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철 앞두고 1~2월 급감 이례적
부동산 불황·직거래 증가 등 영향
부동산 불황·직거래 증가 등 영향
한 시민이 13일 서울 시내 부동산 중개사무소 밀집 지역을 우산을 쓴 채 지나고 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봄 이사철을 앞둔 1~2월 신규 개업한 공인중개사 수는 1796명으로 2000년대 들어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뉴시스
공인중개사 신규 개업 수가 1000명대로 떨어졌다. 25년 만에 최저치다. 통상 3월 봄 이사철을 앞두고 1~2월에 개업이 몰리지만, 부동산 경기침체가 이어지면서 이례적으로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전반적인 경기침체와 플랫폼 환경이 맞물리며 중개수수료를 아끼기 위해 부동산 직거래 수요가 늘어난 영향도 큰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는 1~2월 기준 올해 신규 개업한 공인중개사 수는 1796명(1월 871명, 2월 925명)으로 집계됐다고 13일 밝혔다. 2000년 2525명 이후 25년 만에 가장 낮은 숫자를 기록했다.
신규 개업 공인중개사 수의 감소세는 최근 2~3년 계속돼 왔다. 기간을 최근 10년으로 넓히면 2016년 3844명에서 2017년 4486명까지 올랐다가 2019년 3353명, 2020년 3972명 등 3000~4000명대를 오르락내리락했다. 하지만 2023년부터 2025년까지 2498명→2008명→1796명으로 매년 뚝뚝 떨어지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올해 수치는 이례적으로 적은 편에 속한다. 통상 공인중개사들은 봄철 이사 수요를 노리고 연초에 개업이 몰리기 때문이다. 최근까지 이어지는 부동산 업계 불황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2022년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빅스텝(기준금리 0.5% 인상)을 단행했고, 한국도 금리 인상이 불가피해지면서 2022년 하반기부터 국내 부동산 냉각기도 본격화했다. 부동산 매매 시장이 부진해졌고 공인중개사무소는 포화하면서 신규 개업이 감소한 것이다. 전체 개업 공인중개사는 2023년 2월(11만7923명)부터 매월 감소해 지난 2월 11만1756명까지 줄었다.
업황 부진의 영향은 공인중개사 자격시험 응시자 수에도 반영되고 있다. 지난해 공인중개사 자격시험 원서를 낸 지원자는 15만4699명으로 2015년(15만1363명) 이후 9년 만에 가장 적었다. 2023년(20만59명)보다 4만5000여명 감소했고, 2021년(27만8847명)과 비교하면 12만명 이상 감소한 셈이다. 2017년(20만5197명) 이후 응시자 수가 처음으로 20만명 아래로 떨어진 것이기도 하다.
중개업자는 감소하는 대신 부동산 직거래는 증가 추세다. 수백만 원 드는 중개수수료를 아끼려는 매수자들이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을 찾으면서다. 윤종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중고 플랫폼 ‘당근’의 부동산 매물 게시건수는 2021년 5243건에서 2024년 65만3588건으로 급증했다. 실거래 건수도 2021년 268건, 2022년 7094건, 2023년 2만3178건, 2024년 5만9451건으로 대폭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