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위기 속 기회, 미래 먹거리 확보 총력”
M&A 나선 웅진, R&D 강화해 신사업 진출한 엠씨넥스
대동·경동나비엔, 해외 개척 활발...“관세 폭탄 대응”

자동차 부품 업체 삼현은 AI 로봇 기업 케이스랩을 인수했다. 작년 매출 1004억원을 기록한 삼현은 기존 자동차·방산 부품 사업을 넘어 첨단 로봇으로 영역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위기 속 신성장동력 확보에 나섰다. 기업을 인수하거나 연구개발(R&D)을 바탕으로 신사업에 뛰어든다. 해외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영역을 넓히기도 한다.

그래픽=손민균

기업 인수, R&D 통해 신사업 진출
M&A는 기업 성장의 핵심 전략으로 꼽힌다. 기업을 인수해 단숨에 목표로 한 시장에 진출할 수 있다. 독일 플랙트그룹을 인수, AI 인프라 시장 공략에 나선 삼성전자가 대표적인 사례다. 최근 한화그룹도 국내 급식 업계 2위 아워홈을 품으며 급식 시장에 진출했다.

이는 중견기업도 마찬가지다. 매출 1조81억원 규모의 웅진은 지난 6일 국내 상조 업계 1위 프리드라이프 인수를 위해 이 회사 지분을 보유한 사모펀드(PEF) 운용사 VIG파트너스와 주식 매매계약을 체결했다. 웅진은 고령화 시대에 맞춰 상조 시장에 진출, 2010년대 재계 30위권에 올랐던 과거의 영광을 되찾겠다는 목표다.

M&A를 통해 ‘대기업집단’으로 성장한 중견기업도 있다. 글로벌 자동차 진동 방지용 부품 시장 ‘톱3’ 중 한 곳으로 꼽히는 DN오토모티브는 2022년 두산공작기계(현 DN솔루션즈)를 인수하며, DN그룹으로 공정거래위원회 대기업 집단(자산총액 5조원 이상)에 이름을 올렸다. 현재 재계 74위다.

연구개발(R&D)을 통한 신사업 진출도 중견기업의 성장 전략이다. 이는 외부 기업을 인수하는 M&A와 비교해 회사 자체 기술 등 역량을 키우는 것이 핵심이다.

카메라 모듈 제조 중견기업 엠씨넥스는 최근 차량용 반도체 모듈 패키징 사업 강화에 나섰다. 시스템반도체에 메모리반도체·전력반도체 등을 하나의 패키지로 통합한 SIP(System in Package) 사업으로, 국내는 물론 세계 휴대전화·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시장을 이끌고 있는 엠씨넥스의 신성장동력이다.

엠씨넥스는 2022년부터 반도체 표면실장기술(SMT) 등 차량용 반도체 모듈 패키징 관련 R&D에 나섰고, 베트남 현지 공장에 생산라인도 구축했다. 지난해 매출 1조570억원을 기록한 엠씨넥스는 차량용 반도체 모듈 패키징 사업에서 매출 2000억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종합 부동산 관리 중견기업 S&I코퍼레이션은 AI 기술 개발을 통한 신사업 강화에 나섰다. 작년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해 사스(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등 기술 고도화도 진행했다.

LG그룹에서 2022년 계열 분리한 이 회사는 건물시설관리(FM) 서비스에 주력하며 지난해 매출 8512억원을 올렸다. 최근 AI 기반 적정 임대료 분석, 실시간 공실률 및 시세 정보 제공 등을 통해 부동산 자산관리(PM), 매입매각을 비롯한 임대관리(LM)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해외 시장 개척...美 관세 폭탄 대응
농기계 제조 중견기업 대동은 올 초 미국 현지시장 조사에 착수했다. 미국의 기본 관세 10%와 품목별 추가 관세 등으로 인한 미국 존디어, 일본 구보다 등 경쟁 브랜드들의 제품 가격 인상 등 시장 상황을 분석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다.

대동 관계자는 “경쟁사의 가격 인상 등 관세 대응 방향을 보면서 북미, 유럽 시장 비즈니스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동은 지난해 매출 1조4155억원을 기록했고, 이중 미국·유럽 등 해외 시장 비중이 65.3%에 이른다.

미국 전기차 공장 생산 확대에 나선 현대차, 북미 배터리 생산기지 확장을 추진하는 SK온 등 대기업처럼 미국 현지 생산기지 건설을 검토하는 중견기업도ㅑ 있다.

보일러 제조 중견기업 경동나비엔은 올해 초 지난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 매입한 미 동부 버지니아 8만2644㎡(약 2만5000평) 부지에 보일러·온수기 공장을 짓는 걸 검토했다. 현재 이 곳은 경동나비엔 물류 창고로 사용되고 있다.

경동나비엔은 지난해 매출 1조3500억원 중 약 70%를 해외에서 올렸다. 미국·중국·러시아가 주요 시장이고, 현재 국내와 중국에 생산공장을 두고 있다.

경동나비엔 관계자는 “미 관세로 인한 타격이 크다는 전제하에 검토한 것”이라며 “현재도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880 병원 진단서까지 제출한 김건희…"대선 이후 檢 출석하겠다"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79 한동훈 얘기 꺼낸 윤여준 “그래도 계엄 반대했는데…일종의 자기 부정 아니냐”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78 [속보]김문수 "이준석과 단일화해 대선 승리할 것"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77 “‘단일화’ 연관검색어가…” 가천대에서 만난 이준석-안철수 [현장영상]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76 국수본 간부 "계엄 당일 윤승영에게 '방첩사 체포조 지원' 보고"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75 서울지하철 1∼8호선 첫차, 새벽 5시로 당긴다…8월부터 적용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74 이재명 “윤석열, 본인 이겨놓고 부정선거였다니 이해 안 돼”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73 전국 교사·장학사에게 ‘국민의힘 교육특보 임명’ 문자가 쏟아졌다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72 안철수 만난 이준석 "단일화 입장 변화無"…安 "효과 분명"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71 김문수, 尹 '부정선거' 영화관람에 "선관위 의혹 해명 노력해야"(종합)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70 믿었던 洪마저 외면… 이준석 향하는 범보수 빅텐트, ‘빈 텐트’ 되나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69 서울 지하철, 8월부터 첫차 시각 30분 앞당긴다... 5시 출발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68 중앙의료원 돌진 70대 택시기사 공소기각… "피해자와 합의"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67 김문수, 윤석열 ‘부정선거’ 관람에 “영화 보고 사람 많이 만나면 좋지 않나”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66 '계엄말이' '좌파게티' 고려대 주점, 계엄 희화화 논란... 학생회 "사과"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65 尹, 부정선거 망령 소환… 국민의힘 “자중하라, 대체 왜 이러나"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64 안철수,이준석 유세장 찾아 단일화 설득 나선다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63 한국인 틈에 끼어 몰래… 오산 에어쇼서 전투기 불법 촬영한 대만인 구속 송치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62 고대 축제에 등장한 계엄말이·좌파게티… 계엄 희화화 논란에 결국 사과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61 이재명 “국힘 ‘석고대죄 쇼’ 하겠지만, 여전히 윤석열과 일심동체” new 랭크뉴스 2025.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