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검찰총장 지명 때 '욱하는 성격' 등 세평"
"尹만 '검찰 개혁 찬성' 밝혀 선택"
"조국 가족 풍비박산, 가장 아픈 손가락"
"수준 낮은 정부에 정권 내준 자괴감"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2019년 신년 기자회견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언론 인터뷰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검찰총장으로 발탁한 것을 두고 "두고두고 후회한다"면서 윤 정부 탄생의 책임이 자신에게 있다고 국민에게 사과했다. 또 "가족들이 풍비박산 난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에게 한없이 미안하다"고도 했다.

"윤 대통령 탄생 단초 만들어 후회"



문 전 대통령은 10일 공개된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2019년 검찰총장 후보로 윤석열 당시 서울중앙지검장을 발탁한 일에 대한 질문에
"윤석열 대통령이 탄생하게 된 가장 단초가 되는 일이기에 후회가 된다"
고 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 당선 후엔) 이런 사람에게 정권을 넘겨줬다는 자괴감이 아주 컸다"고 했다. 그는 "게다가 이번에
계엄·탄핵 사태가 생기니까 밤에 잠을 잘 수가 없을 정도로 국민께 송구스러웠다
"고 말했다.

그는 검찰총장 발탁 전 윤 당시 지검장을 가까이에서 겪어 본 사람들은 "
'잘 욱하는 성격'이고, 자기 제어를 잘 못할 때가 많이 있고
, '윤석열 사단'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자기 사람을 아주 챙기는 그런 식의 스타일"이라고 부정적 평가를 했다고 전했다. 그런데도 검찰총장에 임명했던 이유 중 하나는 검찰 개혁에 대한 의지 여부였다고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당시 나와 조국 민정수석, 검찰총장 후보추천위원회가 추천한 후보는 4명이었는데 조 수석이 4명 모두 한 명 한 명 인터뷰를 했고, 당시 우리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검찰개혁에 대한 각 후보자의 의지나 생각을 확인해 보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문 전 대통령은 "그 결과
윤석열 후보자만 검찰개혁에 지지하는 이야기를 했고 나머지 3명은 전부 검찰개혁에 대해서 반대했다
"고 말했다.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이 청와대 본관에서 검찰총장 임명장 수여식 시작을 기다리며 조국 민정수석과 대화하고 있다. 뉴시스


그는 "2명으로 최종 후보를 압축하고 고민했다"며 "(윤 후보자 말고) 다른 한 분은 조국 수석과 같은 시기에 대학을 다녔고 소통도 꽤 잘 되는 관계였지만 그분은 검찰개혁에 대해 분명히 반대 의견을 냈다"고 했다. 이어 "윤 후보는 소통에는 좀 불편할 수 있지만, 검찰개혁 의지만큼은 긍정적이었다"며 "지금 생각하면 그래도 조국 수석과 소통이 되고 관계가 좋은 그런 쪽을 선택하는 것이 순리였는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자녀 입시비리 혐의 등으로 징역형이 확정돼 수감되는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가 지난해 12월 16일 오전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로 출석하며 지지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뉴시스


"尹 정부 탄생 내 책임 커, 국민께 죄송"



문 전 대통령은
"윤 후보자를 선택한 그 순간이 두고두고 후회된다"
고 토로했다. 그는 "그 바람에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가족들은 풍비박산이 났다. (조 전 대표는)
가장 아픈 손가락으로 한없이 미안하다
"고 했다.

문 전 대통령은 윤석열 정권 탄생, 비상계엄 발동이 결과적으로 자신의 책임이라는 일부 비판에 대해선 "윤석열 정부가 너무 못했다. 계엄 이전에도 너무나 수준 낮은 정치를 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윤석열 정부를 탄생시켰다는 것에 대해 내가 제일 큰 책임이 있고 우리 정부(문재인 정부) 사람들도 자유롭지 못하다. 국민께 송구스럽다"
고 거듭 미안해했다.

그는 "기필코 대선에서 정권을 되찾아 오는 것이 민주당의 역사적 책무"라며 "
민주당이 이기려면 좀 더 포용하고 확장해야 한다
. 경쟁을 자꾸 분열로 비판하며 밀쳐내는 건 민주당을 협소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93 英외무 “美부통령, 종전 협상 젤렌스키 참여에 동의” 랭크뉴스 2025.02.15
47292 신호위반 2명 부상‥중국대사관 난입 '윤 지지자' 체포 랭크뉴스 2025.02.15
47291 [연금의 고수]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45%로 오르면 추납 미뤄야 연금 10% 더 받아 랭크뉴스 2025.02.15
47290 "이번 정류장은 이 버스의 마지막입니다" 매일 타던 버스가 사라진다면 [영상] 랭크뉴스 2025.02.15
47289 트럼프 “4월 2일쯤 수입차 관세”…현대차 '빨간불' 랭크뉴스 2025.02.15
47288 군 서열 '2위' 미리 낙점‥"총선 전부터 준비" 랭크뉴스 2025.02.15
47287 [특파원 시선] 20년전 쓰나미 덮친 인니·스리랑카…다른 선택, 엇갈린 미래 랭크뉴스 2025.02.15
47286 [위클리 건강] 매독 증가세에 실명 위기까지…20·30대 '빨간불' 랭크뉴스 2025.02.15
47285 "북한이 미국에 ICBM 날리면 24분 만에 전 세계 공멸"... 핵전쟁 시나리오 [책과 세상] 랭크뉴스 2025.02.15
47284 트럼프 "자동차 관세 4월2일쯤 발표"…'車 대미수출 1위' 韓도 비상 랭크뉴스 2025.02.15
47283 [정책 인사이트] 졸업식 사라진 의대… 신입생 정원 확대 파문 계속돼 랭크뉴스 2025.02.15
47282 與 대권주자 '김문수' 놓고 여야 공방... "극우 정치인" "청렴한 노동운동가" 랭크뉴스 2025.02.15
47281 대출 규제에도 서초·강남 아파트 신고가 행진… 3.3㎡당 평균 9000만원 넘어서 랭크뉴스 2025.02.15
47280 뮌헨서 종전안 집중 논의…미 “지속적인 평화 원해” 랭크뉴스 2025.02.15
47279 '저렴한 대용량'에 꽂힌 사람들, 위스키·건담 사러 개점 전부터 줄 섰다…어디길래? 랭크뉴스 2025.02.15
47278 떡 돌리고 비방전 난무…뜨거운 '은행주공 수주전' 내일 결판 랭크뉴스 2025.02.15
47277 시진핑도 못 말린다…'무려 3억명' 중국인 지독한 담배 사랑, 왜 [세계한잔] 랭크뉴스 2025.02.15
47276 트럼프 “4월 2일경부터 자동차에도 관세 부과” 랭크뉴스 2025.02.15
47275 "이번엔 한국 겨냥?"...트럼프, 4월 2일께 수입차 관세 랭크뉴스 2025.02.15
47274 뉴욕증시, 관세·경기 불확실성 지속에 혼조…다우 0.4%↓(종합) 랭크뉴스 2025.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