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VIP에만 판매"... 빠른 교체 원하는 심리 악용
누리꾼들 '황당'... "진짜 못됐다" 비판 댓글 봇물
당근 "정책 위반 사례로 판단해 즉시 삭제 조치"
누리꾼들 '황당'... "진짜 못됐다" 비판 댓글 봇물
당근 "정책 위반 사례로 판단해 즉시 삭제 조치"
28일 중고거래 플랫폼인 당근마켓에 오른 'SKT 유심 1장 15만 원'이라는 제목의 게시물.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SK텔레콤(SKT) 휴대폰 유심(USIM) 정보 해킹 사태 파장이 날로 확산하는 가운데, SKT의 유심 무상 교체 서비스도 준비 물량 부족 탓에 품귀 현상을 빚자 급기야 이를 악용하는 상술까지 등장했다. 하루빨리 유심을 교체하고 싶어 하는 소비자들 심리를 이용, 터무니없는 웃돈을 붙여 유심을 고가에 팔겠다는 게시물이 중고거래 플랫폼에 오른 것이다.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28일 중고 거래 커뮤니티 당근마켓에는 'SKT 유심 1장 15만 원'이라는 제목의 판매글이 게시됐다. 글쓴이는 "현재 SK 해킹 사태로 유심 교환 못 하고 계실 텐데, 일반 판매점에서 손님께 휴대폰 판매할 재고 여유분을 드릴 수 있다"며 "쉽게 말해 (내가) 가지고 있으면 판매수익 낼 수 있는 걸 포기하고 드리는 것"이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판매 대상은 'VVIP'(극소수 상류층 고객), 곧 부자들로 한정했다. 글쓴이는 "(15만 원 판매가는) 업무처리비용+프리미엄이라 생각하시면 된다. 일반인께 판매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자산이 많으신데 당장 유심을 바꿔야 할 분들, VVIP 중에서 연락 달라. 일반인은 연락 주셔도 네고(가격 흥정) 및 판매 불가"라고 덧붙였다.
누리꾼들은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다수의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해당 판매글 캡처본과 함께 거센 비판이 쏟아졌다. 관련 게시물에 달린 댓글은 "(새 유심 가격은) 대리점에서 5,000원도 안 할 텐데" "진짜 못됐다" "휴대폰 판매업자는 이래서 못 믿는다" "SKT에 제보해서 (판매자를) 혼내 줘야 하지 않을까" 등 비난 일색이었다.
논란이 일자 문제의 게시물은 즉시 삭제됐다. 당근마켓은 "전문 판매업자에 의한 정책 위반 사례로 판단해 삭제 조치했다"며 "이와 같은 행위에 대해 계속 단속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당근마켓은 반복적으로 이윤을 추구하는 전문 판매업자의 활동을 금지하고 있으며, 사회적 물의를 일으킬 수 있는 행위나 과도한 웃돈이 붙은 거래도 정책 위반으로 간주하고 있다.
앞서 SKT는 지난 22일 "해커에 의한 악성코드로 이용자 유심과 관련된 일부 정보가 유출된 정황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SKT는 현재 약 100만 개의 유심을 보유하고 있고, 다음 달 말까지 약 500만 개를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SKT 가입자 2,300만 명과 이 회사 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가입자 187만 명 등 교체 대상자가 약 2,500만 명에 달해 물량 부족에 따른 혼란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