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 출석
“호수 위 달그림자 쫓는 느낌”…생중계된 사실마저 부인 윤석열 대통령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다섯 번째 변론에 피청구인으로 출석해 진술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제공


“엉터리 투표지들 많았기 때문”

구체적 행위엔 군에 책임 돌려

“아무 일도 안 일어나” 궤변 일관


홍장원 “윤, 싹 잡아들이라 해”

이진우 “윤과 계엄날 세번 통화”


윤석열 대통령이 4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5차 변론에 출석해 12·3 비상계엄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군병력 출동을 “내가 지시했다”고 밝혔다. “엉터리 투표지들이 나왔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윤 대통령은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도 이뤄지지 않은 일이라 실체가 없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중앙선관위에 군병력이 출동한 데 대해 “제가 김용현 (국방부) 장관에게 얘기한 것”이라며 “검찰에 있을 때부터 선거 사건, 선거 소송에 대해 보고받아 보면 투표함을 개함했을 때 상식적으로 납득이 안 가는 엉터리 투표지들이 많이 나와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겠다는 생각을 해왔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실행방안에 대해선 떠넘기기로 일관했다. 윤 대통령은 “(출동한 군인들은) 서버를 압수하네 뭐네, 이런 식으로 생각할지 모르지만 제가 내린 지시는 장비가 어떤 시스템으로 가동되는지 보라는 것이었다”며 “국방부 장관도 지휘관, 사령관들한테 ‘이 계엄은 곧 해제될 계엄’이라는 얘기를 안 하고, 헌법에 따라 각자 맡은 업무를 하도록 했기 때문에 각자 정해진 매뉴얼대로 하다보니까 저나 장관이 생각한 것 이상의 어떤 조치를 준비했을 수는 있다”고 말했다. 헌법기관인 선관위에 영장도 없이 군 투입을 지시했으면서도 ‘단순한 점검’ 차원이었고, 부하직원들이 자신의 뜻을 과도하게 해석해 수행했다는 궤변을 내놓은 것이다.

선관위 장비시스템 문제를 점검하려면 방첩사령부나 사이버사령부가 투입돼야 했지만 당시 정보사령부 요원들이 투입된 것은 김 전 장관 탓으로 돌렸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전혀 압수한 게 없는 것으로 보고받았다”며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밤중에 선관위에 들이닥쳐 직원들의 휴대전화를 압수하고 청사를 폐쇄했지만 서버를 압수하지 않아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군경 지휘관에게 ‘국회의원을 끌어내라, 체포하라’고 지시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실제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는데 지시를 했니 지시를 받았니 이런 얘기들이 마치 호수 위에 떠 있는 달그림자 같은 것을 쫓아가는 느낌을 좀 많이 받았다”고 말했다. 계엄 당시 경찰이 국회의원들의 국회 진입을 통제하고, 군이 국회의사당에 난입하는 장면이 방송으로 생중계됐는데도 이를 부인한 것이다.

증인으로 나온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은 ‘정치인 체포조’가 있었다고 반박했다. 홍 전 차장은 국회 측이 “윤 대통령이 전화해서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여. 싹 다 정리해. 국정원에 대공수사권 줄 테니 방첩사를 도우라’는 취지로 말했느냐”고 묻자 “그렇게 기억한다”고 답했다. 홍 전 차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과의 통화에서 여 전 사령관이 정확히 ‘체포조’를 언급하며 “체포 대상자를 1·2조로 구분해 위치추적을 요청했다”고도 밝혔다.

윤 대통령은 계엄 선포 당일 홍 전 차장에게 직접 전화를 한 것에 대해 “계엄사무가 아닌 간첩 검거와 관련해 방첩사를 도와주라고 한 것”이라며 “계엄 상황과 관계없는 얘기를 한 것”이라고 말했다. 긴박한 비상계엄 선포 상황에서 간첩을 잘 잡으라고 전화했다는 주장이다.

증인으로 나온 이진우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은 비상계엄 당일 윤 대통령과 세 차례 통화를 한 사실을 인정했다. 여 전 사령관도 증인으로 출석해 김 전 장관이 직접 정치인 체포조 등의 출동을 지시했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44 “못난이 사과 값이 착해”… 한 달을 기다린 서민들 랭크뉴스 2025.02.05
47243 다시 시작된 관세 전쟁… 트럼프 1기 땐 美 경제도 타격 랭크뉴스 2025.02.05
47242 '美·中 관세전쟁'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 서두르지 않아…적절한 때 하겠다" 랭크뉴스 2025.02.05
47241 檢 ‘윗선 지목’ 조국·임종석 재 수사도 빨간불 랭크뉴스 2025.02.05
47240 가출 그리고 탈출... 꽃 피는 봄, 약속대로 아빠가 돌아왔다 랭크뉴스 2025.02.05
47239 '100년 된 경복궁 현판'은 일본 시골 창고 천장에 매달려 있었다 랭크뉴스 2025.02.05
47238 '울산시장 사건' 文 정부 겨냥한 윤석열 검찰… 尹 패배로 마무리되나 랭크뉴스 2025.02.05
47237 트럼프 변덕에 살얼음판 걷는 기업들… 애플 긴장, 삼성 안도 랭크뉴스 2025.02.05
47236 ‘악성 미분양’ 주택, 10년 만에 2만가구 넘겨…매매 거래 ‘한파’ 랭크뉴스 2025.02.05
47235 미·중 정상 통화 ‘아직’…막판 협상 타결? 랭크뉴스 2025.02.05
47234 55세에 4억 쥐는데 안해요? 13월의 월급, 여기 투자해라 [연금술사④] 랭크뉴스 2025.02.05
47233 탄핵 지지자 신상 털고 직장 찾아 위협…극우 ‘좌표 찍기’ 기승 랭크뉴스 2025.02.05
47232 오늘도 북극발 한파…체감온도 더 낮아 랭크뉴스 2025.02.05
47231 [1보] 뉴욕증시, 무역전쟁 우려에도 상승 마감…나스닥 1.4%↑ 랭크뉴스 2025.02.05
47230 지난해 '나홀로 사장님' 6년 만에 감소…코로나19 때보다 악화 랭크뉴스 2025.02.05
47229 윤 "계엄 관계없는 간첩 얘기한 걸 갖고" 홍 "간첩 얘기한 적 없어" 랭크뉴스 2025.02.05
47228 경력자만 뽑으면 사회초년생은 어쩌나… 랭크뉴스 2025.02.05
47227 수하물 부쳤더니 도난…배터리 외, 기내 꼭 휴대해야 될 물건은 랭크뉴스 2025.02.05
47226 드라마 잘 나가는데…‘국내 유일’ 외상전문의 수련센터, 이달말 운영 종료 랭크뉴스 2025.02.05
47225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 서두르지 않아…적절한 때에 하겠다" 랭크뉴스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