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폐렴으로 장기간 입원했다 퇴원해 활동 재개하던 중 선종
사진=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이 21일(현지시간) 향년 88세로 선종했다고 교황청이 발표했다. 그는 2013년 즉위 이후 12년간 전 세계 14억 가톨릭 신자를 이끌어왔다.

교황청 궁무처장 케빈 페렐 추기경은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오늘 오전 7시 35분,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가셨다"고 전하며, "그분은 평생을 주님과 교회를 섬기는 데 헌신하셨다"고 밝혔다. 이어 "신앙과 용기, 보편적 사랑을 통해 복음의 가치를 실천하도록 우리를 이끌었으며, 특히 가장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을 향한 연대를 강조하셨다"고 덧붙였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호흡기 질환으로 지난 2월 14일부터 로마 제멜리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아왔다. 양쪽 폐에 폐렴 진단을 받고 고용량 산소 치료와 수혈 등을 받았으며, 혈소판 감소증과 빈혈 증세도 동반된 것으로 알려졌다. 입원 중 상태가 악화되기도 했으나, 지난 3월 23일 퇴원 후에는 활동을 재개했다.

부활절을 앞두고는 로마 시내의 교도소를 깜짝 방문하고, 이탈리아를 찾은 JD 밴스 미국 부통령과 비공개 면담을 갖는 등 외부 일정을 소화했으며, 부활절 미사에도 참석했다. 전날에는 성베드로 광장에서 신자들과 함께하며 부활절 메시지를 전한 바 있다. 하지만 이튿날 갑작스러운 선종 소식이 전해졌다.

장례는 생전 교황 본인의 뜻에 따라 간소하게 치러질 예정이다. 그는 생전에 “모든 그리스도인과 마찬가지로 품위 있으면서도 단순한 예식”을 원한다고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
사진=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3년 전임 교황 베네딕토 16세에 이어 제266대 교황으로 선출됐다.

보수적이며 전통적이었던 베네딕토 16세와 달리 진보적이며 개방적인 교황으로 평가 받았다. 두 사람의 관계는 2019년 '두 교황'이라는 영화로 제작되기도 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청빈하고 소탈한 행보로 즉위 직후부터 세계적인 관심을 끌었다.

허름한 구두를 신고 순금 십자가 대신 철제 십자가를 가슴에 걸고 소형차에 몸을 싣는 겸손하고 서민적인 교황의 모습에 세계인들은 감동했다.

또한 그는 호화로운 관저를 놔두고 일반 사제들이 묵는 공동숙소인 산타 마르타의 집에서 생활하며 청빈한 삶을 몸소 실천했다.

전 세계적으로 종교가 쇠퇴하는 가운데 교황에 즉위해 가톨릭에 대한 관심을 다시 일으킨 것으로 평가받을 정도로 그의 파격 행보는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는 2013년 즉위 이후 가톨릭교회가 소수자, 사회적 약자에 더 포용적으로 바뀌고 평신도의 목소리를 존중해야 한다며 진보적 개혁을 밀어붙여 가톨릭 내 보수진영과 마찰을 빚었다.

지난해에는 동성 커플에 대한 가톨릭 사제의 축복을 허용해 동성애를 금기시하는 아프리카 가톨릭사회를 중심으로 강한 반발을 사기도 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분쟁으로 얼룩진 세계 곳곳에 평화와 공존의 메시지를 보낸 종교 지도자로도 평가받는다.

적대적 관계에 있던 미국과 쿠바의 2015년 국교 정상화에 결정적 기여를 했고, 2017년에는 로힝야족 추방으로 '인종청소' 논란이 불거진 미얀마를 찾아 평화의 메시지를 전했다.

2천년 가톨릭 역사상 처음으로 2021년 이라크 땅을 밟아 무장테러 희생자들을 위로하기도 했다.
2022년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며 전쟁이 발발한 이래 교황은 끊임없이 평화의 목소리를 냈고, 2023년 10월 시작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의 전쟁을 두고도 민간인 희생을 막고 분쟁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교황은 또, 기후변화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신자유주의를 비판하는 목소리를 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4년 아시아 대륙 첫 방문지로 한국을 택할 정도로 한반도 평화 문제에 깊은 관심을 기울여왔다. 당시 교황은 방북을 추진했지만, 북한의 소극적 태도로 무산됐다.

