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 더중플 - 죽음이란 무엇인가 죽음은 누구도 피할 수 없습니다. 죽음이란 불청객을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어떻게 슬퍼하고 애도해야 할까요. 오늘 ‘추천! 더중플’에선 죽음에 대한 통찰을 담은 기사를 소개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에서 확인하세요.

지금도 무수히 많은 죽음이 우리 곁을 스치고 지나갑니다. 삶과 죽음이 종이 한 장 차이라는 걸 깨닫는 게 우리네 인생일까요. 그렇다면 이정숙(52)씨는 또래보다 일찍 인생을 알았습니다.

열 살에 기차 사고로 아버지를 여의고, 스무 살엔 교통사고로 어머니를 잃었죠. 어머니의 사망 소식을 들은 할머니는 충격으로 같은 날 돌아가셨습니다. 이씨는 답답했습니다. 슬프고 화도 났어요. 삶이 공평하다면 더는 죽음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잃을 일은 없을 거라 믿었습니다. 그러나 마흔일곱의 가을, 사랑하는 남편마저 교통사고로 떠나보냈습니다.

“왜 하필 나인가요!”

이씨는 남편의 죽음을 받아들일 수 없었습니다. 전날까지 가족 카톡방에서 웃으며 대화하던 남편이었습니다. 남들은 한 번 겪기도 힘든 가족의 죽음을 여러 차례 겪은 이씨는 “왜 하필 나인가요”를 수차례 외치며 세상을 탓했습니다. 그저 남들처럼 성실하고 평범하게 살았을 뿐입니다. 차오르는 분노에 가슴 치며 울기도 했죠. “왜 또 너에게 이런 일이 생겼니”라는 주변의 말은 비수가 돼 이씨의 마음을 후벼 팠습니다.

"가족의 죽음이란 경험을 통해 오히려 내 삶의 의미를 찾았다"는 이정숙씨. "떠난 가족들이 내게 바랐을 소망을 생각하면 결코 대충 살 수 없다"고 말했다. 김경록 기자

그럼에도 이씨는 다시 일어났습니다. 이씨의 어머니가 그랬던 것처럼, 남은 가족들을 위해 용기 내 삶을 마주한 거죠. 그리고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글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누군가 같은 경험으로 힘들어할 때 꼭 필요한 위로를 해주고 싶었기 때문이죠. 에세이집 『나는 사별하였다』(꽃자리)를 펴낸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씨는 “나만이 해줄 수 있는 위로의 말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약사인 이씨는 평생 아픈 사람들을 위해 약을 지었는데, 이제는 애도의 말과 글로 가족을 잃은 사람들을 보듬고 있습니다.

(계속)
가족의 죽음을 맞닥뜨린 순간부터 아픔을 벗어나기까지, 이씨에겐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요. 그리고 그 경험을 통해 무엇을 보았을까요. 이씨와의 인터뷰 전문엔 다음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0세, 아버지의 죽음을 겪다
20세, 두 개의 상여가 함께 나간 날
47세, 사랑하는 남편이 죽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를 살린 건
사별을 극복하는 방법들
☞아빠·엄마·할머니·남편도 잃다…“위스키” 그는 주문을 외운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690

추천! 더중플 - 죽음이란 무엇인가 ▶“죽을 권리를 왜 안 줍니까” 4000명 보낸 의사의 깨달음
한 달에도 10명 이상의 환자를 떠나보내는 의사. 파킨슨병, 치매, 말기 암 환자를 돌보는 박광우 가천대길병원 신경외과 교수에게 죽음에 대해 물었습니다. 그가 적극적 안락사를 지지하게 된 계기는 무엇일까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9291

▶“집사람 따라가” 노인의 편지…형사는 그 밥값에 울었다
20년째 고독사 현장을 찾아다니고 있는 부산영도경찰서 권종호 경감의 이야기. 권 경감이 가장 눈물을 쏟은 현장은? 잘 살고 잘 죽는다는 것은 무엇일까요, 고독사 현장에서 답을 찾아봅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2171

▶이경규 “이거 참 미치겠더라” 44년 개그맨 대부의 질투
이 시대의 예능 대부, 이경규가 말하는 불안과 죽음. 그는 불안이 자신의 DNA라면, 죽음은 곧 삶의 이유라고 말합니다. 어디에서도 듣지 못한 이경규의 삶과 죽음, 불안과 두려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376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037 [샷!] "소곡소곡·타각타각"…스트레스 풀리네 new 랭크뉴스 2025.04.26
49036 민주당 순회경선 3차 개표…호남권 표심은? new 랭크뉴스 2025.04.26
49035 트럼프 “관세로 중국 개방할 수 있다면 큰 승리···실질적 양보 없인 철회 안 한다” new 랭크뉴스 2025.04.26
49034 “90비트 소인수분해 성공”…양자컴으로 해킹 진짜 될까 [김윤수의 퀀텀점프] new 랭크뉴스 2025.04.26
49033 서울 천호동 전신주 도로 위로 기울어‥"인명피해 없어" new 랭크뉴스 2025.04.26
49032 북한, 5천t급 신형 구축함 진수…김정은 "원양함대 건설"(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4.26
49031 한미약품그룹, 전문경영인 체제 안착할까… 지주사 1분기 영업익 27.4% 줄어 new 랭크뉴스 2025.04.26
49030 김종인 "한덕수, 대통령 될 수 있다 착각?‥윤석열 3년 실정 책임" new 랭크뉴스 2025.04.26
49029 미 재무장관 “한국과 ‘2+2 통상 협의’, 무역 균형 맞추려는 노력 감사” new 랭크뉴스 2025.04.26
49028 “구급차 보내줘” 157차례 허위신고 남발에 소방관 폭행…40대 철창행 new 랭크뉴스 2025.04.26
49027 車에 치인 9세, 2주만에 의식 회복…50대 뺑소니범 구속 송치 new 랭크뉴스 2025.04.26
49026 이창용 "美中 관세협상 안되면 90일 유예 연장돼도 경제비용 커" new 랭크뉴스 2025.04.26
49025 교황 장례 미사, 오후 5시 엄수···“주여, 영원한 안식을”로 시작해 “즉시 성인으로!” new 랭크뉴스 2025.04.26
49024 "아가씨 때문에 이혼합니다"…아내가 털어놓은 '끔찍한 남매' [이혼의 세계] new 랭크뉴스 2025.04.26
49023 한덕수, 내주 무소속 출마 결단할 듯… 국민의힘 ‘경선 결과’ 주목 new 랭크뉴스 2025.04.26
49022 “깐족 표현 쓰지 마라” “오늘 깐족대는 것만 보고”…한동훈·홍준표 “깐족 배틀” new 랭크뉴스 2025.04.26
49021 북한, 신형 구축함 ‘최현함’ 진수식···“가장 강력한 무장 갖춘 5000t급” new 랭크뉴스 2025.04.26
49020 '韓 급소' 환율 콕 집어…헤지펀드 출신 베센트 장관 주도 [Pick코노미] new 랭크뉴스 2025.04.26
49019 안철수 "한덕수, 백전백패 후보… 한동훈, 양심부터 찾으라" new 랭크뉴스 2025.04.26
49018 로캣랩, 뉴스페이스 시대 발사체 시장에서 성장성 가속화 [돈 되는 해외 주식] new 랭크뉴스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