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29일 백악관 기자회견장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이 29일(현지시각) “미국이 인도, 한국, 일본과 무역협상에서 진전을 보고 있다”며 ‘이들 국가들이 선거 전에 미국과 성공적인 협상을 해결하려고 한다’는 취지로 말했다. 상호관세 유예 마감 기한 ‘7월 8일’까지 차분히 협상해 6월 조기 대선 이후 마무리짓도록 하겠다는 한국 정부 입장과는 차이가 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100일을 맞아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우리가 인도와 매우 가까워졌다고 생각한다”며 인도와 협의가 가장 진전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어 “한국과의 협상 윤곽이 잡혀가는 것을 볼 수 있고, 일본과도 실질적인 대화를 나눴다”고도 말했다. 한-미 양국은 지난 24일 미국 워싱턴에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베선트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함께 관세 문제를 논의하는 ‘2+2 고위급 통상 협의’를 연 바 있다.

그는 오는 6월 3일로 예정된 한국 대선, 일본의 7월 참의원 선거 등 아시아 국가들의 주요 정치 일정 탓에 협상 타결이 늦어질 가능성에 대해서는 “오히려 반대 방향”이라며 “이들 정부는 실제로 선거에 들어가기 전에 무역 협정의 틀을 완성하길 원하고 있다. 이것은 그들이 미국과 성공적으로 협상했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그들이 협상 테이블에 훨씬 더 적극적으로 나와 이 일을 끝내고, 그 성과를 가지고 선거운동을 하길 원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말했다.

이는 협상 뒤 최 부총리 등이 상호관세 유예 마감 기한인 7월 8일까지 차분히 협상하겠다고 밝힌 입장과는 차이가 있다. 최 부총리는 미국에서 협상 뒤 “한국의 정치 일정과 통상 관련 법령, 국회와의 협력 필요성 등 다양한 고려 사항이 있음을 설명하고 미국 쪽의 이해를 요청했다”며 “서두르지 않으면서 차분하고 질서 있는 협의를 위한 양국 간 인식을 공유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당시에도 미국 쪽은 “3~4주” 안에 끝내겠다는 입장을 보여, 양국 간 협상 속도를 놓고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번 주부터 양국이 실무협상에 들어간다고 알려진 가운데 베선트 장관의 발언이 나오기까지 실제 어떤 진전이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세계 각국에 부과한 관세로 인한 공급망 충격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공급망 충격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소매업체들이 앞서 재고 관리를 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중국에 대한 초고율 관세 부과 여파로 5월부터는 미국 내 공급망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관측과 우려를 의식한 발언으로 보인다. 앞서 시엔비시 방송은 28일 아폴로 글로벌매니지먼트가 최근 투자자 대상 설명 자료에서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몇 주 안에 미국 내 가게들의 텅 빈 진열대와 팬데믹 때와 같은 물품 부족 사태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보도했다. 이런 관측은 지난 주 월마트 등 미국의 대표 소매업체 대표들이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한 경고와 같다. 이와 관련해 베선트 장관은 145%에 달하는 대중국 관세 수준이 중국 기업들에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중국과 무역 협상을 낙관해왔다.

이날도 그는 초고율 관세의 여파로 곧 중국 내 100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을 것이라며 중국이 관세가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점을 깨달을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한편 이날 브리핑에 함께 나선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자동차 관세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634 교황 "절대 연명의료 말라"…한국인 절반도 교황처럼 떠난다[신성식의 레츠 고 9988] 랭크뉴스 2025.04.30
50633 홍준표 “정치 인생 오늘 졸업”…탈당도 예고 랭크뉴스 2025.04.30
50632 뉴욕증시, 강보합 출발… 트럼프 2기 출범 100일 브리핑, 지표·실적 변수 랭크뉴스 2025.04.30
50631 과반 없었다…‘김문수·한동훈’ 결선 랭크뉴스 2025.04.30
50630 타이태닉호 침몰 직감?…'낙찰가 6억' 생존자 편지, 뭐라고 썼길래 랭크뉴스 2025.04.30
50629 “트럼프 주니어 웰컴!”…호텔 앞 모여든 윤석열 지지자들 랭크뉴스 2025.04.30
50628 '모든 게 멈췄다'‥정전에 비상사태 선포한 이베리아반도 랭크뉴스 2025.04.30
50627 한국 온 트럼프 주니어, 오늘 대기업 총수들과 1대1 차담 랭크뉴스 2025.04.30
» »»»»» 미 재무장관 “한국, 대선 전 협상 해결 의지 강해”…최상목, 입장 바꿨나 랭크뉴스 2025.04.30
50625 '생리대 사업' 시작한 유명 아이돌 "월급 590만원" 공고 화제 랭크뉴스 2025.04.30
50624 한덕수, 헌재법 개정안 거부권…‘국정 악용’ 대선 행보 비판 랭크뉴스 2025.04.30
50623 경찰, 미아동 마트 살인 피의자 신상공개…32세 김성진 랭크뉴스 2025.04.30
50622 전 세계 친환경 선박 비중 ‘한 자릿수’… 대체 연료 공급도 ‘걸림돌’ 랭크뉴스 2025.04.30
50621 [단독]MB때 법제처장 이석연, 이재명 선대위 합류…국민통합위 맡는다 랭크뉴스 2025.04.30
50620 ‘이재명 선거법’ 상고심 1일 선고 랭크뉴스 2025.04.30
50619 [사설] '한덕수 단일화' 예선전 된 국민의힘 경선, 뭘 기대하겠나 랭크뉴스 2025.04.30
50618 [단독] "강아지도 안 먹을 음식"‥'尹 장모 요양원' 노인학대 정황 긴급조사 랭크뉴스 2025.04.30
50617 美재무 "對韓 관세협상 점차 윤곽…韓, 대선前 협상틀 마련원해"(종합) 랭크뉴스 2025.04.30
50616 정부 “복제폰 피해 가능성 적다”지만, 최대 5천억 ‘강력 징계’ 예고 랭크뉴스 2025.04.30
50615 [단독] '가로수길 비밀 캠프' 의혹‥화랑 소유주 남매 경찰 출석 본격 수사 랭크뉴스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