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선자 2인’ 다음 행보는
안철수·홍준표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2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2차 경선에서 탈락한 뒤 결선 진출 후보들의 소감을 듣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안철수, 대선서 ‘역할’ 의지
“이재명 저지에 힘 보탤 것”
대구시장직을 내려놓고 배수진을 쳤던 홍준표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29일 결선 진출에 실패하자 “시민으로 돌아가겠다”며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이번 대선 경선을 끝으로 30년 정치 인생에 마침표를 찍게 됐다. 홍 후보와 함께 탈락의 고배를 마신 안철수 후보는 “이재명으로 정권교체가 되는 것을 막는 데 제힘을 바치겠다”고 말했다.
홍·안 후보는 이날 발표된 국민의힘 2차 대선 경선 결과 김문수·한동훈 후보에 밀려 탈락했다. 홍 후보는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경선 결과 발표 후 “정치 인생을 오늘로서 졸업하게 돼서 정말 고맙다”며 정계 은퇴 의사를 밝혔다. 그는 “이제 시민으로 돌아가겠다. 자연인으로 돌아가서 좀 편하게 살도록 하겠다”며 “이번 대선에서의 저의 역할은 여기까지”라고 말했다. 홍 후보는 이후 캠프 사무실에서도 “정치를 더 이상 안 하겠다”며 재차 정계 은퇴 뜻을 밝혔다.
홍 후보는 탈당도 예고했다. 그는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30년 정들었던 우리 당을 떠나고자 한다. 더 이상 당에서 내 역할이 없고 정계에 머물 명분도 없어졌다”고 말했다. 그는 “새로운 인생을 살겠다”며 “갈등과 반목이 없는 세상에서 살았으면 한다”고 했다.
홍 후보가 대선에 도전한 건 이번이 세 번째였다. 그는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으로 실시된 19대 대선에서 국민의힘 후보로 출마했다. 당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에게 밀려 2위를 차지했다. 2022년 치러진 20대 대선에서는 당내 경선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졌다.
홍 후보는 경선 레이스를 앞두고 대구시장직을 내려놓는 강수를 뒀다. 당내 지지세가 약하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역 의원들과의 접촉도 늘렸다. 2020년 총선 당시 공천 문제로 탈당했다가 2021년 복당을 시도할 때 반대한 유상범 의원이 캠프 총괄상황본부장을 맡았다. 유 의원은 “홍 후보는 더 이상 독고다이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 탄핵 찬반 구도로 진행된 경선에서 12·3 불법계엄과 윤 전 대통령 탄핵소추, 파면 등에 대해 오락가락하는 입장을 보이며 선명성을 부각하지 못했다. 경선 토론회에서 각종 인신공격성 질문으로 논란이 됐다.
이로써 홍 후보의 정치 여정은 이번 대선을 끝으로 멈추게 됐다. 그는 1996년 김영삼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했다. 5선 국회의원을 지냈고, 당대표를 두 차례 했다. 경남지사와 대구시장 등 행정 경험도 갖추며 보수 대표 정치인으로 거듭났다. 거침없고 직설적인 언변으로 대중 인지도 상승과 함께 막말 논란에도 휩싸였다. ‘모래시계 검사’ ‘독고다이’ ‘홍카콜라’ 등 다양한 별명을 얻었다.
안 후보는 당사에서 “당원과 국민의 선택을 겸허히 받아들인다”며 “국민의힘이 위기를 이겨내기 위해선 더욱 분발해야 한다. 누가 최종 후보가 되든 이재명으로 정권교체가 되는 것을 막는 데 제힘을 바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