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선택 우려 국민 향한 도리 아냐”
“대통령 되면 기득권 내려놓을 것”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1대 대선 출마 선언 이후 처음으로 기자들을 만나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정한 경선 규칙(룰)에 대해 유감을 표했다. 대통령이 되면 경제 회복과 정치개혁에 힘쓰겠다는 포부를 밝히면서,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를 향해 개헌에 대한 입장을 분명히 밝힐 것을 촉구했다.
김 지사는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더 유쾌한 캠프’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많은 언론이 이야기하는 것처럼 민주당이 ‘들러리 경선’으로 가는 것 같아 대단히 유감”이라며 “민주당이 지켜온 원칙과 상식의 토대 위에서 정권교체를 이룰 수 있도록 당원들에게 호소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경선은 민주당이 오랫동안 유지한 아름다운 전통이자 자부심”이라며 “역선택을 우려한다는 것은 탱크나 군을 막아서며 불법계엄과 내란의 종식을 이끈 국민의 역량을 봤을 때 도리가 아니다”라고 했다.
다만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가 정한 권리당원 50%, 여론조사 50%의 국민참여경선이 확정된 이후 거취에 대한 답변은 피했다. 경선룰이 확정된 뒤에 경선 참여 등의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것이다.
김 지사는 “경선룰에 대한 저의 대처는 오늘은 대답을 유보하겠다”며 “다만 (논의되고 있는 경선룰이) 얼마나 기울어진 운동장을 만드는 것인지,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만들어진 국민이 참여해 후보를 만드는 과정이 부인되는 것인지 부당함을 말씀드린다”고 했다.
김 지사는 자신이 대통령이 될 경우, 기득권을 내려놓고 사회·정치·경제 등 전 분야를 개혁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개헌을 추진하면서 2028년 총선거와 대선의 주기를 맞춰야 한다면 임기를 단축할 수 있다고도 밝혔다. 이재명 전 대표를 향해선 개헌 의지가 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 지사는 “내란 종식으로 개헌을 덮는 건 옳지 않고, 개헌에 대한 의지가 강력하다고 느껴지지 않는다”며 “정치인은 말 한마디라도 천금과 같은 무게가 있어야 한다. 당선되는 사람의 의지를 국민에게 보여주고 심판을 받고 약속을 지키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지난 9일 관세 대응을 위해 다녀온 미국 미시간주 출장에 대한 성과도 소개했다. 그는 그레천 휘트머 미시간주지사 ▲경기도-미시간주 협력 채널 구축 ▲한미 자동차 기업 간 채널 확립 ▲미시간주 진출 기업 지원 확보 ▲한국 자동차 부품업체 위한 모빌리티쇼 개최 등을 발표했다. 또 스티븐 비건 전 미국 국무부 부장관 등을 만나 관세 대응을 논의했다고도 전했다.
“대통령 되면 기득권 내려놓을 것”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1대 대선 출마 선언 이후 처음으로 기자들을 만나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정한 경선 규칙(룰)에 대해 유감을 표했다. 대통령이 되면 경제 회복과 정치개혁에 힘쓰겠다는 포부를 밝히면서,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를 향해 개헌에 대한 입장을 분명히 밝힐 것을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인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3일 서울 여의도에 마련된 캠프에서 열린 '유쾌한 캠프의 더 유쾌한 다방' 행사에 참석해 모두 발언하고 있다./뉴스1
김 지사는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더 유쾌한 캠프’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많은 언론이 이야기하는 것처럼 민주당이 ‘들러리 경선’으로 가는 것 같아 대단히 유감”이라며 “민주당이 지켜온 원칙과 상식의 토대 위에서 정권교체를 이룰 수 있도록 당원들에게 호소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경선은 민주당이 오랫동안 유지한 아름다운 전통이자 자부심”이라며 “역선택을 우려한다는 것은 탱크나 군을 막아서며 불법계엄과 내란의 종식을 이끈 국민의 역량을 봤을 때 도리가 아니다”라고 했다.
다만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가 정한 권리당원 50%, 여론조사 50%의 국민참여경선이 확정된 이후 거취에 대한 답변은 피했다. 경선룰이 확정된 뒤에 경선 참여 등의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것이다.
김 지사는 “경선룰에 대한 저의 대처는 오늘은 대답을 유보하겠다”며 “다만 (논의되고 있는 경선룰이) 얼마나 기울어진 운동장을 만드는 것인지,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만들어진 국민이 참여해 후보를 만드는 과정이 부인되는 것인지 부당함을 말씀드린다”고 했다.
김 지사는 자신이 대통령이 될 경우, 기득권을 내려놓고 사회·정치·경제 등 전 분야를 개혁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개헌을 추진하면서 2028년 총선거와 대선의 주기를 맞춰야 한다면 임기를 단축할 수 있다고도 밝혔다. 이재명 전 대표를 향해선 개헌 의지가 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 지사는 “내란 종식으로 개헌을 덮는 건 옳지 않고, 개헌에 대한 의지가 강력하다고 느껴지지 않는다”며 “정치인은 말 한마디라도 천금과 같은 무게가 있어야 한다. 당선되는 사람의 의지를 국민에게 보여주고 심판을 받고 약속을 지키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지난 9일 관세 대응을 위해 다녀온 미국 미시간주 출장에 대한 성과도 소개했다. 그는 그레천 휘트머 미시간주지사 ▲경기도-미시간주 협력 채널 구축 ▲한미 자동차 기업 간 채널 확립 ▲미시간주 진출 기업 지원 확보 ▲한국 자동차 부품업체 위한 모빌리티쇼 개최 등을 발표했다. 또 스티븐 비건 전 미국 국무부 부장관 등을 만나 관세 대응을 논의했다고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