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코너 몰리던 이재명 계엄이 살리고
尹 지키기로 천금의 시간 다 보내고
무반성 저질 경선으로 바닥 보이고


17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제21대 대통령선거 '1차 경선 토론회 미디어데이' 행사가 열렸다. 대선 경선 후보 8명(안철수 의원,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나경원 의원, 양향자 전 의원, 한동훈 전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기념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결국 이런 선거가 됐다. 보수진영에선 그래도 희망을 놓지 못하는 모양이다. ‘선거는 51대 49다. 막판 단일화면 뒤집을 수도 있다. 이재명의 제한적 확장성이 결국 발목을 잡을 것이다…’ 다 애처로운 자기위안이다. ‘대통령 이재명’ 외의 길이 더는 보이지 않는다. 접전은커녕 과거 더블스코어였던 이명박·정동영의 득표율만큼이나 격차 날 가능성이 더 커 보인다.

단일화 효과의 근거가 있긴 하다. 19대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가 41% 득표로 압승했으나 범보수 후보를 다 합치면 52%로 보수진영 지지도가 더 높았다. 지금은 국민의힘 후보 다 합쳐도 이재명 지지율 50%의 절반도 안 된다. 정당지지도, 정권교체 여론도 현격히 기울어있다. 보수정치에 대한 신뢰 자체가 붕괴했다는 뜻이다. 게다가 남은 기간이 겨우 한 달 남짓이면 끝났다고 보는 게 솔직한 전망이다.

자업자득이니 이재명을 원망할 것도 없다. 그의 대권가도를 꽃길로 만들어준 게 국민의힘과 강성보수진영이니까. 결정적으로 윤석열의 계엄 망동이 코너로 몰리던 그를 평원으로 끌어냈다. 그래도 반전의 기회는 있었다. 시간이 없으니 빨리 윤을 버리고 진짜 보수가치 복구에 나서도록 줄곧 주문했던 까닭이다. 하도 답답해 지난달 초엔 ‘정신 차리라. 문제는 대선이다’라고까지 쏘아붙였다.

그런데도 천금 같은 시간 다 날려먹은 국힘은 여전한 윤 그림자 속에서 애들 장난 같은 외모놀림, 빈정거림 따위를 경선토론이랍시고 내보였다. 화급한 국가현안들인 트럼프의 막무가내식 자국지상주의, 중국의 무서운 기술굴기, 사면초가에 갇힌 경제와 민생, 상존하는 안보 위기 등은 거론되지도 않았다. 이따위 질 낮은 경선은 외면할 이유나 더 쌓았다. 결국 구호만 반(反)이재명이되 실제로는 그의 조력자 역할을 한 게 국힘이다.

열성지지자들에 기반한 지지율 30% 남짓의 박스권에 갇혀있던 이재명이다. 그런 그가 최근 맹렬한 기세로 판세를 굳힌 이유를 달리 찾기는 어렵다. 지난 대선 이후 그 역시 국가지도자로서의 합당한 자질을 보여준 적이 없다. 다만 필사적인 생존능력만 보였다. 그 생존도 상대가 하도 지리멸렬한데다 윤석열이 적시마다 회생의 환경을 만들어 준 덕분이다.

국힘이 안타까워서가 아니다. 위기상황 속 국가전략도 민주적 정치과정에 기반해야 힘과 정당성을 얻는 법이다. 그래서 계엄 탄핵의 국가환란이 새로운 정치개혁의 계기가 될 수도 있겠다는 기대를 품었다. 환란 주범인 국힘부터 대오각성하고, 그렇게 민주당의 변화도 이끌어낼 수 있었을 터였다. 국힘에서 그나마 합리보수정치의 기대를 걸 만했던 유승민에다 오세훈마저 당에 넌더리를 내고 등 돌리면서 일말의 희망도 사라졌다. 이 판국에 완전히 결이 다른 한덕수까지 넣어 억지 단일화를 이룬들 무슨 시너지가 있겠는가.

