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증시는 16일(현지시각) 0.1% 안팎의 보합권 내에서 혼조 출발했다.
이날 개장 10분 뒤인 9시 40분(미국 동부시각)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32.37포인트(-0.1%) 하락한 4만2279.38에 거래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2.8포인트(+0.05%) 오른 5919.73포인트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24.34포인트(+0.13%) 오른 1만9136.66에 출발했다.
로이터는 미국과 중국 간 관세 휴전 합의와 더불어 인플레이션 완화 조짐이 투자 심리를 지지했다고 분석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도 영향을 미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무역 상대국과 7월 초까지 협상을 마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히며, 관세 부과 방침을 일방적으로 통보하겠다는 계획을 시사했다. 그는 2~3주 이내에 재무장관과 상무장관 명의로 각국에 서한을 보내 미국에서 사업을 하기 위한 비용을 안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시장은 5월 소비자심리지수 속보치 발표에 주목하고 있다. 관세로 인한 소비자 불안이 가중되면서 4월 심리지수는 52.2로 쪼그라 든 바 있다. 다우존스 집계 전망치 중간값은 53.5로 심리는 일단 급랭된 상태로 추가 위축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이날 개장 10분 뒤인 9시 40분(미국 동부시각)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32.37포인트(-0.1%) 하락한 4만2279.38에 거래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2.8포인트(+0.05%) 오른 5919.73포인트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24.34포인트(+0.13%) 오른 1만9136.66에 출발했다.
로이터는 미국과 중국 간 관세 휴전 합의와 더불어 인플레이션 완화 조짐이 투자 심리를 지지했다고 분석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도 영향을 미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무역 상대국과 7월 초까지 협상을 마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히며, 관세 부과 방침을 일방적으로 통보하겠다는 계획을 시사했다. 그는 2~3주 이내에 재무장관과 상무장관 명의로 각국에 서한을 보내 미국에서 사업을 하기 위한 비용을 안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시장은 5월 소비자심리지수 속보치 발표에 주목하고 있다. 관세로 인한 소비자 불안이 가중되면서 4월 심리지수는 52.2로 쪼그라 든 바 있다. 다우존스 집계 전망치 중간값은 53.5로 심리는 일단 급랭된 상태로 추가 위축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