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단테의 언어 망치지 않길"…로마서 결혼 20주년 기념


이탈리아 의회에서 연설하는 찰스 3세 국왕
(로마 AP=연합뉴스) 찰스 3세 영국 국왕이 9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로마에 있는 몬테치토리오 궁전(하원)에서 영국 국왕으로는 처음으로 이탈리아 의회 합동 연설을 하고 있다. 왼쪽은 이냐치오 라루사 상원의장, 오른쪽은 로렌초 폰타나 하원의장. 2025.04.09 [email protected]


(로마=연합뉴스) 신창용 특파원 = 이탈리아를 국빈 방문 중인 찰스 3세 영국 국왕이 9일(현지시간) 의회에서 이탈리아어를 섞은 연설로 큰 박수를 받았다.

찰스 3세는 이날 로마에 위치한 몬테치토리오 궁전(하원)에서 영국 국왕으로는 처음으로 이탈리아 의회 합동 연설에 나섰다.

그는 이탈리아어로 연설을 시작하며 "단테의 언어를 너무 망쳐서 다시는 이탈리아에 초대받지 못하는 일이 없길 바란다"며 유머를 곁들였다.

'신곡'을 쓴 알리기에리 단테는 당시 지식인의 언어였던 라틴어 대신 조국의 언어인 이탈리아어(토스카나 방언)로 책을 썼다.

현대 이탈리아어의 정립에 크게 공헌한 단테를 기리는 뜻에서 이탈리아인들은 이탈리아어를 '단테의 언어'라고 부르는데, 찰스 3세가 이 표현을 쓴 것이다.

그는 연설 말미에 신곡 중 "E poi uscimmo a rivedere le stelle"(그리고 우리는 다시 별을 보기 위해 나아갔다)를 원문으로 인용해 깊은 인상을 남겼다.

찰스 3세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이후에도 유럽과 함께 미래를 설계하겠다는 의지를 문학적으로 전달했다고 현지 일간지 라레푸블리카는 평가했다.

이날 연설에서 찰스 3세는 유럽의 연대, 민주주의의 가치,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영국과 이탈리아는 민주주의적 가치를 수호하는 데 있어 하나"라며 "양국은 우크라이나가 가장 어려울 때 함께했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에서도 함께하고 있다"고 말했다.

찰스 3세는 양국의 강력한 유대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 뒤 "전쟁은 끔찍한 대가를 요구한다"며 "평화는 결코 당연시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전날 세르조 마타렐라 대통령을 만난 찰스 3세는 국빈 방문 사흘째인 이날 오전에는 조르자 멜로니 총리와 회담했다.

마타렐라 대통령은 이날 결혼 20주년을 맞은 찰스 3세와 커밀라 왕비를 위해 대통령 관저인 퀴리날레궁에서 성대한 만찬을 연다.

찰스 3세는 오는 10일 라벤나를 방문해 제2차 세계대전 나치 독일로부터의 해방 8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하고 단테의 묘를 방문한 뒤 귀국한다.

영국성공회 수장인 찰스 3세는 당초 8일 바티칸을 방문, 가톨릭교회 수장인 프란치스코 교황과 만날 예정이었지만 폐렴으로 장기간 입원했던 교황의 건강 상태를 고려해 연기됐다.

찰스 3세는 왕세자 시절 이탈리아를 17차례 공식 방문했지만 즉위 후에는 이번이 처음이다.

찰스 3세, 이탈리아 의회 연설
(로마 EPA=연합뉴스) 찰스 3세 영국 국왕이 9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로마에 있는 몬테치토리오 궁전(하원)에서 영국 국왕으로는 처음으로 이탈리아 의회 합동 연설을 하고 있다. 2025.04.09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306 김동연 “2035년까지 男·女 대상 ‘완전한 모병제’로 전환” new 랭크뉴스 2025.04.18
45305 미국 달 가는 길목에 먼저 위성망 구축한 중국...확대하는 우주 패권 경쟁 new 랭크뉴스 2025.04.18
45304 신축 찾는 3040 따라 인구 ‘출렁’… 양주 지난해 2만여명 급증 new 랭크뉴스 2025.04.18
45303 ‘국민 배신’ 비판에도 의대 증원 1년 만에 ‘원점’…갈등 불씨는 여전 new 랭크뉴스 2025.04.18
45302 논란의 '한덕수 대선 출마' 국민 10명 중 6명의 답변은 [NBS] new 랭크뉴스 2025.04.18
45301 “트럼프 과두제와 싸우자”…미 정치판 뒤흔드는 2인 new 랭크뉴스 2025.04.18
45300 [대선언팩] 민주화 이후 ‘충청의 마음’ 사로잡은 후보가 대통령 당선 new 랭크뉴스 2025.04.18
45299 의료계에 휘둘린 ‘빈손 개혁’… 환자 고통·학사 파행 부작용만 new 랭크뉴스 2025.04.18
45298 "세 살 버릇 여든 넘게 가네"…'81세' 장영자, 사기로 또다시 징역 1년형 new 랭크뉴스 2025.04.18
45297 미국서 쫓겨난 한국인 교수… "트럼프 행정부가 돌연 비자 취소" new 랭크뉴스 2025.04.18
45296 ‘KBS 수신료 통합징수’ 국회 재표결 통과…국힘 반란표 ‘21표’ new 랭크뉴스 2025.04.18
45295 트럼프, '금리 인하 신중' 파월에 "임기 빨리 끝나야" new 랭크뉴스 2025.04.18
45294 트럼프, 관세 정책 우려한 파월 연준 의장에 “임기 빨리 끝나야” new 랭크뉴스 2025.04.18
45293 시험 문제 사고팔고…참 부끄러운 스승들 new 랭크뉴스 2025.04.18
45292 “안정” 강조한 한덕수, 정치적 행보로 ‘국정 불안정’만 가중 new 랭크뉴스 2025.04.18
45291 IMF 총재 "내주 새 경제전망 눈에 띄게 하향…리세션은 아니다" new 랭크뉴스 2025.04.18
45290 "매일 붙어있던 개인데"…美서 생후 7개월 아이, 핏불에 물려 사망 new 랭크뉴스 2025.04.18
45289 "비행기 탔다가 '고문' 당하는 줄"…中 항공사 '초슬림 좌석' 갑론을박 랭크뉴스 2025.04.18
45288 뉴욕증시, 유나이티드헬스 실적 실망감이 반등세 꺾어…하락 출발 랭크뉴스 2025.04.18
45287 [사설] 도로 3058명… 이게 환자 목숨 1년 볼모 결과라니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