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지난 17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서 비상계엄 특별수사단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대통령경호처 부장단 오찬에서 “(체포영장 집행 때) 총을 쏠 수는 없냐”라고 묻자 김성훈 경호차장이 “네. 알겠습니다”라고 답변한 정황을 경찰이 포착했다.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특수단)은 윤 대통령과 김 차장 사이에 이런 대화가 오갔다는 경호처 관계자 진술을 확보했다고 20일 밝혔다. 윤 대통령이 지난 10일 경호처 부장단과 오찬을 하면서 “총을 쏠 수 없냐”고 질문하자 김 차장이 “네. 알겠습니다”라고 답변했다는 것이다. 지난 3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체포영장 집행이 경호처 저지로 한 차례 무산된 후 윤 대통령이 총기 사용 운운하며 강경한 대응을 주문한 정황이 진술로 확인된 것이다.
서울서부지검은 경찰이 신청한 김 차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증거인멸의 우려가 없다”는 이유 등으로 전날 기각했다. 특수단은 김 차장이 증거를 인멸할 가능성이 있으며 자신의 지시에 불응한 경호처 관계자들에 대한 보복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지난 18일 서부지검에 구속영장을 신청했지만 검찰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김 차장과 함께 체포영장 집행을 막은 혐의를 받는 이광우 본부장도 전날 석방됐다.
석방된 김 차장이 윤 대통령 경호 업무에 복귀하면서 김 차장 지시에 따르지 않고 공수처·경찰의 체포영장 집행에 협조한 경호처 내부에서는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현직 경호처 직원 A씨는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보낸 메시지에서 “혼란스러운 트라우마 속 어려운 처지에 대다수 직원은 김성훈 차장과 이광우 본부장 복귀에 절망감을 느끼고 있다”며 “현재 많은 간부가 혼란스러운 상태”라고 했다.
이 직원은 “영장 집행에 응하면서 사실상 김 차장과 이 본부장의 지시를 불이행했고, 이들은 집행을 막지 않았던 직원들에게 인사조치를 예고한 상황”이라며 “김 차장이 풀려나 어떤 짓을 할지 알 수 없어서 메시지를 전달 드린다”고 설명했다. 이어 “거의 모든 부서와 담당자들이 증거인멸을 포함한 부당한 지시를 거부한 상황으로, 어떤 보복 조치가 있을지 걱정”이라며 “경호처의 정상화를 위해서라도 그들의 직위해제를 강력히 원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