교황은 이후에도 여러 차례 방북 의사를 밝혔지만 끝내 성사되진 못했다. 2027년 서울 세계청년대회 개최로 프란치스코 교황의 두 번째 방한이 기대됐으나 그가 세상을 떠나면서 방한은 차기 교황의 몫이 됐다.

차기 교황을 선출하기 위한 절차인 ‘콘클라베’는 바티칸에서 열릴 예정이다. 교황 서거 시 교황청은 15일 이내에 콘클라베를 소집하도록 되어 있다.

교황 선출은 전 세계 추기경단에 의해 이뤄진다. 현재 전 세계 추기경은 253명이며, 이 가운데 만 80세 미만인 140명이 콘클라베에 참여할 자격이 있다. 이들은 콘클라베 일정이 확정되면 바티칸 시국의 시스티나 성당에 모여 투표 절차에 돌입한다.

한국에서는 염수정 서울대교구장(세례명 안드레아)과 유흥식 대전교구장(세례명 라자로)이 현직 추기경으로 재임 중이며, 교황청 성직부 장관인 유흥식(74) 추기경이 참석한다. 올해 만 81세인 염수정 추기경은 참석하지 못한다.

콘클라베는 투표를 통해 진행되며, 새 교황은 참여 추기경단의 3분의 2 이상의 지지를 받아야 선출된다. 만약 이 요건을 충족하는 후보가 나오지 않으면 투표는 오전·오후 하루 두 차례씩 반복되며, 별도의 종료 시한은 없다.

새 교황이 선출되고 교황직 수락 의사를 밝히는 순간부터 공식적으로 교황의 직무를 시작하게 된다. 이후 그는 성베드로 대성당 발코니에 등장해 전 세계 신자들을 향해 첫 강복을 내리며 임기를 시작한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848 42살 어린 김다현 향해 수십차례 악플 쓴 50대 집행유예 랭크뉴스 2025.04.21
46847 [교황 선종] 교황의 '마지막 손님' 밴스 "어제 그를 만나 행복" 랭크뉴스 2025.04.21
46846 윤석열 전 대통령 앞에서 ‘이 말’ 하자, 방청석에서 웃음이…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21
46845 지귀연 부장판사 “국민 알 권리…법정 촬영 허가”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21
46844 다이소가 키운 ‘초저가 화장품’ 시장… 너도나도 뛰어든다 랭크뉴스 2025.04.21
» »»»»» ‘청빈과 개혁의 상징’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랭크뉴스 2025.04.21
46842 尹, 2차 공판서 “내란죄가 되는지 초점 맞춰야...檢 증인신문 불필요” 랭크뉴스 2025.04.21
46841 ‘내란 우두머리 혐의’ 윤, 2차 공판…법정 모습 공개 랭크뉴스 2025.04.21
46840 [김희원 칼럼] 국민의힘 자해 경선 쇼 랭크뉴스 2025.04.21
46839 "저는 사람에 충성하지 않아"‥'피고인 尹' 면전에서 직격 랭크뉴스 2025.04.21
46838 민주 "홍준표 캠프, 2022년 대구시장 경선 때 불법 여론조사 의혹" 랭크뉴스 2025.04.21
46837 피고인 尹 앞에서 "사람에 충성하지 않는다" 던진 특전대대장 랭크뉴스 2025.04.21
46836 김형기 특전대대장, 윤석열 앞에서 “나는 사람 아닌 국가·국민에 충성···차라리 항명죄로 처벌하라” 랭크뉴스 2025.04.21
46835 프란치스코 교황 서거… 낮은 곳에 임한 시대의 사도가 떠났다 랭크뉴스 2025.04.21
46834 생전 교황 “돈 아닌 사람이 중심”…세월호 위로·트럼프 비판도 랭크뉴스 2025.04.21
46833 '빈자의 아버지'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삶 전체를 헌신" 랭크뉴스 2025.04.21
46832 “고사리 때문에 폭싹 속았수다”… 제주 길잃음 사고 쉴 새 없다 랭크뉴스 2025.04.21
46831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사회적 약자 보듬고 개혁 힘써 랭크뉴스 2025.04.21
46830 학업에도 진심이었던 아이돌... 4년간 비행기로 4시간 통학해 대학 졸업 랭크뉴스 2025.04.21
46829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바티칸 "전생을 주님·교회에 헌신"(종합) 랭크뉴스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