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경호 인력 출퇴근 동행부터 순찰 강화…구체적 조치는 안전 위해 '함구'


윤 대통령 지지자와 경찰 충돌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체포된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이 종료된 18일 서울 마포구 서부지법 인근 공덕오거리에서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경찰과 몸싸움을 벌이고 있다. 2025.1.18 [공동취재]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김준태 최원정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구속되자 서울서부지법에 난입해 폭력사태를 벌인 지지자들이 대거 체포된 가운데, 구속영장을 발부한 차은경 부장판사에 대한 경찰의 신변보호가 20일부터 시작됐다.

법조계와 경찰에 따르면 이번 사태와 관련 현재 경찰의 신변보호 대상은 차 부장판사와 윤 대통령 2차 체포영장을 발부한 신한미 영장전담 부장판사 등 2명인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공수처에 대해서도 수사가 마무리될 때까지 출퇴근시간 순찰차를 정부과천종합청사 정문 등에 배치하기로 했다.

경찰 관계자는 "법관들을 어떻게 경호하는지는 요청자들의 안전을 고려해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습격당한 서울서부지방법원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19일 윤석열 대통령 구속 소식을 들은 일부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불법폭력사태를 일으킨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법원에서 한 작업자가 복구 작업을 하고 있다. 2025.1.19 [email protected]


경찰은 신변보호 요청이 들어오면 심사위원회를 열고 수용 여부를 결정한다. 결정이 내려지면 위협의 수위에 따라 요청자의 주거지·직장에 대한 순찰을 강화하는 것부터, 24시간 경호까지 가능하다.

이번 사례의 경우 최소 2명 이상의 경찰들이 출퇴근에 동행하고, 일과 중에는 법원 인근에서 대기할 것으로 추정된다. 3단봉과 테이저건 등 방어용 무기를 지참했을 가능성도 있다.

위협 감지 시 인근 지구대에 곧바로 알릴 수 있는 '핫라인'도 제공됐을 것으로 보인다. 경호 대상의 중요도와 대상자의 요청에 따라 임시주거시설을 제공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호 기간은 위협이 지속되는 한 계속 연장할 수 있다. 위협 수위가 낮아질 경우 경호 단계도 함께 낮아질 수는 있지만, 요청자가 신변 우려가 없다고 판단할 때까지 조치는 지속된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6317 주한미군, '선거연수원서 중국인 99명 체포' 보도에 "완전 거짓" 랭크뉴스 2025.01.20
36316 공수처, 조사불응 尹대통령 사상 첫 강제구인 시도 랭크뉴스 2025.01.20
36315 정권연장 48.6 vs 교체 46.2%…이젠 이재명이 심판대 올랐다 [view] 랭크뉴스 2025.01.20
36314 공수처, '네 번째 조사 불응' 尹 강제구인 초읽기… 거부 땐 옥중 조사 검토 랭크뉴스 2025.01.20
36313 尹 "총쏠수 없나"·경호차장 "알겠습니다" 진술확보…尹측 반박(종합2보) 랭크뉴스 2025.01.20
36312 [속보] 김용현 쪽 “계엄 때 김 전 장관이 ‘비상입법기구’ 쪽지 작성” 랭크뉴스 2025.01.20
36311 김용현측 "비상입법기구 쪽지 직접 작성…포고령은 대통령 지침" 랭크뉴스 2025.01.20
36310 명태균 “검사가 황금폰 폐기하라 시켜”…공수처 고발 검토 랭크뉴스 2025.01.20
36309 ‘일타강사’ 전한길 “한국 혼란 선관위가 초래… 수개표하자” 랭크뉴스 2025.01.20
36308 [단독] 경찰관 끌어내고 공수처 차량은 "뒤집어"‥도 넘은 공권력 공격 랭크뉴스 2025.01.20
36307 [트럼프 취임] 취임사 확 달라질 듯…8년전 '살육' 언급 대신 '성공·용기' 랭크뉴스 2025.01.20
36306 공수처 "오후 3시부터 尹 강제구인 시도중" 랭크뉴스 2025.01.20
36305 폭동 '선동'한 유튜버와 '뒷배' 전광훈‥"내란죄로 수사해야" 랭크뉴스 2025.01.20
» »»»»» 尹 영장발부 판사 경찰 신변보호 시작…어떻게 이뤄지나 랭크뉴스 2025.01.20
36303 김용현 전 장관 측 “尹이 최상목에 건넨 ‘비상입법기구’ 메모, 金이 썼다” 랭크뉴스 2025.01.20
36302 '서부지법 난동' 체포된 절반이 20·30대…왜? 랭크뉴스 2025.01.20
36301 김용현측 "비상입법기구 메모, 장관이 작성…국회 대체 아냐" 랭크뉴스 2025.01.20
36300 서부지법 폭동 피해 금액 6~7억 원, 직원 20여 명 옥상으로 긴급 대피 랭크뉴스 2025.01.20
36299 "조직적으로 영장 판사 집무실 노렸다"‥'폭도' 66명 구속영장 랭크뉴스 2025.01.20
36298 김용현 전 장관 측 “‘尹이 최상목에 건넨 ‘비상입법기구’ 메모, 내가 썼다” 랭크뉴스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