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최근 6년간 금융권에서 발생한 횡령·배임 등 금융사고 규모가 85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금융업권 금융사고 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4월까지 발생한 금융사고는 총 468건 사고 금액은 8422억8400만 원에 이른다.

금융당국과 금융권이 내부통제 강화에 나섰음에도 불구하고 금융사고 건수와 사고액 모두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연도별 사고 규모는 ▲2019년 424억4000만 원(60건)▲2020년 281억5300만 원(74건) ▲2021년 728억3000만 원(60건)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2년 1488억1600만 원(60건) ▲2023년 1423억2000만 원(62건)으로 급증했다.

특히 지난해에는 3595억6300만 원(112건)으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올해(4월 14일 기준)에도 이미 481억6300만 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집계됐다.

하지만 최근 하나은행에서 발생한 74억 원대 부당대출 의혹과 350억 원대 사기 사건 등은 아직 통계에 반영되지 않은 상태다.

사고 유형별로는 업무상 배임이 2524억9400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횡령·유용이 1909억5700만 원(203건), 사기가 1626억100만 원, 도난·피탈이 13억5100만 원 순으로 나타났다.

업권별로는 은행권이 4594억9700만 원(54.6%)으로 사고 금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증권업권(2505억8400만 원, 29.8%), 저축은행(571억200만 원, 6.8%), 손해보험(472억5500만 원, 5.6%), 카드사(229억6600만 원, 2.7%), 생명보험(48억8000만 원, 0.6%) 순이었다.

개별 금융회사 중에서는 우리은행이 1158억3100만 원으로 가장 많은 사고액을 기록했다.

우리은행은 2022년 700억 원대 직원 횡령 사건과 지난해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친인척 부당대출 사건 등 대형 사고가 이어지며 사고액이 크게 증가했다.

이어 KB국민은행(912억9600만 원), NH농협은행(749억3100만 원), 경남은행(601억5900만 원)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은행도 최근 800억 원대 부당대출 사건이 적발돼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이나, 현재까지 일부 금액만 집계된 상태다.

강민국 의원은 “금융사 임직원의 준법의식 부족과 내부통제 장치의 미비가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라며 “업권별 사고 특성을 분석해 보다 정교한 맞춤형 내부통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100 인제군, 지난해 백종원 유튜브에 세금 5억원 지급...축제 예산의 3분의 1 랭크뉴스 2025.04.28
50099 5·18 단체, "역사왜곡 박선영 위원장 사퇴해야"‥고개 숙인 진화위 직원들 랭크뉴스 2025.04.28
50098 ‘엑셀방송’ 나간 서유리… “前남편 빚 책임 다하고자” 랭크뉴스 2025.04.28
50097 대구 산불, 정상 등산로 아닌 입산 통제구역서 발화 랭크뉴스 2025.04.28
» »»»»» “회장님도 직원도 해먹느라 바빠” 금융권 사고 8500억원 랭크뉴스 2025.04.28
50095 스스로 ‘쥐 인간’ 선언한 중국 Z세대… “집 밖은 싫어” 랭크뉴스 2025.04.28
50094 교육부·의대협, 만남 불발… 4월 30일 전·후 이견 랭크뉴스 2025.04.28
50093 ‘해킹 사고’ SKT, 유심교체 첫날 2300만명 중 1% 교체완료 랭크뉴스 2025.04.28
50092 여성 사제·동성혼·낙태허용 등 프란치스코 교황 유산 계승될까 랭크뉴스 2025.04.28
50091 '폭동' 부정하면서 피해자에 합의 요구‥도 넘은 '폭동 변호인단' 랭크뉴스 2025.04.28
50090 [속보]대구 북구 산불에 주민 3400여명 추가 대피령···야간 진화에 수리온 헬기 2대 투입 랭크뉴스 2025.04.28
50089 내란 실체 규명 막아선 검찰‥'영장 독점' 언제까지 랭크뉴스 2025.04.28
50088 대구 산불 진화율 19%…'야간 진화 가능' 수리온 헬기 2대 투입 랭크뉴스 2025.04.28
50087 대구 산불 인근 주민 5630명 대피령…“발화지점 등산로 아냐” 랭크뉴스 2025.04.28
50086 북한군 훈련영상 첫 공개…‘파병 인정’ 속내는? 랭크뉴스 2025.04.28
50085 홍준표 “대통령 후보 안 되면 정치계 졸업할 것…당권 관심 없다” 랭크뉴스 2025.04.28
50084 사육비 1년에 '670만원'인데…尹부부 받은 '국견' 떠안은 서울대공원 랭크뉴스 2025.04.28
50083 대구 산불 확산 주민 2200명 긴급 대피... '국가소방동원령' 발령 랭크뉴스 2025.04.28
50082 "죽는게 더 낫다"…코알라 700마리 '헬기 총살'한 호주,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28
50081 "순식간에 집앞 덮쳐…대구서 이렇게 큰 산불 상상도 못해" 랭크뉴스 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