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산불이 발생한 경북 안동시와 예천군 일대가 26일 오후 산불 연기에 덮여있다. 연합뉴스

“산불 때문에 오만 곳이 다 타니까 연기가 밤새도록 꽉 차 있어서 너무 힘들어요. 문을 꽉 닫아놓고 했는데도 집까지 연기가 들어온다니까.”

경북 안동시 옥동에 사는 박종환(62)씨는 산불로 생긴 연기 때문에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안동 시내와 인접한 옥동은 아파트가 밀집한 주거지역인데, 인근 남후면 무릉리 등에서 시내 쪽으로 산불이 확산하면서 매캐한 연기가 몰려온 탓이다. 박씨는 “폭탄이 터졌으면 지하로 피하기라도 할 텐데 연기는 어디든 따라오니 정말 괴롭다”고 했다.

이어지는 산불에 안동에선 맑은 하늘이 사치가 됐다. 도시 어느 곳을 가도 산불 때문에 생긴 매캐한 연기가 가득해 숨을 쉬기 어려울 정도다.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서 만난 한 주민은 “동사무소에서 케이에프(KF) 94 마스크를 주긴 하는데 따로 방진마스크를 구해 쓰고 있다”며 “집에서 잠을 잘 때도 마스크를 끼고 자야 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공기가 도시 밖으로 잘 빠져나가지 않는 대표적인 분지 지형인 안동은 최악의 대기오염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한국환경공단 자료를 보면, 안동시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27일 오후 1시 기준 294㎍/㎥으로 전국에서 가장 심각했다. ‘매우 나쁨’을 의미하는 76㎍/㎥의 4배 수준이고 전국 평균(21㎍/㎥) 14배, 경북 평균(53㎍/㎥)의 6배 수준이다. 7일 전인 20일 안동의 초미세먼지 농도(29㎍/㎥)보다도 10배 이상 높다.

산불 영향권에 있는 다른 도시들도 상황은 비슷하다. 영양군은 같은 시간 기준 초미세먼지 농도가 192㎍/㎥를 기록했다. 청송군은 145㎍/㎥를 기록했는데, 청송군의 경우 이날 오전 11시에는 557㎍/㎥를 기록해 안동보다 2배 가까이 높은 수치를 보여주기도 했다. 아직 산불의 직접 피해를 보진 않았지만, 안동과 인접한 영주시도 141㎍/㎥까지 초미세먼지 수치가 치솟았다.

경북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한 창고에 쌓여있는 잔해에서 연기가 나오고 있다. 이준희 기자

전문가는 지자체의 역할을 강조했다. 한창우 충남대 의대 교수(환경의학과)는 “산불은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등 유해 대기오염물질뿐만 아니라 곰팡이, 박테리아 같은 생물 에어로졸(대기 중에 떠 있는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작은 입자)도 배출해 여기에 노출되면 호흡기, 심혈관계, 임신 관련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지자체가 주민들에게 실외활동 자제, 미세먼지 마스크 착용, 공기청정기 사용 등의 필요성을 우선 안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055 한국인 1인당 年 18회 외래진료…OECD 3배, 75∼79세 41회 랭크뉴스 2025.04.01
47054 [속보]장제원 전 의원, 유서 남기고 숨진 채 발견···성폭력 고소인 측 “기자회견 취소” 랭크뉴스 2025.04.01
47053 매번 말로만 “FDA 승인 임박”…HLB는 언제쯤 볕들까요[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4.01
47052 [속보] 트럼프 "상호관세 디테일, 美동부시간 1일밤 내지 2일 보게될것" 랭크뉴스 2025.04.01
47051 금융사 말만 믿고 옮겼다간 '낭패'…퇴직연금 중도해지 손실 폭탄 랭크뉴스 2025.04.01
47050 “높은 월세 감당 못 해”…중국 사회 초년생의 회사 화장실살이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4.01
47049 엄마 교통사고가 내 탓? 불의의 사고?... 복제인간 '미키'들은 왜 성격이 다를까 랭크뉴스 2025.04.01
47048 [속보]트럼프 "반도체법, 前정부보다 나은 협상할 것" 보조금 재협상 시사 랭크뉴스 2025.04.01
47047 국민연금 657만 원 내고 '1억' 수령 랭크뉴스 2025.04.01
47046 [서경호의 시시각각] 다시 만난 세계, 공매도 징비록 랭크뉴스 2025.04.01
47045 여당서도 "마은혁 임명"‥더 거세진 '정권교체론' 랭크뉴스 2025.04.01
47044 “우리 엄마 가게 도와주세요” ‘자영업자 구조지도’ 등장…벼랑 끝 자영업자, 폐업 막으려 안간힘 랭크뉴스 2025.04.01
47043 사과 세 달 만에 계엄 합리화한 권영세, '계몽령' 답습할 텐가 [기자의 눈] 랭크뉴스 2025.04.01
47042 너도나도 ‘지브리 프사’ 열풍···하루에만 120만명이 챗GPT 썼다 랭크뉴스 2025.04.01
47041 “몇 잔이고 대접”…‘산불’ 소방관들에게 커피 건넨 사장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01
47040 ‘의료 대란’에 암 수술 지연 늘었다…이래도 가짜뉴스? 랭크뉴스 2025.04.01
47039 장제원 전 의원, 서울 강동구서 숨진 채 발견...현장서 유서 나와 랭크뉴스 2025.04.01
47038 장제원 전 의원, 어젯밤 서울 강동구서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4.01
47037 ‘10년 전 비서 성폭행’ 장제원, 숨진 채 발견… “타살 정황 없어” 랭크뉴스 2025.04.01
47036 장제원 전 의원 숨진 채 발견…“타살 혐의점 없어”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