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세종에 집무실 제안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4일 “용산 대통령 집무실을 단 하루도 사용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전날 21대 대선 출마를 선언한 뒤 낸 첫번째 메시지다.
김 전 지사는 이날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흥빌딩에 마련된 경선 캠프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대통령 선출에 앞서 내란의 완전한 종식부터 약속해야 한다”며 “그 첫걸음으로 용산 대통령실을 단 하루도 사용하지 않을 것을 여야가 함께 약속하길 제안한다”고 말했다. 그는 “불법으로 쌓아올린 내란 소굴에서 새 대통령이 집무를 시작한다는 건 내란의 잔재와 완전히 결별하지 못했다는 뜻”이라며 “국민의힘 대선 주자들도 대통령실 사용 불가에 대부분 동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전 지사는 용산 대통령실을 사용할 수 없는 이유로 안보와 비용 문제도 들었다. “지금의 용산 대통령실은 도·감청 보안에도 매우 취약하다는 사실이 이미 드러났다. 대한민국의 핵심 전시 지휘부가 몰려 있는 곳에 만에 하나 군사적 공격이 이뤄진다면 군사 지휘 체계가 완전히 무력화된다”는 것이다. 그는 “지금도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 주한미군 시설이 존재하고, 그중 일부는 기술적·물리적으로 경계선이 맞닿아 있다”며 “이로 인한 추가 방호시설 설치, 주한미군 기지 재배치 관련 비용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도 했다.
김 전 지사는 용산 대통령실의 대안으로 서울과 세종에 집무실을 두고 함께 사용하자고 제안했다. 서울은 청와대로 돌아가거나 광화문 정부서울청사를 이용하면 되고, 세종은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설치하거나 정부세종청사의 국무총리 집무실을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간 청와대가 개방돼, 다시 사용하려면 보안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지적을 두고는 “본관과 춘추관 등 공개된 지역의 경우 보안 문제가 있어 다시 사용하려면 보안 점검은 필요하다”면서도 “집무공간으로 사용했던 여민관 등은 개방되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이라도 언제든 입주 가능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광화문 청사도 문재인 전 대통령 당시 경호상의 문제와 기술적 문제 때문에 쉽지 않다는 검토가 있었지만, 지금의 용산 집무실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훨씬 나은 대안”이라고 덧붙였다.
김 전 지사는 “4월말에서 5월초면 각 당의 후보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 전에는 국회의장실을 중심으로 사전 검토와 정부 협의를 진행한 뒤 각 당의 후보가 결정되는 대로 협의해나가면 될거라 생각한다”며 “다만 경선 과정에서도 각 후보들이 입장을 내는 건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김 전 지사는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규칙이 ‘당원 투표 50%+국민 여론조사 50%’로 변경된 것을 두고 “정해지는 룰은 따르는 것이 도리”라면서도 “가능한 한 미리 룰을 정해놓고 그 규칙에 따라 공직선거에 출마하고자 하는 사람이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민주 정당의 기본모습이고, 민주당도 앞으로 그런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