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의 한 대학병원 내 전공의 전용공간에 신입 전공의 모집 안내문이 붙어 있다. 권도현 기자
충남대와 부산대 의대생이 전원 복귀했다. ‘빅5’ 병원을 둔 의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복귀 움직임이 더뎠던 지역 국립대에서도 의대생들의 복귀가 시작된 것이다. 정부는 오는 31일 전국 의대생 복귀 현황을 취합하고 ‘전원 복귀’ 여부를 판단한 뒤, 이르면 이번 주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에 대한 입장을 발표할 전망이다.
30일 각 대학 상황을 종합하면 충남대는 등록 마감 시한이었던 지난 28일 기준 의대생 전원이 복귀를 마친 것으로 나타났다. 의대 학생회가 전원 복귀를 결정하면서 지역 국립대 중에서는 가장 먼저 모든 학생이 돌아왔다.
부산대는 의대생 비상대책위원회가 30일 오후 회의를 거쳐 미복귀 학생 600여 명이 모두 복학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부산대 의대는 지난 27일 오후 6시까지 의대 복학·등록·수강 신청을 받고, 이때까지 복귀하지 않으면 31일 제적 예정을 통보한 뒤 4월 5일부터 본격적인 제적 절차에 들어가겠다고 예고했다. 그러나 학생들이 돌아오기로 결정하면서 대학 측은 이날 오후 6시부터 전산망을 다시 열어 의대생들의 복학과 수강 신청을 받기 시작했다. 대학 측은 이르면 31일부터 의대생들이 수업에 참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가톨릭대·고려대·서울대·성균관대·연세대·울산대 의대생들은 군입대 휴학 등을 제외하고 사실상 전원 복귀한 것으로 파악됐다. 대학들은 등록 기한을 남기고 막판까지 학생과 학부모 설득에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