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4일 여론조사 진행
한덕수가 오차범위 밖으로 앞서
국힘 지지층에선 한 65%, 김 27%
한덕수가 오차범위 밖으로 앞서
국힘 지지층에선 한 65%, 김 27%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오른쪽)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가 지난 5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에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 대통령실사진기자단
보수 진영 단일 후보로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가 39%의 지지를 얻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30%)에 오차 범위 밖으로 앞선다는 한국갤럽 여론조사 결과가 6일 나왔다.
중앙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3~4일 만 18세 이상 성인 1006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가상전화를 활용한 전화 면접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한 후보는 지난 2일 대선 출마를 선언했고, 김 후보는 지난 3일 전당대회에서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됐다.
두 후보 중 누구로 단일화해야 하냐는 질문에 한 후보가 39%, 김 후보가 30%였다. 격차가 9%포인트로 오차범위(±3.1% 포인트)보다 컸다. ‘의견 없다’는 29%였다. 국민의힘 지지층으로 좁혀보면 한 후보가 65%, 김 후보가 27%로 크게 벌어졌다. 전당대회로 며칠 전 뽑힌 국민의힘 후보가 오히려 당 지지층에게 지지를 받지 못하는 것이다. 또 전체 대선 후보를 놓고 선호도를 물었을 때 김 후보를 선택한 응답자 가운데 30%는 단일화 선호도에서 김 후보가 아닌 한 후보를 택했다고 중앙일보가 이날 보도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는 한 후보가 19%, 김 후보가 37%였다. 수치만 놓고 보면 단일화 여론조사 규칙을 정할 때 국민의힘 외 다른 정당 지지자들을 제외하는 ‘역선택 방지조항’에 한 후보가 긍정적이고 김 후보가 부정적일 수 있다.
가상 4자 대결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47%, 한 후보가 23%, 김 후보가 13%,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가 4%를 얻었다.
보수 단일화를 전제로 한 가상 3자 대결에서는 김 후보가 나설 경우 이재명 후보 49%, 김 후보 33%, 이준석 후보 9%였다. 한 후보로 단일화할 경우 이재명 후보 49%, 한 후보 36%, 이준석 후보 6%였다. 이재명 후보와의 격차는 김 후보 16%포인트, 한 후보 13%포인트로 오차범위 내였다.
가상 양자 대결에서는 이재명 후보 52% 대 김 후보 39%, 이재명 후보 51% 대 한 후보 41%로 집계됐다.
이 조사는 응답률 17.8%, 표본오차는 9% 신뢰수준에 최대 ±3.1% 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