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美 노년층 41만명 조사한 연구들 분석
디지털 기기 복합 사용, 인지 저하 위험 75%↓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모습./Pixabay


디지털 기기를 자주 사용하는 것이 노년층의 인지 능력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마트폰을 쓰다 보면 가족 전화번호도 못 외운다고 ‘디지털 치매’라는 말까지 나왔지만 실제로는 그와 반대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미국 텍사스대와 배일러대 공동 연구진은 “디지털 기술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 인지 저하나 치매 위험이 낮다”고 15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인간 행동(Nature Human Behaviour)’에 밝혔다.

연구진은 평균 연령 68.7세의 성인 41만1430명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 57건을 분석했다. 해당 연구들은 모두 인지 기능 평가나 진단 정보를 기반으로 컴퓨터와 스마트폰, 인터넷 사용과 인지 능력 사이의 관계를 살폈다.

분석 결과, 디지털 기술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일수록 인지 저하나 치매에 걸릴 위험이 현저히 낮았다. 컴퓨터를 꾸준히 사용하는 경우 인지 저하 위험이 46% 감소했고, 인터넷은 58%, 스마트폰은 4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기술을 혼합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지 저하 위험이 75%까지 줄었다. 단 소셜미디어(SNS) 사용은 연구마다 결과가 엇갈렸다.

평균 6.2년 동안 장기적으로 연관성을 추적한 연구에서도 같은 경향이 나타났다. 초기 상태가 비슷해도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시간이 지나도 인지 능력의 하락 속도가 느렸고, 경도 인지 장애나 치매로 진단될 가능성도 더 낮았다.

연구진은 “단순히 소득이나 건강 상태, 나이, 성별, 교육 수준과 같은 다른 요인들로는 설명되지 않는 결과”라며 “디지털 기술 사용 자체가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기존에는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아지거나 정보를 직접 기억하기보다 검색에 의존하는 ‘구글 효과’로 인해 뇌 기능이 줄어든다고 봤다. 이른바 디지털 치매론이다. 반면 성장기에는 디지털 기기가 뇌 활동을 줄여 해로울 수 있지만, 노년기에는 오히려 뇌 기능 퇴화를 막는 데 도움이 된다는 주장도 있었다.

이번 결과는 후자에 힘을 실었다. 연구진은 디지털 기술이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다른 사람과 사회적 연결을 유지하도록 두뇌 활동을 자극해 인지 기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연구진은 이번 결과가 디지털 기술과 인지 건강 사이의 인과관계를 입증한 것은 아니며, 상호작용 방식과 장기적 영향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과도한 기술 사용이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는 경우도 있는 만큼, 적절하고 유익한 방식의 사용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참고 자료

Nature Human Behaviour(2025), DOI: https://doi.org/10.1038/s41562-025-02159-9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822 유영재, 선우은숙 친언니 강제추행 혐의 인정 "깊이 사과" 랭크뉴스 2025.04.16
44821 ‘초고속 산불’에도 인명 피해 ‘0’…무엇이 달랐나? 랭크뉴스 2025.04.16
44820 치료인 척 연쇄 살인…환자 15명 숨지게 한 의사, 독일 충격 랭크뉴스 2025.04.16
44819 20세 최연소 사시 합격자, 김앤장 퇴사 후 대학원 진학한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16
44818 백악관 “대중 관세 최대 245%” 과시형 공세…중 “웃기는 숫자놀음” 랭크뉴스 2025.04.16
44817 이재명, 타임지 '영향력 있는 100인'에 선정…블핑 로제도 포함(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6
44816 이재명, 타임지 '올해의 100인' 선정…"대선 승리 유력한 후보" 랭크뉴스 2025.04.16
44815 카이스트표 '마법샴푸' 불티나더니…이번엔 '칙칙' 뿌리면 단숨에 풍성해진다? 랭크뉴스 2025.04.16
44814 “빚 떠안을까봐” 일가족 5명 살해 50대 가장...경찰, 구속영장 신청 랭크뉴스 2025.04.16
44813 한 달 반 남은 권한대행이 '관세 협상' 주도‥트럼프 압박에 끌려가나? 랭크뉴스 2025.04.16
44812 관세 협상 트럼프 직접 등판 소식에, 일본 긴장 “전략 수정 불가피” 랭크뉴스 2025.04.16
44811 헌재 韓 지명 위헌가능성에 주목…민주 "당연한 판결" 국힘 "편향된 판결" 랭크뉴스 2025.04.16
44810 ‘대통령 고유 권한 자의적 행사’ 비판 불가피…한덕수, 조기대선 앞두고 국정 리더십 타격 랭크뉴스 2025.04.16
44809 이재명, 타임지 선정 올해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포함(종합) 랭크뉴스 2025.04.16
44808 "몸이 너무 간지럽다"…대학교 남자기숙사 발칵,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16
44807 대선 전 헌소 본안 판단 가능성 희박···한덕수 ‘헌법재판관 2인 지명’ 사실상 무산 랭크뉴스 2025.04.16
44806 ‘1박 2일’ 베란다 갇힌 노인…순찰 경찰관이 구조 랭크뉴스 2025.04.16
44805 "편히 살다 가겠소, 징하게 감사허요"…1500명 움직이게 한 80대 할머니의 진심 랭크뉴스 2025.04.16
44804 "엄마라서 포기 못 해"‥세월호 '준영 엄마'의 약속 랭크뉴스 2025.04.16
44803 효력 정지된 한덕수의 도발, ‘대망론’도 함께 꺼지나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