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회 ‘내란 국조특위’
의원 질의에 답하는 곽종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4일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2차 청문회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청문회서 재차 확인 “안에 요원 없는데 빼라니 말 되나”

“시민 보호용 군 투입 들은 바 없어…군 철수도 내가 한 것”

“여인형, 박정훈 대령 사건 맡은 군판사들 성향 파악 지시”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은 4일 12·3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지시했다”고 재차 확인했다. ‘의원’ 아닌 ‘요원’을 빼내라고 지시했다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주장을 반박한 것이다. 계엄군 지휘관들은 국회의 계엄 해제 결의안 의결 즉시 군 철수를 지시했다는 윤 대통령 주장도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국조특위)는 이날 12·3 비상계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2차 청문회를 열었다.

곽 전 사령관은 “12월4일 0시20분부터 0시35분 사이,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이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지시한) 사실이 맞다”며 “(대통령이 그) 말씀을 하실 때 707특임단 작전요원들은 본관 안에는 아무도 안 들어가 있는 상태였는데 요원을 빼내라는 것이 (말이 되나)”라고 했다.

곽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 측이 비상계엄 당시 군 투입 이유를 “흥분한 군중 때문에 발생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한 것에 대해 “비상계엄 상황이 발생하기 전이나 그 중간에 누구로부터도 ‘질서를 유지하라, 시민을 보호하라, 경고용이다’라는 말을 들은 바 없다”고 말했다.

곽 전 사령관은 군 철수와 관련해서도 “(윤 대통령의 철수) 지시를 받은 바 없다”고 밝혔다. “국회 계엄 해제 요구 결의가 나오자마자 곧바로 (김용현 전) 장관과 (박안수) 계엄사령관을 즉시 불러 철수를 지시했다”는 윤 대통령 측 주장을 반박한 것이다. 그는 “비상계엄령을 해제하는 (국회의) 의결 뒤 김 전 장관에게 제가 ‘철수하겠다’고 했다”며 “김 전 장관은 ‘알았다. 조금만 더 버텼으면 좋았을걸’이라고 했다”고 말했다.

박안수 전 육군참모총장은 윤 대통령의 군 철수 지시가 있기 전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이 전화해 “군이 안전한 곳에 있어야 된다”고 하자 “제가 지금 병력들을 통제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비상계엄 당일 군판사들의 성향을 파악해보라고 지시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나승민 방첩사령부 신원보안실장은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방첩사령관이 계엄 당일 ‘군판사들이 어떤 사람인지 확인해보라’는 지시를 했다는데 맞나”라고 묻자 “맞다”고 답했다. 그는 “ 나중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해 복명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추 의원은 이 군판사들이 “박정훈 대령 사건의 재판장, 주심판사, 배석판사, 영장담당 판사였다”고 말했다. 박 대령은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해병대 채 상병 순직 사건 항명 혐의와 관련한 재판을 받았다.

윤건영 민주당 의원은 비상계엄 비선 실세로 지목된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에게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비화폰을 제공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노 전 사령관이 계엄 전 방문했다고 알려진 군산 소재 점집을 운영 중인 무속인 ‘비단 아씨’ 이선진씨는 노 전 사령관이 김 전 장관의 이름과 생년월일을 가지고 온 바 있다고 전하면서 “노 전 사령관이 이 사람(김 전 장관)과 내가 뭔가를 함께 문제를 만들어 했을 경우 그게 잘되면, 내가 다시 나랏일을 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복직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했다”고 말했다.

김선호 국방부 장관 대행은 ‘미군과 계엄군이 합동 작전으로 중국인 해커 99명을 체포했다’는 언론 보도와 관련해 “그런 사실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도 윤 대통령이 직접 경향신문을 비롯한 비판 언론사에 대한 단전·단수를 지시했는지 등 모든 질문에 답변을 거부했다. 국조특위는 출석을 거부한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 등에 대한 동행명령장을 발부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18 美전문가 "러 파병 북한군 사상자, 파견 병력의 최대 50% 추정" 랭크뉴스 2025.02.05
47217 이재용·최태원·정신아·김창한...'오픈AI' 올트먼, 서울서 반나절 만에 다 만났다[한국 뒤흔드는 딥시크 폭풍] 랭크뉴스 2025.02.05
47216 '페이팔 마피아' 창업 팔란티어 주가 23%↑…첫 100달러 돌파 랭크뉴스 2025.02.05
47215 훔친 차로 무면허 운전·경유 차에 휘발유…'간 큰' 10대들의 일탈 랭크뉴스 2025.02.05
47214 딥시크 여파…트럼프-이시바 첫 정상회담에 AI 협력도 의제로 랭크뉴스 2025.02.05
47213 여인형 "조지호에 정치인 명단 구술, 위치 확인 협조 요청" 랭크뉴스 2025.02.05
47212 "레이싱 게임하냐"…15억 든 중학교 운동장 덮친 '무법 차량'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2.05
47211 SK하이닉스 ‘딥시크 타격’ 우려에…한신평 “단기 영향 크지 않을 듯” 랭크뉴스 2025.02.05
47210 스웨덴 교육시설서 대낮 총기난사…"용의자 포함 약 10명 사망"(종합) 랭크뉴스 2025.02.05
47209 삼성 찾은 손정의 “이재용 회장과 스타게이트 논의하러 왔다” 랭크뉴스 2025.02.05
47208 故오요안나 입연 배현진…“이지메, MBC 나쁜 사내문화” 랭크뉴스 2025.02.05
47207 검찰, 황운하·송철호 2심 무죄에 "수긍 어려워, 상고 예정" 랭크뉴스 2025.02.05
47206 루비오 "엘살바도르, 美범죄자 수용 제안…트럼프가 결정할 것" 랭크뉴스 2025.02.05
47205 트럼프표 ‘스타게이트’ 잰걸음…올트먼, 서울서 최태원·이재용 만나 랭크뉴스 2025.02.05
47204 딥시크, ‘제번스의 역설’처럼 고성능 칩 수요 늘릴까 [유레카] 랭크뉴스 2025.02.05
47203 베일 싸인 딥시크 창업자 량원펑, 동명이인 사진이 잘못 퍼져 랭크뉴스 2025.02.05
47202 윤석열 “내가 선관위 군 투입 지시했다” 랭크뉴스 2025.02.05
47201 “구준엽 통곡에 가슴 찢어져”…눈감은 아내에게 마지막 인사 랭크뉴스 2025.02.05
47200 서초·강남 평당 1억, 도봉·강북 3000만… 짙어지는 양극화 랭크뉴스 2025.02.05
47199 트럼프 구조조정 정책 추진…"美 연방공무원 2만명 자발 퇴직" 랭크뉴스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