“국정혼란 주범은 이재명 세력”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62 [속보] 권성동 “국정혼란 주범은 이재명 세력... 방탄 위해 의회독재”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61 박찬대 “어떤 잘못 있길래 내란까지… 명태균 특검 불가피”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60 “벌어간 만큼 내놔” 더 강력해진 트럼프의 ‘기브 앤드 테이크’ 외교, 다음 타깃은?[트럼프 관세①]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59 [속보] 권성동 "제왕적 대통령·의회 권력 분산 개헌해야…헌정질서 파괴자는 민주당 이재명 세력"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58 '영업익 1조 시대' 한화에어로, 트럼프 스톰 속 한화오션 지분 1.3조에 인수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57 시장이 위험하다…4년간 이어질 관세 협박[트럼프 관세②]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56 권성동 "대통령·의회 권력분산 개헌해야…민생 추경 필요" new 랭크뉴스 2025.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