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美 노년층 41만명 조사한 연구들 분석
디지털 기기 복합 사용, 인지 저하 위험 75%↓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모습./Pixabay


디지털 기기를 자주 사용하는 것이 노년층의 인지 능력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마트폰을 쓰다 보면 가족 전화번호도 못 외운다고 ‘디지털 치매’라는 말까지 나왔지만 실제로는 그와 반대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미국 텍사스대와 배일러대 공동 연구진은 “디지털 기술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 인지 저하나 치매 위험이 낮다”고 15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인간 행동(Nature Human Behaviour)’에 밝혔다.

연구진은 평균 연령 68.7세의 성인 41만1430명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 57건을 분석했다. 해당 연구들은 모두 인지 기능 평가나 진단 정보를 기반으로 컴퓨터와 스마트폰, 인터넷 사용과 인지 능력 사이의 관계를 살폈다.

분석 결과, 디지털 기술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일수록 인지 저하나 치매에 걸릴 위험이 현저히 낮았다. 컴퓨터를 꾸준히 사용하는 경우 인지 저하 위험이 46% 감소했고, 인터넷은 58%, 스마트폰은 4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기술을 혼합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지 저하 위험이 75%까지 줄었다. 단 소셜미디어(SNS) 사용은 연구마다 결과가 엇갈렸다.

평균 6.2년 동안 장기적으로 연관성을 추적한 연구에서도 같은 경향이 나타났다. 초기 상태가 비슷해도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시간이 지나도 인지 능력의 하락 속도가 느렸고, 경도 인지 장애나 치매로 진단될 가능성도 더 낮았다.

연구진은 “단순히 소득이나 건강 상태, 나이, 성별, 교육 수준과 같은 다른 요인들로는 설명되지 않는 결과”라며 “디지털 기술 사용 자체가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기존에는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아지거나 정보를 직접 기억하기보다 검색에 의존하는 ‘구글 효과’로 인해 뇌 기능이 줄어든다고 봤다. 이른바 디지털 치매론이다. 반면 성장기에는 디지털 기기가 뇌 활동을 줄여 해로울 수 있지만, 노년기에는 오히려 뇌 기능 퇴화를 막는 데 도움이 된다는 주장도 있었다.

이번 결과는 후자에 힘을 실었다. 연구진은 디지털 기술이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다른 사람과 사회적 연결을 유지하도록 두뇌 활동을 자극해 인지 기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연구진은 이번 결과가 디지털 기술과 인지 건강 사이의 인과관계를 입증한 것은 아니며, 상호작용 방식과 장기적 영향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과도한 기술 사용이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는 경우도 있는 만큼, 적절하고 유익한 방식의 사용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참고 자료

Nature Human Behaviour(2025), DOI: https://doi.org/10.1038/s41562-025-02159-9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78 철 지난 장자승계, 법보다 앞설까…LG ‘2조 상속분쟁’ 판결 촉각 랭크뉴스 2025.04.15
48577 5개월 아기 뇌출혈에 온몸 멍 자국…학대 의심 부부 수사 랭크뉴스 2025.04.15
48576 "선거운동 해야하니 재판 빼달라"…대선 주자들 특권인가[현장에서] 랭크뉴스 2025.04.15
48575 [인터뷰] 홍준표 "정상적인 대선보다 쉬울 수도…이재명 잡을 사람은 나" 랭크뉴스 2025.04.15
48574 [투자노트] 트럼프 리스크 정점?… ‘종목 장세’는 이제 시작 랭크뉴스 2025.04.15
48573 “한 입 먹고 버리더라”…9,900원 빵 뷔페, 음식 낭비 논란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15
48572 이재명 첫 공약은 '인공지능'‥김두관 경선 '이탈' 랭크뉴스 2025.04.15
48571 박수영 "국힘 의원 54명 한덕수 출마 촉구 확인... 분위기 달라져" 랭크뉴스 2025.04.15
48570 “자동차 미국 생산에 시간 걸려”…트럼프, 이번엔 차 부품 관세 뒤집나 랭크뉴스 2025.04.15
48569 [속보]美재무 "한국과 내주 무역 협상…먼저 합의하는 국가가 유리" 랭크뉴스 2025.04.15
48568 관식의 헌신적 사랑, 현실에서 가능할까... 오히려 자녀에겐 독 랭크뉴스 2025.04.15
48567 “여직원들 끌어안고” 폭로에…고창군의원 “사과했다”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15
48566 "외투기업 알맹이 빼먹기에 당했다"···464일째 고공농성 중인 두 여성의 사연 랭크뉴스 2025.04.15
48565 美재무 "한국과 내주 무역 협상…먼저 합의하는 국가가 유리"(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5
48564 5년치 보은 몰아치려니…몰락한 내란 정권의 ‘알박기’ 금도 넘었다 랭크뉴스 2025.04.15
» »»»»» [100세 과학] “디지털 치매는 오해”…스마트폰이 인지기능 보호한다 랭크뉴스 2025.04.15
48562 “7세 고시는 학대, 아이 뇌 망가트려”··· 소아정신과 교수의 단호한 조언 랭크뉴스 2025.04.15
48561 中·日 투매설에 폭락한 美 국채… 일생일대 투자 기회? 랭크뉴스 2025.04.15
48560 트럼프 또 후퇴…"안 봐준다"더니 하루 만에 "車업계 돕겠다" 랭크뉴스 2025.04.15
48559 “장제원 공소권 없음과 수사 중지는 달라” 성폭력 사건 피해자 측 김재련 변호사[인터뷰]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