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4년 9월 12일, 국회 대정부질문에 출석한 한덕수 총리는 야당 의원들과 설전을 벌였습니다. 당시 8개월째 지속되고 있던 의료 대란이 설전의 주제였습니다. 야당 의석에서 "국민들이 죽어 나가지 않느냐"는 질타가 나오자, 한 총리는 "그것은 가짜뉴스"라며 "어디에 죽어 나가냐?"고 언성을 높였습니다.

의료 대란은 해를 넘긴 지금까지도 해소되지 않고 있습니다. 환자들의 피해도 구체적인 통계로 속속 드러나고 있습니다. 국민들이 죽어 나간다는 말이 '가짜뉴스'였을까요?

■ 의료 공백 기간 '암 수술' 한 달 이상 대기 8.9%P 늘어
의료 대란이 시작된 시점은 2024년 2월입니다. 같은 해 주요 암 7종 수술 환자가 진단부터 수술까지 대기한 기간을 분석한 결과 평균 대기 기간이 43.2일로 의료 공백 이전인 2023년에 비해 5.3일 늘었습니다.

주요 암 7종 수술 환자 가운데 대기 기간이 한 달을 넘긴 환자의 비율이 2024년에는 49.6%로, 2023년 37.9%에 비해 8.9%P 늘었습니다. 암 수술 환자가 몰리는 상급종합병원으로 한정하면 10%P 가까이 차이가 납니다.

암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빠른 수술입니다. 전문가들은 진단 이후 수술까지 한 달 이상 걸릴 경우 사망 위험이 최대 2배 높아진다고 지적합니다. 서울의대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는 "하위-중위 병원에서 1개월 이상 수술을 기다린 환자는 상위 병원에서 1개월 이내 수술을 받은 환자에 비해 사망률이 위암은 1.96배, 대장암 1.87배, 직장암 2.15배, 췌장암 1.78배, 폐암 2.21배, 유방암 3.8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습니다.

■ '유방암' 수술 지연 비율 가장 높아...위암·두경부암·대장암 순
암종별로는 유방암 환자들 가운데 한 달 이상 대기한 환자들의 비율이 가장 많이 올랐습니다. 2024년 57.8%로, 전년 대비 9.7%P가 늘었습니다. 유방암 환자의 절반 이상이 수술까지 한 달 이상을 기다려야 했다는 겁니다. 위암의 경우 한 달 이상 대기 환자의 비율은 43.4%, 두경부암 40.5%, 대장암 39.6%로 대부분 의료 대란 이전보다 늘었습니다.

의료 공백 기간 암 수술 환자들의 피해가 구체적으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 가운데는 수술 지연으로 결국 사망에 이른 환자도 포함됐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통계 이면에는 환자와 그 가족들의 불안과 고통, 슬픔이 숨어 있습니다.

■초과 사망자 3,136명까지...이래도 가짜뉴스?
앞서 2024년 2월부터 7월까지 3,136명의 초과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분석도 나온 바 있습니다. 의료 대란이 해소되지 않았다는 것은 환자들의 피해가 지금 이 순간에도 이어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래도 의료 대란으로 국민들이 죽어 나가는 것은 가짜뉴스라고 호통을 칠 수 있을까요. 6개월 전 그 호통의 당사자였던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제 국정의 최고 책임자인 대통령 권한대행입니다. 여전히 같은 생각인지, 묻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래픽 : 조은수)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86 수원 오피스텔 인근서 여성 2명 숨진 채 발견…추락 추정 랭크뉴스 2025.04.02
47585 경찰청장 직대 "헌재 선고 후 극렬시위 가능성…경찰 총동원" 랭크뉴스 2025.04.02
47584 보수 가치 외면하는 ‘보수 여전사’ 이진숙 랭크뉴스 2025.04.02
47583 "회사 출근하지 말고 집에 일하세요"…尹 탄핵 선고일 '재택근무' 확산 랭크뉴스 2025.04.02
47582 [속보] 한덕수, '尹 선고' 앞두고 "헌재서 어떤 결정 내려도 냉정하게 받아들여야" 랭크뉴스 2025.04.02
47581 지한파 전략가의 충고 “트럼프, 플랫폼법 알면 분노할 것…韓, 의지 보여줘야” 랭크뉴스 2025.04.02
47580 이복현 “금융위원장에 사의표명”…거취는 탄핵선고 이후 랭크뉴스 2025.04.02
47579 한 대행 “헌재 결정, 법치주의 원칙 따라 차분히 받아들여야” 랭크뉴스 2025.04.02
47578 분당 재건축 내홍…"통합재건축이냐 제자리 재건축이냐"[아기곰의 부동산 산책] 랭크뉴스 2025.04.02
47577 [속보] ‘재산 누락 혐의’ 이병진 의원, 1심서 당선 무효형 랭크뉴스 2025.04.02
47576 이복현 사의 표명…“윤 대통령은 상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않았을 것” 랭크뉴스 2025.04.02
47575 그날의 '충격' 영상‥'케이블 타이' 포박 시도 랭크뉴스 2025.04.02
47574 韓, 尹선고 이틀 앞두고 여야에 "사회통합 책임 보여달라" 랭크뉴스 2025.04.02
47573 전국 의대생 복귀율 96.9%…'미복귀' 인제대, 370명 제적 예정 랭크뉴스 2025.04.02
47572 美상원의원 '무박 2일' 트럼프 비판 발언…68년 만에 신기록 랭크뉴스 2025.04.02
47571 한 총리 "어떠한 결정도 받아들여야‥이제 '국민의 시간'" 랭크뉴스 2025.04.02
47570 “라이터로 불질러”…방화로 아파트 화재, 주민 대피 소동 랭크뉴스 2025.04.02
47569 "뒤돌아 XX 하는건가" 안영미 생방 중 욕설…사과했지만 결국 랭크뉴스 2025.04.02
47568 [속보] 상법 개정안 거부권 '직 걸고' 반대했던 이복현, 결국 사의 표명 랭크뉴스 2025.04.02
47567 마은혁 불임명 ‘위헌’ 판단한 헌재…‘8대 0’ 외 다른 길 있나? 랭크뉴스 2025.04.02