대선 끝난 뒤 국힘의 모습은 뻔하다. 현 주류가 그 행태 그대로 신진 비주류의 부상을 견제하면서 기득권 지키기에나 매달릴 것이다. 전례 없이 당정을 완벽하게 장악한 이재명 정권하에서는 마땅히 역할도 없을 것이다. 되도 않는 막말이나 거리투쟁 따위로 짐짓 야당 흉내나 내는 정도가 할 수 있는 정치행위의 전부일 것이다. 목표라야 총선 공천을 따내 비루한 정치생명을 이어가는 것뿐이다.

국힘에 더는 조언할 의욕도 없지만 굳이 한마디 얹자면 계엄 이후 자신들이 무슨 일을 벌여왔는지를 찬찬히 돌이켜볼 일이다. 익히 보아온 이재명 일극체제의 전횡을 견뎌낼 각오와 함께 그동안의 윤 지키기 선동 따위를 반성하란 얘기다. 지금은 허망하지만 훗날 실패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276 文, 검찰 뇌물수수 혐의 기소에 “尹 탄핵에 대한 보복” 랭크뉴스 2025.04.24
» »»»»» [이준희 칼럼] 이재명 대권 길에 꽃길 깔아준 국민의힘 랭크뉴스 2025.04.24
48274 ‘이재명처럼 허위사실 문제될라’ 토론회 직후 정정 자료 낸 김문수 캠프 랭크뉴스 2025.04.24
48273 박안수, 계엄 해제 의결 뒤에도 추가 병력 투입 타진했다 랭크뉴스 2025.04.24
48272 美 MZ세대 절반, 두 직업 이상 가져… ‘폴리워킹’ 확산 랭크뉴스 2025.04.24
48271 이재명, 한덕수·국힘 4인 누구와 붙어도 ‘과반’[대선 여론조사] 랭크뉴스 2025.04.24
48270 존 펠란 美 해군성 장관 방한 예정… 한미 조선 협력 기대감 랭크뉴스 2025.04.24
48269 사위 월급이 장인 뇌물?... '문재인 뇌물' 치열한 법정 공방 예고 랭크뉴스 2025.04.24
48268 “스트레스 풀려고”…법원, 새끼 고양이 21마리 죽인 20대 징역형 랭크뉴스 2025.04.24
48267 "근데‥피선거권 없지 않나?" '정곡 찔린' 전광훈 당황 랭크뉴스 2025.04.24
48266 차기 교황 유력 거론…아시아 교황 선출 기대감 랭크뉴스 2025.04.24
48265 총선 출구조사에 격노한 尹 "그럴 리 없어! 당장 방송 막아!" 랭크뉴스 2025.04.24
48264 '한덕수와 빅텐트' 경선 뒤덮자, 홍준표 반격 "이준석도 끼우자" 랭크뉴스 2025.04.24
48263 대형아파트 20억인데 소형이 21억?…황당 ‘세금 역전’ 철퇴 랭크뉴스 2025.04.24
48262 [단독] 치킨값 또 오르나…BHC·BBQ 등 18개사 대표, 내일 첫 ‘이중가격제’ 논의 랭크뉴스 2025.04.24
48261 김문수·한동훈, 계엄 책임론 설전… “막았어야” vs ”보수 정치인 모두 책임” 랭크뉴스 2025.04.24
48260 민주, 홍준표 '명태균 의혹' 고발‥洪캠프 "허위사실" 맞고발 랭크뉴스 2025.04.24
48259 본궤도 오른 대법 '이재명 사건'…전원합의체 선고시기 촉각 랭크뉴스 2025.04.24
48258 "한동훈 왜 대통령 배신했나" vs "김문수 왜 같이 안 막았나" 랭크뉴스 2025.04.24
48257 [영상] “파파의 뜻 따르려” 4시간여 긴 줄도 마다 않고 마지막 인사 랭크뉴스 202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