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위 사무총장은 폭염 대비용 얼음 구매 막고…직원 4명은 외유성 출장
감사원 '새만금 잼버리 실태' 보고서…"여가부, 안일하게 대회 준비"
감사원 '새만금 잼버리 실태' 보고서…"여가부, 안일하게 대회 준비"
양산으로 더위 피하는 스카우트 대원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상서 기자 = 총체적 부실 행사로 막을 내렸던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의 실패 요인에는 여성가족부의 안일한 대회 준비와 허위 보고 등이 일부 작용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여가부는 당시 대회에서 조직위 준비 상황을 점검·지도·감독하고, 국무회의 등에 준비 상황을 보고하는 역할을 맡았다.
10일 감사원이 발표한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추진 실태' 감사 보고서를 보면, 여가부는 국회와 언론이 준비 부족 및 대책 미흡을 지적했음에도 개선안을 만들지 않았다.
시설 설치가 지연된다는 보고를 받고도 대책 마련을 검토하지 않았고, 폭염·배수·해충 문제에 '대책이 있다'고만 답할 뿐 현장 점검 등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내놓지 않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조직 구성원의 역량 부족이나 도덕성 문제도 지적받았다.
당시 여가부 국장급 공무원 출신인 최창행 조직위 사무총장은 스카우트와 국제행사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이 부족해 숙영시설 설치 관리를 제대로 못 했고, 관련 예산이 있는데도 폭염 대비용 얼음 구매를 막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직장 내 갑질 문제로 여가부로부터 불이익 처분을 받고 불복 절차 중인 직원이 잼버리지원단에 배치되기도 했다.
세계잼버리 야영지에 설치된 에어컨이 달린 간이화장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잼버리 대원들에게 원성을 샀던 화장실 부족 문제도 여가부의 안일한 대응에서 비롯됐다고 감사원은 봤다.
대회 개막 한 달 전인 2023년 7월 여가부 직원들은 화장실과 샤워장 배관 및 전기 이음 작업 공사가 진행 중이었는데도, 장관에게 '최종 설치가 완료됐다'는 취지로 사실과 다르게 보고했다.
이 때문에 화장실·샤워장 설치가 제대로 안 된 숙영시설에 참가자들이 입영하게 됐다.
그러나 여가부는 관련 시설 설치가 완료됐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냈다.
감사원은 "여가부는 조직위로부터 화장실과 샤워장 미설치 사실을 보고 받고, 현장점검에서 의료·사무기기 등 시설이 설치 완료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도 국무회의에서 설치가 완료됐다고 허위 보고했다"며 "이는 정부 차원의 보완 대책을 마련할 마지막 기회를 잃게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밖에 여가부 직원 4명은 '세계잼버리 해외 우수사례 조사'라는 명목으로 2018년 말 예산 3천100여만원을 들여 영국 런던과 덴마크 코펜하겐으로 출장을 떠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가운데 잼버리 준비 업무 담당자는 1명에 불과했고, 방문 기관인 '덴마크 여성위기센터'는 세계잼버리와 관련이 없는 곳이었다고 보고서는 꼬집었다.
여가부는 이날 "세계잼버리 대회 준비 중요성 인식 부족, 관리 감독 부실 등 감사원 감사 결과를 겸허히 수용한다"며 "감사 결과에 따른 필요한 후속 조치를 충실하고 철저하게 이행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