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자제품 후퇴’ 논란 다시 뒤집어
품목·상호·표적 중구난방 정책에
계속되는 트럼프 변덕 경제 혼란
플로리다에서 주말을 보내고 13일(현지시간) 전용기 편으로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 도착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14일 베트남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에 도착해 손을 흔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트럼프 대통령은 기내에서 취재진에게 반도체 관세율을 다음 주 중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미국의 관세 폭탄에 맞서 공동 대응을 모색하기 위해 베트남을 국빈방문했다. AP,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을 둘러싼 ‘관세 후퇴’ 논란을 직접 뒤집으며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을 다시 키웠다. 품목·상호·표적 등 얽히고설킨 미국의 관세 정책과 이를 번복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변덕이 전 세계 경제를 혼란에 빠뜨린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반도체·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은) 관세 예외가 아니다. 이들 제품에는 기존의 펜타닐 관세 20%가 적용되고 단지 다른 관세 범주로 옮기는 것”이라고 밝혔다. 대신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 제품에도 추후 철강·자동차 등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품목별 관세를 매기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가짜뉴스’는 이 같은 사실을 알고도 보도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는 11일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이 스마트폰 등 일부 전자제품에 대중국 상호·보복 관세 125%를 적용하지 않기로 한 결정에 대한 해명이었다. 현지 언론은 대부분 이를 미국 내 소비자물가 상승을 우려한 ‘일보 후퇴’로 해석했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언론들이 사실을 왜곡했다고 비판한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혼선은 트럼프 행정부의 책임이 크다.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품목별 관세, 국가별 상호관세, 일부 국가를 향한 표적 관세와 보복 관세를 복잡하게 뒤섞고 있다. 여기에 관세 정책 유예도 반복되면서 혼란을 부추겼다.


우선 미국은 철강·자동차 등 일부 품목에 대해 25%의 품목별 관세율을 적용 중이다. 상호관세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 의약품·구리·반도체 등 품목도 조만간 품목별 관세율을 확정해 적용할 전망이다.

여타 품목은 국가별 상호관세 적용을 받는다. 지난 5일 발효된 상호관세에는 멕시코·캐나다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 기본 관세율 10%를 매긴다는 내용이 담겼다. 추가로 ‘문제 교역국’에는 최대 49%(캄보디아)에 이르는 별도 관세율을 적용한다고 예고했다. 이는 9일 발효를 앞두고 90일간 부과가 유예됐다.

일부 국가를 겨냥한 ‘표적 관세’도 혼란을 더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2월과 3월 두 차례에 걸쳐 중국의 펜타닐 대응 미흡을 질타하고 10%씩 20%의 관세율을 부과했다. 아울러 중국에 대한 국가별 관세율도 중국의 ‘맞불 관세’에 대응해 34%에서 125%까지 치솟았다. 캐나다·멕시코에 대한 25%의 표적 관세도 취임 직후 발표됐다가 두 번의 유예를 거쳐 지난 2일 발효됐다.

관세 정책에 대한 시장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토비아스 마이어 DHL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기업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및 철회 반복에 피로감을 느끼는 상태”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446 국민의힘 '반탄만의 리그' 전락하나… 경선 첫날부터 '첩첩산중' 랭크뉴스 2025.04.14
48445 휴전 논의는 말뿐…러, 우크라 도심에 탄도미사일 ‘만원 버스 타격’ 랭크뉴스 2025.04.14
48444 "1분 일찍 퇴근했네? 해고할게요"…통보받은 직장인, 법적 투쟁 끝 '반전' 랭크뉴스 2025.04.14
48443 윤, 재판장 “직업은 전직 대통령” 발언에 ‘끄덕’…검찰 ‘군대 투입’ 언급에는 인상 쓰고 절레절레 랭크뉴스 2025.04.14
48442 박수영 "의원 54명 韓출마 촉구…지지율 뒷받침되면 결심할 것" 랭크뉴스 2025.04.14
48441 한덕수 “나와 통화 뒤 관세 유예” 자화자찬…‘알래스카 LNG’ 급발진 랭크뉴스 2025.04.14
48440 고물가 시대, 식당 풍경 바꾼다… 중국산 김치 수입 급증 랭크뉴스 2025.04.14
48439 ‘내란 정권’ 2인자 한덕수로 단일화 드라마 꿈꾸는 국힘 랭크뉴스 2025.04.14
48438 한덕수, ‘관세 유예’ 자화자찬하며 ‘알래스카 LNG 개발’ 급발진 랭크뉴스 2025.04.14
48437 광명 신안산선 붕괴 사고 나흘째‥50대 실종자 수색 난항 랭크뉴스 2025.04.14
48436 홍준표 대권 도전 선언‥D-50 대권주자들 영남권 표심 공략 랭크뉴스 2025.04.14
48435 ‘경선룰’ 반발 불출마 잇따라…‘역선택 방지’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14
» »»»»» “예외다” “아니다”… 혼선의 ‘트럼프 관세’ 랭크뉴스 2025.04.14
48433 김문수는 이문열 영입, 홍준표 캠프엔 배우 이정길…국힘 경선 스타트 랭크뉴스 2025.04.14
48432 광명사거리역서 상수도관 누수로 물 솟아…"지반침하 위험 없어" 랭크뉴스 2025.04.14
48431 반도체 상호관세 면한 애플...팀 쿡 ‘조용한’ 리더십 먹혔나 랭크뉴스 2025.04.14
48430 민주 대선 경선, 이재명·김경수·김동연 ‘3파전’ 구도…김두관 ‘거부’ 랭크뉴스 2025.04.14
48429 양자 대결서 '중도층 과반' 이재명 지지‥국민의힘, 한덕수 차출론 '시끌' 랭크뉴스 2025.04.14
48428 출마 첫 일정 ‘인공지능’ 챙긴 이재명 “100조 투자 ‘AI 기본사회’ 연다” 랭크뉴스 2025.04.14
48427 대선 변수로 떠오른 한덕수…‘반 이재명 연대’ 가능성은?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