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최근 6년간 금융권에서 발생한 횡령·배임 등 금융사고 규모가 85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금융업권 금융사고 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4월까지 발생한 금융사고는 총 468건 사고 금액은 8422억8400만 원에 이른다.

금융당국과 금융권이 내부통제 강화에 나섰음에도 불구하고 금융사고 건수와 사고액 모두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연도별 사고 규모는 ▲2019년 424억4000만 원(60건)▲2020년 281억5300만 원(74건) ▲2021년 728억3000만 원(60건)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2년 1488억1600만 원(60건) ▲2023년 1423억2000만 원(62건)으로 급증했다.

특히 지난해에는 3595억6300만 원(112건)으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올해(4월 14일 기준)에도 이미 481억6300만 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집계됐다.

하지만 최근 하나은행에서 발생한 74억 원대 부당대출 의혹과 350억 원대 사기 사건 등은 아직 통계에 반영되지 않은 상태다.

사고 유형별로는 업무상 배임이 2524억9400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횡령·유용이 1909억5700만 원(203건), 사기가 1626억100만 원, 도난·피탈이 13억5100만 원 순으로 나타났다.

업권별로는 은행권이 4594억9700만 원(54.6%)으로 사고 금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증권업권(2505억8400만 원, 29.8%), 저축은행(571억200만 원, 6.8%), 손해보험(472억5500만 원, 5.6%), 카드사(229억6600만 원, 2.7%), 생명보험(48억8000만 원, 0.6%) 순이었다.

개별 금융회사 중에서는 우리은행이 1158억3100만 원으로 가장 많은 사고액을 기록했다.

우리은행은 2022년 700억 원대 직원 횡령 사건과 지난해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친인척 부당대출 사건 등 대형 사고가 이어지며 사고액이 크게 증가했다.

이어 KB국민은행(912억9600만 원), NH농협은행(749억3100만 원), 경남은행(601억5900만 원)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은행도 최근 800억 원대 부당대출 사건이 적발돼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이나, 현재까지 일부 금액만 집계된 상태다.

강민국 의원은 “금융사 임직원의 준법의식 부족과 내부통제 장치의 미비가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라며 “업권별 사고 특성을 분석해 보다 정교한 맞춤형 내부통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632 ‘한덕수 띄우기’ 나선 정대철 “국민이 불러내···금방 지지율 오를 것” 랭크뉴스 2025.04.29
45631 김문수 “최종 후보 확신…이재명 막기 위해 北김정은 빼곤 뭉쳐야” 랭크뉴스 2025.04.29
45630 “韓 1인당 GDP, 내년 대만에 역전당할 것” 랭크뉴스 2025.04.29
45629 대구 산불 진화율 92%…오늘 주불 진화 목표 랭크뉴스 2025.04.29
45628 김상욱 “국힘 회복 안 되면” 발언에 권성동 “그 자체가 해당행위, 거취 정하라” 랭크뉴스 2025.04.29
45627 민주당, 한덕수 ‘헌재법 거부권’에 “이것까지 하고 출마? 반드시 형사상 책임” 랭크뉴스 2025.04.29
45626 “5년 안에 인간 의사 추월” 머스크 수술로봇 예언 랭크뉴스 2025.04.29
45625 [속보]명태균 “김건희가 김상민 검사 챙겨달라고 했다” 랭크뉴스 2025.04.29
45624 스페인∙포르투갈 대정전…"나라 마비, 철도∙통신∙신호등도 먹통" 랭크뉴스 2025.04.29
45623 [속보]명태균과 대질조사 앞둔 김영선 “강혜경 범행 진술 엇갈려” 주장 랭크뉴스 2025.04.29
45622 이낙연이 어쩌다 한덕수와…“정치적 무덤, 시대의 엇박자” 랭크뉴스 2025.04.29
45621 스페인·포르투갈 정전 비상사태…“기후 위기, 전력망 차단 초래” 랭크뉴스 2025.04.29
45620 한덕수 "한미 불확실성 해소... 최상목 중심으로 지혜 모으라" 랭크뉴스 2025.04.29
45619 "바꾸느니 갈아탄다"…SKT가입자, 유심 교체 첫날 3만4000명 떠났다 랭크뉴스 2025.04.29
45618 내란 사건 “모자이크식 기소” 비난한 윤석열, 문재인 정권 수사는 더했다 랭크뉴스 2025.04.29
45617 [Why] 트럼프 ‘소득세 폐지’ 구상, 현실 가능성이 낮은 이유 랭크뉴스 2025.04.29
45616 한덕수, '대행의 재판관 지명 금지' 헌재법 개정안에 거부권 랭크뉴스 2025.04.29
45615 배우 서현진이 한동훈 지지?… '사진 도용' 논란에 팬들 뿔났다 랭크뉴스 2025.04.29
45614 국민의힘, 오늘 대선 경선 ‘최종 2인’ 결정 랭크뉴스 2025.04.29
45613 中 한한령 9년 만에 완화되나…한국 국적 아이돌 내달 단독 공연 랭크뉴스 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