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위기 속 기회, 미래 먹거리 확보 총력”
M&A 나선 웅진, R&D 강화해 신사업 진출한 엠씨넥스
대동·경동나비엔, 해외 개척 활발...“관세 폭탄 대응”

자동차 부품 업체 삼현은 AI 로봇 기업 케이스랩을 인수했다. 작년 매출 1004억원을 기록한 삼현은 기존 자동차·방산 부품 사업을 넘어 첨단 로봇으로 영역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위기 속 신성장동력 확보에 나섰다. 기업을 인수하거나 연구개발(R&D)을 바탕으로 신사업에 뛰어든다. 해외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영역을 넓히기도 한다.

그래픽=손민균

기업 인수, R&D 통해 신사업 진출
M&A는 기업 성장의 핵심 전략으로 꼽힌다. 기업을 인수해 단숨에 목표로 한 시장에 진출할 수 있다. 독일 플랙트그룹을 인수, AI 인프라 시장 공략에 나선 삼성전자가 대표적인 사례다. 최근 한화그룹도 국내 급식 업계 2위 아워홈을 품으며 급식 시장에 진출했다.

이는 중견기업도 마찬가지다. 매출 1조81억원 규모의 웅진은 지난 6일 국내 상조 업계 1위 프리드라이프 인수를 위해 이 회사 지분을 보유한 사모펀드(PEF) 운용사 VIG파트너스와 주식 매매계약을 체결했다. 웅진은 고령화 시대에 맞춰 상조 시장에 진출, 2010년대 재계 30위권에 올랐던 과거의 영광을 되찾겠다는 목표다.

M&A를 통해 ‘대기업집단’으로 성장한 중견기업도 있다. 글로벌 자동차 진동 방지용 부품 시장 ‘톱3’ 중 한 곳으로 꼽히는 DN오토모티브는 2022년 두산공작기계(현 DN솔루션즈)를 인수하며, DN그룹으로 공정거래위원회 대기업 집단(자산총액 5조원 이상)에 이름을 올렸다. 현재 재계 74위다.

연구개발(R&D)을 통한 신사업 진출도 중견기업의 성장 전략이다. 이는 외부 기업을 인수하는 M&A와 비교해 회사 자체 기술 등 역량을 키우는 것이 핵심이다.

카메라 모듈 제조 중견기업 엠씨넥스는 최근 차량용 반도체 모듈 패키징 사업 강화에 나섰다. 시스템반도체에 메모리반도체·전력반도체 등을 하나의 패키지로 통합한 SIP(System in Package) 사업으로, 국내는 물론 세계 휴대전화·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시장을 이끌고 있는 엠씨넥스의 신성장동력이다.

엠씨넥스는 2022년부터 반도체 표면실장기술(SMT) 등 차량용 반도체 모듈 패키징 관련 R&D에 나섰고, 베트남 현지 공장에 생산라인도 구축했다. 지난해 매출 1조570억원을 기록한 엠씨넥스는 차량용 반도체 모듈 패키징 사업에서 매출 2000억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종합 부동산 관리 중견기업 S&I코퍼레이션은 AI 기술 개발을 통한 신사업 강화에 나섰다. 작년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해 사스(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등 기술 고도화도 진행했다.

LG그룹에서 2022년 계열 분리한 이 회사는 건물시설관리(FM) 서비스에 주력하며 지난해 매출 8512억원을 올렸다. 최근 AI 기반 적정 임대료 분석, 실시간 공실률 및 시세 정보 제공 등을 통해 부동산 자산관리(PM), 매입매각을 비롯한 임대관리(LM)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해외 시장 개척...美 관세 폭탄 대응
농기계 제조 중견기업 대동은 올 초 미국 현지시장 조사에 착수했다. 미국의 기본 관세 10%와 품목별 추가 관세 등으로 인한 미국 존디어, 일본 구보다 등 경쟁 브랜드들의 제품 가격 인상 등 시장 상황을 분석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다.

