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역에서 근무하는 흉부외과 같은 심혈관질환 전문의의 고령화가 심각할 뿐만 아니라 수도권과 격차도 크게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에 근무하는 심혈관질환 전문의는 6명 중 1명꼴로 60세 이상이었으나, 강원도 내 도시에서는 전원이 60세 이상이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지역보건의료진단 기초연구: 의료자원의 격차 중심으로' 보고서를 보면 17개 시도 행정구역을 도시·도농복합·농촌 등 시도별 유형에 따라 33개 지역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이런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연구팀은 서울을 '서울 도시' 1개 지역, 부산을 '부산 도시'·'부산 농촌'으로 2개, 강원도를 '강원 도시'·'강원 도농'·'강원 농촌' 등 3개로 나누는 식으로 지역을 분류했습니다. 이후 지역별 심뇌혈관질환 전문의 수와 60세 이상 비중을 파악했습니다.

그 결과 심혈관질환 전문의의 60세 이상 비중은 전국에서 19.1%, 서울에서 16.9%였으나 강원 도시는 100%였습니다. 강원도 내 도시로 분류되는 동해시·태백시·속초시에 있는 심혈관질환 전문의 모두가 60세 이상이라는 의미입니다.

경북 농촌의 심혈관질환 전문의는 60세 이상 비중이 57.2%로 강원 도시 다음이었습니다.

전국 수준보다 60세 이상 비중이 큰 지역은 33개 중 13개로 집계됐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심혈관질환 전문의 수는 전국 3.9명이었고, 서울·전남 도시가 각각 6.1명으로 많은 편이었습니다. 반면 경남 농촌이 0.4명, 강원 도시가 0.5명 순으로 낮았습니다.

지역 33곳 중 19곳은 전국 수준보다 적었고, 대구 농촌은 심혈관질환 전문의가 아예 없었습니다.

신경과나 신경외과 등 뇌혈관질환 전문의 상황도 비슷했습니다.

뇌혈관질환 전문의 60세 이상 비중은 전국 14.8%, 서울 14.1%였지만 강원 도시에서는 64.2%에 달했습니다. 인천 농촌도 60.0% 수준으로 높았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뇌혈관질환 전문의 수는 전국 9.4명이었습니다.

대구 도시 14.7명, 전남 도시 13.5명, 서울 12.8명 순으로 많았고 경북 농촌이 0.8명, 강원 농촌이 2.5명 순으로 낮았습니다.

심뇌혈관질환 전문의 60세 이상 비중은 강원 도시가 82.1%로 최대였고, 세종 도시가 9.2%로 최소였습니다. 전국 평균은 17.0%, 서울은 15.5%입니다.

인구 10만 명당 심뇌혈관질환 전문의 수는 전남 도시가 19.6명으로 최대였고, 경북 농촌이 2.2명으로 최소입니다. 전국 평균은 13.3명, 서울은 16.95명이었습니다.

연구진은 "도시와 비도시권 지역 유형 간 전문의 수와 연령에서 격차가 두드러졌다"며 "도시보다 농촌 지역일수록 기준 인구당 전문의 수는 부족하고, 60세 이상 고령 전문의 비중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2023년을 기준으로 분석했으므로 지난해 의정 갈등으로 인한 상황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봤습니다.

연구진은 "2024년 기점으로 의료 인력 대란 등 의료시장 상황이 급변하고 있다"며 "전공의 이탈 등으로 가용 시설이 있음에도 인력 부족으로 환자에게 적정서비스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므로, 다음부터는 최근 쟁점과 관련한 지표를 반영해 전국 또는 지역별 상황을 진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105 시중은행, 역대급 실적에도 채용문은 좁혔다 new 랭크뉴스 2025.04.07
45104 신동호 EBS사장 임명 집행정지 가처분 인용…본안 소송 전까지 취임 불가 new 랭크뉴스 2025.04.07
45103 안철수 8일·홍준표 14일 출마 선언, 김문수는 “고심 중” new 랭크뉴스 2025.04.07
45102 [속보] 헌재, 박성재 법무장관 탄핵심판 10일 오후 2시 선고 new 랭크뉴스 2025.04.07
45101 건진법사 '공천뒷돈' 현장, 이천수가 목격…검찰, 법원에 제시(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4.07
45100 [속보] 하동 옥종면 산불 확산…산불 2단계로 상향 조정 new 랭크뉴스 2025.04.07
45099 경남 하동에 또 산불…대응 2단계 “조기 진화 총력”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4.07
45098 美관세 공포에 질린 증시…코스피·코스닥 나란히 5%대 폭락(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4.07
45097 이재명표 '국내 생산 촉진세'… "中 기업에만 혜택 몰릴 수도" new 랭크뉴스 2025.04.07
45096 ‘파면’ 이후, 마침내 일상 되찾는 헌재 앞…여전한 차벽에 “아직은 불안” new 랭크뉴스 2025.04.07
45095 [단독] 항미원조 75주년 준비?...중국 '한국전쟁' 담당 직원 10여 명, 평양 복귀 new 랭크뉴스 2025.04.07
45094 [속보] 법원, 신동호 EBS 사장 임명 집행정지 결정 new 랭크뉴스 2025.04.07
45093 [속보]헌재, 박성재 법무장관 탄핵심판 10일 오후 2시 선고 new 랭크뉴스 2025.04.07
45092 [속보] 또 '괴물 산불'되나…하동 산불 '2단계'로 대응 상향 new 랭크뉴스 2025.04.07
45091 박찬대 "보궐 대선 비용 4949억…국힘 염치 있다면 출마 말라" new 랭크뉴스 2025.04.07
45090 ‘검은 월요일’ 코스피·코스닥 시총, 하루 만에 131조원 증발 new 랭크뉴스 2025.04.07
45089 "관세 후퇴는 없다" 트럼프 '마이웨이'에 공화당서도 우려 확산 랭크뉴스 2025.04.07
45088 美싱크탱크도 "트럼프 관세 오류 심각…다시 계산하면 한국 10%" 랭크뉴스 2025.04.07
45087 또 '괴물 산불'되나…하동 산불 '2단계'로 대응 상향 랭크뉴스 2025.04.07
45086 박관천 "김건희, 빨리 관저 나가고 싶다며 경호처 압박…아파트 사저는 경호에 최악" 랭크뉴스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