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장비·부품구매도 중단" 요구
"향후 20년 세계 수요 20%가 中인데"
"향후 20년 세계 수요 20%가 中인데"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로이터연합뉴스
[서울경제]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자국 항공사들에게 미 보잉사 항공기(제트기) 인도 중단을 지시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은 15일(현지시간)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를 인용해 중국 정부가 이 같은 지시와 함께 자국 항공사들에게 미국 기업으로부터 항공기 관련 장비와 부품 구매를 중단할 것도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명령은 지난 주말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12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한 뒤 내려졌다.
블룸버그는 중국 정부가 보잉 제트기를 임대해 비용 증가에 직면한 항공사들에게는 별도의 지원을 제공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 데이터에 따르면 약 10대의 보잉 737 맥스 항공기가 중국 항공사 취항을 준비 중이며, 여기에는 중국남방항공, 에어차이나, 샤먼항공 등이 포함돼 있다. 이들 항공기 중 일부는 인도 서류와 결제가 지난 12일 중국의 상호관세 발효 전 완료됐을 가능성이 있고, 경우에 따라 중국 인도가 이뤄질 수도 있다.
앞서 블룸버그는 지난 11일 중국 대형 항공사인 지샹항공이 3주 뒤 1억2000만달러(약 1700억원)짜리 보잉 787-9 드림라이너를 넘겨받을 예정이었지만, 미국의 관세 폭탄으로 이를 보류하기로 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번 미중 무역 대치는 보잉에 있어 ‘세계 최대 항공기 판매 시장’을 상실할 수 있는 최대 위기라는 지적이다. 중국은 향후 20년 동안 전 세계 항공기 수요의 2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2018년 보잉 생산량의 약 4분의 1을 차지했다. 수요가 충분한 시장임에도 불구하고, 보잉은 최근 몇 년 간 품질 위기와 양국 간 무역 긴장 고조 등의 이슈가 겹쳐 중국에서 대형 주문을 받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