대동 관계자는 “경쟁사의 가격 인상 등 관세 대응 방향을 보면서 북미, 유럽 시장 비즈니스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동은 지난해 매출 1조4155억원을 기록했고, 이중 미국·유럽 등 해외 시장 비중이 65.3%에 이른다.

미국 전기차 공장 생산 확대에 나선 현대차, 북미 배터리 생산기지 확장을 추진하는 SK온 등 대기업처럼 미국 현지 생산기지 건설을 검토하는 중견기업도ㅑ 있다.

보일러 제조 중견기업 경동나비엔은 올해 초 지난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 매입한 미 동부 버지니아 8만2644㎡(약 2만5000평) 부지에 보일러·온수기 공장을 짓는 걸 검토했다. 현재 이 곳은 경동나비엔 물류 창고로 사용되고 있다.

경동나비엔은 지난해 매출 1조3500억원 중 약 70%를 해외에서 올렸다. 미국·중국·러시아가 주요 시장이고, 현재 국내와 중국에 생산공장을 두고 있다.

경동나비엔 관계자는 “미 관세로 인한 타격이 크다는 전제하에 검토한 것”이라며 “현재도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695 [단독] 노상원의 ‘YP 작전’…윤석열 검찰총장 때부터 대선 계획 짰다 랭크뉴스 2025.05.21
50694 OTT에 밀리고 고배당 주느라 허덕이고… 스카이라이프, 상장 이후 최저가 랭크뉴스 2025.05.21
» »»»»» “삼성만 하냐, 우리도 한다” M&A·해외 시장 개척…성장동력 찾는 중견기업들 랭크뉴스 2025.05.21
50692 폭행에 욕설…'아동학대 혐의' 손웅정 감독, 벌금형 이어 징계도 랭크뉴스 2025.05.21
50691 이재오, 12·3 불법계엄에 “민주주의는 힘이 아니라 대화로 지켜야” 랭크뉴스 2025.05.21
50690 손흥민 협박女 "누구 애인지 몰라, 양쪽에 연락"…양다리 교제 의혹 랭크뉴스 2025.05.21
50689 트럼프 “對러 제재 강화, 러시아 행동 보고 내가 결정” 랭크뉴스 2025.05.21
50688 뉴욕증시, 재료 부재 속 하락 마감… 3대 지수 동반 하락 랭크뉴스 2025.05.21
50687 커지는 '이재명 빅텐트'…문병호·한광원·김성호, 오늘 李지지선언 랭크뉴스 2025.05.21
50686 아직 국회 문턱 못 넘은 ‘외투기업 먹튀 방지법’…22대는 다를까 랭크뉴스 2025.05.21
50685 유엔총회서 첫 북한인권 고위급 회의…“한국 드라마 배포에 처형” 증언 랭크뉴스 2025.05.21
50684 “빌 클린턴이 광화문에?”…비공식 방한에 온라인 목격담 확산 랭크뉴스 2025.05.21
50683 건진법사가 준 샤넬백, 김건희 비서가 받아 다른 가방으로 교환 랭크뉴스 2025.05.21
50682 [팩트체크] 후보 이름 직접 쓰던 투표, 왜 사라졌나 랭크뉴스 2025.05.21
50681 이재명 지지층 절반도 '개헌 빅텐트' 공감... 기회 날린 김문수 [한국일보 여론조사] 랭크뉴스 2025.05.21
50680 "이름만 빌려줬다 생각했는데"…79억 채무 떠안은 직원들 랭크뉴스 2025.05.21
50679 조희대 청문·대법관 증원 '사법부 흔들기'에…법관들 우려 랭크뉴스 2025.05.21
50678 해외서 '계엄' 맘 졸였는데‥"민주적인 나라 되길" 랭크뉴스 2025.05.21
50677 [김길원의 헬스노트] 고령사회 역할 커지는 뇌졸중 전문병원…정부 정책 '엇박자' 랭크뉴스 2025.05.21
50676 여전히 '尹 심판론'이 지배하는 대선…국민의힘이 자초했다 [VIEW] 랭크뉴스 2025.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