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경찰이 대통령경호처가 보관하고 있는 '비화폰 서버' 자료를 넘겨받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성훈 차장이 물러난 뒤 경호처가 협조하기로 방침을 바꾼 걸로 전해졌는데요.
다만 이번 자료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 방해 혐의에 국한된 거라서, 비상계엄과 관련한 비화폰 서버도 추가로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재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지난 16일, 경찰은 '비화폰 서버'와 '대통령 집무실 CCTV'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도했지만 진입조차 하지 못했습니다.
비상계엄 이후 7차례, 대통령경호처는 '군사상 비밀 유지' 등을 이유로 번번이 경찰의 압수수색을 가로막았습니다.
그런데 경호처가 최근 일부 자료를 제출한 데 이어, '비화폰 서버'를 건네는 방안도 경찰과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압수수색 반대를 주도해 온 김성훈 경호처 차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직후 사의를 표명하고 '대기 발령'된 뒤, 경호처가 경찰의 요청에 협조하기로 방침을 바꾼 걸로 전해졌습니다.
경찰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경호처가 기존의 압수수색영장 범위 안에서 최대한 신속하게 협조하겠다고 해 제출 방법을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도청과 감청이 불가능한 '비화폰'은 통화 녹음은 안 되지만, 통화 기록은 경호처 서버에 보관되는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경찰은 우선 서버 자료를 받는 대로 압수가 지연되는 동안 증거 인멸 시도가 있었는지부터 검증할 방침입니다.
이어 서버 기록과 관련자 진술을 비교 분석한 뒤 윤 전 대통령 본인이 자신에 대한 체포 영장 집행 저지를 지시했는지 조사할 방침입니다.
경찰은 이미 윤 전 대통령이 체포 저지를 위해 '총기 사용을 검토하라'는 취지로 지시하고, 당시 김 차장은 '알겠다'고 답했다는 경호처 간부의 진술을 확보한 만큼 결국 윤 전 대통령 본인에 대한 직접 조사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다만 경찰과 경호처가 협의 중인 비화폰 자료엔 비상계엄 관련 부분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윤 전 대통령의 내란 혐의에 대한 재판이 이미 진행되고 있기 때문인데, 경찰 관계자는 "내란 관련 자료를 확보하더라도 강제 수사는 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때문에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직권남용' 혐의를 수사하고 있는 검찰이 '비화폰 서버'를 추가로 압수수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MBC뉴스 이재욱입니다.
영상편집: 박찬영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